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11:10:05

KGM커머셜 스마트 110 시리즈

스마트 110HG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KGM커머셜 스마트
,
,
,
,
,
파일:KG모빌리티 차량용 로고.svg KGM커머셜의 버스 라인업
스마트 스마트 110 시리즈 현재
파일:KGM커머셜 로고.svg
파일:KGMC SMART110.png
파일:KGMC SMART110G.png
파일:smart110e.png
SMART 110
저상 전기버스
SMART 110G
저상 천연가스버스
SMART 110E
고상 좌석형 전기버스
SMART 110 Series

1. 개요2. 목록
2.1. 판매중
2.1.1. SMART 110/110G (2021~현재)2.1.2. SMART 110E (2022~현재)
2.1.2.1. 운행현황
2.2. 단종
2.2.1. SMART 110H/110HG (2018~2023)
2.2.1.1. 운행현황(전기버스 모델)
3. 경쟁 차량
3.1. 스마트 110G
4. 둘러보기

1. 개요

KGM커머셜( 에디슨모터스)에서 생산하는 준대형버스 라인업이다.

2. 목록

2.1. 판매중

2.1.1. SMART 110/110G (2021~현재)

파일:KGMC SMART110.png
파일:KGMC SMART110G.png
SMART 110 SMART 110G
<colbgcolor=#44207a> 생산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차량형태 2도어 준대형버스
승차인원 46인승
전장 10,990mm
전폭 2,495mm
전고 3,390mm
축거 5,400mm
윤거(전) 2,115mm
윤거(후) 1,855mm
공차중량 14,710 ~ 15,360kg
타이어 크기 275/70R22.5
구동방식 뒷엔진-뒷바퀴굴림(RR)
전륜 현가장치 리지드 액슬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와이드 액슬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디스크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colbgcolor=#44207a> 모델 엔진/모터 엔진 형식 과급방식 배기량 최고출력 최고토크 변속기
CNG
스마트 110G <colbgcolor=white,#191919> 현대두산 GX12P 11.1L 직렬 6기통 싱글터보 11,051cc 310ps 125kg·m 6단 자동변속기
전기
스마트 110 LVKON TED3960 - - - 435ps 224.34kg·m
스마트 110 홈페이지
스마트 110G 홈페이지

원래는 화이버드(CNG), e-화이버드(EV)였으나 2021년 6월에 e-화이버드가 먼저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스마트 110으로 명칭이 변경됐고 스마트 라인업으로 편입됐고 2달 뒤 화이버드 CNG도 스마트 110G로 페이스리프트되면서 스마트 라인업에 흡수됐다. 후술할 스마트 087/093의 전조등을 사용해서 패밀리룩을 이루어냈다.[1][2] 가격은 3억 6000만원 정도이다.
파일:세종 601번 스마트.jpg파일:KGM커머셜 스마트 110G.jpg
SMART 110 SMART 110G
변경점은 전중문에 각각 외부 비상 밸브가 추가됐고 고상 모델처럼 앞문이 글라이딩 도어 대신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비슷한 폴딩 도어로 바뀌었고 뒷문도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동일한 것으로 바뀌었다.[3][4] 중국 ETP사의 미검증된 배터리를 쓰던 E-화이버드와 달리 스마트 110으로 페이스리프트 되면서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의 것으로 회귀했다. 충전구 위치는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동했고 전기 모델 한정 공조기는 발레오(Valeo) 전기버스용 원 유닛 공조기를 옵션으로 적용할 수 있다.[5] 운전석 계기판이 스마트 110H와 동일하게 바뀌었고 승객석도 아폴로 1100에 쓰이는 것과 비슷한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했다. 휠체어 리프트도 자동 리프트는 우진산전, 자일대우버스 차량에 쓰이는 중국 신더(信德) 제품을 쓰고 있었으나 스마트 110부터 현대자동차 차량과 동일하게 황성공업의 제품을 적용했다.[6]

이 모델부터 개문 발차가 앞, 뒷문 모두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우진산전과 2017년식 이후 현대차와 중국산, 반조립 모델처럼 주행 중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차가 완전히 정차한 다음 출입문이 열린다.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는 2021년 말~2022년 초까지만 해도 일렉시티 판매량의 거의 2배 차이날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 하지만 2022년 말부터 여러 불미스러운 사태로 인해 일렉시티는 물론 아폴로 1100과 중국산 경쟁모델에게도 밀리고 있다.[7]

2023년부터 스티어링 휠 디자인이 변경됐다.

스마트 110은 2023년 9월 말 신어BTS에서 도입한 차량부터 스마트 110G는 2023년 12월 초 광주 현대교통, 삼아교통에서 도입한 차량부터 KGM의 로고가 적용됐다. 앞면에는 KG모빌리티의 윙 로고가, 뒷면에는 KGM 레터링이 붙은 상태로 출고됐다. # 다만 KGM으로 변경 초기에는 계기판 디스플레이에는 옛 상호명인 에디슨모터스가 떴었다.[8]

2024년에 LG에너지솔루션의 301kWh 리튬이온 배터리를 탑재한 스마트 110이 출시됐다. 1회 충전시 최대 주행거리가 419km까지 늘었고 보조금도 7,000만원 전액을 수령받게 됐다.[9]

2024년 3월부터 그레듀얼 파킹 브레이크의 모양이 접시모양 잠금방식인 원형레버에서 둥근사각형 모양으로 변경됐다.

2.1.2. SMART 110E (2022~현재)

파일:smart110e.png
SMART 110E
<colbgcolor=#44207a> 생산지 <colbgcolor=white,#191919>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차량형태 1~2도어 준대형버스
승차인원 39인승
전장 10,860mm
전폭 2,480mm
전고 3,320mm
축거 5,300mm
윤거(전) 2,095mm
윤거(후) 1,860mm
타이어 크기 11R22.5-16PR
스마트 110E 홈페이지
스마트 110H를 기반으로 만든 전기 좌석버스 차량이다. 이름은 별도로 붙어 있지만 사실상 승객석 의자만 좌석형이라는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으로 110H와 같은 차량이다.

전문형, 전중문형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고 스마트 110E의 뒷문은 특이하게 슬라이딩 도어를 적용한 뉴 슈퍼 에어로시티, BS106과 달리 폴딩 도어를 적용한다.

347kWh 용량을 가진 LG에너지솔루션의 리튬이온 배터리와 435마력의 고효율 영구자석모터를 장착했고 환경부 인증 기준 1회 충전 시 주행 가능 거리는 475km다.

안전사양으로 자동비상제동장치(AEBS), 차선이탈방지장치(LDWS), 차선이탈경고(ADAS), 전방추돌 경보(FCW), 크루즈 컨트롤(ACC), 어라운드 뷰 모니터(AWM) 등의 첨단 안전사양과 편의사양이 기본으로 적용됐다.

KG모빌리티 인수 이후 이 차량부터 KGM의 로고가 적용됐다. #

2024년에 현대자동차에서 카운티, 유니버스를 제외한 모든 고상버스 모델이 단종되면서 대한민국에서 생산하는 준대형 고상버스는 스마트 110E만 남게됐다.
2.1.2.1. 운행현황
  • 2022년 4월 6일에 아이버스와 협력하여 어린이 통학버스로 출시했다. #
  • 2022년 8월 창원 마창여객에서 도입했다. 아직 노선버스로는 전국 최초이면서 유일하지만 전술한 현대 고상버스 단종으로 2024년 이후 한동안 급하게 고상버스 신차가 필요한 고객 수요를 더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740번, BRT급행(6000번)에서 운행중이다.[10]

2.2. 단종

2.2.1. SMART 110H/110HG (2018~2023)

파일:12785_19357_2949.jpg
파일:smart11hgimg.png
SMART 110H SMART 110HG
<colbgcolor=#44207a> 생산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우명리
차량형태 2도어 준대형버스
승차인원 49인승
전장 10,870mm
전폭 2,480mm
전고 3,300mm
축거 5,300mm
윤거(전) 2,095mm
윤거(후) 1,860mm
타이어 크기 11R22.5-16PR
파워트레인
<colbgcolor=#44207a> 모델 엔진/모터 엔진 형식 과급방식 배기량 최고출력 최고토크 변속기
CNG
스마트 110HG <colbgcolor=white,#191919> 두산 GX12P 11.1L 직렬 6기통 싱글터보 11,051cc 310ps 125kg·m 6단 자동변속기
전기
스마트 110H LVKON TED3960 - - - 435ps 224.34kg·m
스마트 110H 홈페이지[11]
스마트 110HG 홈페이지[12]

전장 11m급 2계단 고상형 모델이다. 특이한 점으로 국내 최초로 글라이딩 도어가 고상 모델에 채택되었는데 슬라이딩 도어 특유의 후문 수납공간이 없어 좌석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CNG 모델과 전기버스 모델이 있다. CNG 모델은 대우 NEW BS106과 똑같은 파워트레인인 두산인프라코어제 GL11P 엔진+ZF제 6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됐다. 일반 시내버스와 달리(전문은 폴딩 도어, 중문은 슬라이딩 도어) 앞에서 언급했듯이 이 차량은 전기형의 경우 전중문 모두 글라이딩 도어를 사용한다.[13] 그리고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처럼 전후륜 모두 10홀 휠이다.
파일:29_1594.png
파일:모터쇼 스마트11.jpg
SMART 11HG 초기 모델 SMART 11H 초기 모델
당초 2018년 3월에 예정된 시제차 출시 계획을 앞당겨 2018년 1월 30일에 공개했다. #

2018년 5~6월 사이에 인천의 시영운수에서 첫 도입이 이루어졌고 이 시기에 4대를 도입했다. 디자인이 변경되기 이전의 스마트를 굴리는 유일한 업체였으나 일부차량은 세운교통으로 넘어갔다.

KGM커머셜의 기술력이 집약된 복합소재 차체로 차량의 강성이 경쟁사 대비 매우 견고하며 내부식성에 있어서도 스틸 바디가 아니기 때문에 매우 강하다. 또한 차체 경량화로 인해 동급 대비 최고의 연비를 구현하여 경제성까지 만족한다고 한다. 대신 사고나면 수리비가 매우 높다.

화이버드와 달리 카스테레오는 센터페시아에 있다.[14] 계기판 모양도 화이버드와 다르다.

중문은 최근에 나온 고상형 차종답지 않게 광폭형이 아니다. 즉, 중문에 중앙 바가 없다.[15] 중문 폭이 앞문과 거의 동일하다.

2019 EV 트렌드 코리아에서 공개된 내용으로는 전기버스 모델이 화이버드처럼 디자인이 변경될 예정이라고 한다. 2020년 6월에 전면부가 화이버드처럼 디자인이 변경된 스마트 11H/11HG의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공개하고 창원과 김해에서 순회전시를 했다.
파일:DSC04085.jpg
파일:대중122스마트.jpg
SMART 11HG F/L 모델 SMART 11H F/L 모델
페이스리프트 모델에서 변경된 점으로는 전문이 글라이딩 도어에서 폴딩 도어로 변경됐고 전면부가 꺾쇠형에서 현대, 대우 도시형버스처럼 직각으로 변경됐다. 그리고 CNG 모델도 화이버드와 비슷한 모양으로 페이스리프트를 했다.

스마트 110HG F/L 모델은 2020년 7월 30일에 대구의 영진교통에서 최초로 도입했다.

2020년형 스마트 11HG는 두산인프라코어제 GX12P 엔진이 달려 나오고 ZF 에코라이프 6단 자동변속기를 기본으로 채택했고 에어 서스펜션이 기본으로 달려 나온다. 화이버드와 달리 앨리슨자동변속기는 선택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첨단소재 적용으로 경쟁사인 현대자동차자일대우버스보다 더 비싸면서 저상 보조금도 받을 수 없어[16] 화이버드보다 구매량이 저조한 편이다. 2020년 들어 자일대우버스베트남 이전 문제로 인한 일시 생산 중단으로 점유율을 조금 가져왔다.

전기모델의 경우 전기버스 사업을 저상버스 확대와 겸하는 것이 정부와 각 지자체 방침이기도 하고 저상버스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해당 모델은 자부담 비중이 전기버스를 저상버스로 구매할 때 보다 커서 당연히 판매고가 부진할 수 밖에 없다. 결국 영업용으로는 출시 이후 10대밖에 못 팔았다.[17]

2021년부터 모델명이 스마트 11H와 스마트 11HG에서 스마트 110H(전기차량)/110HG(천연가스차량)로 변경됐다.

2022년 말에 스마트 110H의 후방 번호판 장착 위치가 엔진룸에서 범퍼로 내려갔다. 중문이 스마트 110과 동일한 제품으로 변경됐다.

2023년 2월쯤에 스마트 110H, 스마트 110HG가 단종됐다.
2.2.1.1. 운행현황(전기버스 모델)
  • 2020년 9월 1일에 창원의 대중교통에서 전국 최초로 전기버스 모델(스마트 11H) 2대를 도입했다.
  • 2021년 6월 경에 논산의 덕성여객에서 스마트 110H 4대를 도입했다. 이 판매분부터 고상형 전기 모델의 이름이 스마트 110H로 바뀌었다.
    • 이후 2022년 5월에 모델 3대를 추가로 구매했다.
  • 2022년 12월 신안군 공영버스에서 스마트 110H 1대를 도입했다. 해당 차량은 마지막으로 제작된 스마트 110H 차량이다.

3. 경쟁 차량

3.1. 스마트 110G

4. 둘러보기

파일:KGM커머셜 로고(L).svg파일:KGM커머셜 로고(L) 화이트.svg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중형버스 - 스마트 087
스마트 093
준대형
버스
스마트 110
스마트 110G

스마트 110E
프리머스
화이버드
스마트 110H
스마트 110HG
트럭 - 스마트 T1

대한민국 판매 전기버스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산
<colbgcolor=#7883a3,#1f2b4b> 현대자동차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굴절버스 · 일렉시티 · 일렉시티 타운 · 카운티 일렉트릭
KGM커머셜 스마트 110 · 스마트 110E
우진산전 아폴로 1100 · 아폴로 900
반조립
범한자동차 E-STAR 12i · E-STAR 11 · E-STAR 8
우진산전 아폴로 1200
중국산
BLK 일레누스 TS1100 · 일레누스 TS900
BYD eBus-12 · eBus11(예정) · eBus9 · eBus-7
CHTC 에픽시티 · 에픽타운
CRRC 그린웨이1100A · 그린웨이720
스카이웰 리오네 · 아이즘 · 네오포스 · 엘페
우진산전 아폴로 1200
중원자동차 EV J1
포톤 그린타운 400
킹롱 시티라이트 II · 시티라이트 9
하이거 하이퍼스 프라임 · 하이퍼스HP
하이퍼스1611 시리즈 · 하이퍼스1609 시리즈
황해자동차 E-SKY 11 · E-SKY 9 }}}}}}}}}

파일:KG모빌리티 차량용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color: #fff"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차량
<rowcolor=#fff><colbgcolor=#44207a><colcolor=#fff>구분승용 · SUV · RV · 승합 · 픽업버스트럭
1950년대-하동환뻐스-
1960년대코란도 지프 · HDH 픽업트럭-
1970년대-HA/HR버스DA트럭
1980년대코란도 훼미리에어로버스초대형 덤프트럭
1990년대칼리스타 · 체어맨 · 뉴 코란도 · 무쏘 · 이스타나트랜스타SY트럭
2000년대무쏘 스포츠 · 액티언 · 액티언 스포츠 · 카이런 · 렉스턴 · 로디우스-
2010년대티볼리 · 코란도C · 코란도 투리스모 · 코란도 · 코란도 스포츠 · 렉스턴 스포츠-
2020년대코란도 EV · 토레스 · 토레스 EVX · KR10예정 · ME10예정 · F100예정스마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color: #fff"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rowcolor=#fff><colbgcolor=#44207a>차급시판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colbgcolor=#44207a><colcolor=#FFF>대형 세단-체어맨
스포츠카-칼리스타
SUV
소형 SUV티볼리-
준중형 SUV코란도 · 코란도 EV · KR10예정코란도 지프 · 뉴 코란도 · 액티언 · 코란도C
중형 SUV토레스 · 토레스 EVX · J120예정코란도 훼미리 · 무쏘 · 카이런
준대형 SUV렉스턴 · F100예정-
MPVME10예정로디우스 · 코란도 투리스모
픽업트럭소형O100예정HDH 픽업트럭 · 액티언 스포츠 · 코란도 스포츠
중형렉스턴 스포츠무쏘 스포츠
상용차
-이스타나
트럭-초대형 덤프트럭 · DA트럭 · SY트럭
버스스마트하동환뻐스 · HA/HR버스 · 에어로버스 · 트랜스타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9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9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렇게 화이버드가 스마트 라인업으로 편입되면서 이름이 바뀜에 따라 기존 차명인 화이버드라는 이름은 폐기됐다.[2] 참고로 전조등은 중국 양저우 아시아스타사에서 만든 도시형버스들의 전조등이다.[3] 뉴 슈퍼 에어로시티 앞문과의 차이점은 가운데 경첩 및 하부 대각선 형태 봉 손잡이 위치가 더 올라와 있는 점과 도어 형태가 완전직각이란 점이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앞문은 F/L 이후 한정으로 내부 기준 도어 왼쪽 끝 부분 라인이 약간 굽은 형태다. 이는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는 물론 같은 에어로시티를 기반으로 한 일렉시티, 유니시티, 그린시티도 마찬가지.[4] 이때 중문개폐부저도 현대와 동일한 것으로 바뀌었다.[5] 현대자동차, 자일대우버스, 우진산전, 하이거 등 시중에 파는 전기버스에서 쓰이는 공조기다. e-화이버드는 기존 내연기관 버스용 에어컨에 변압을 개조해서 사용했다.[6] 가능한 한 현대자동차의 모델과 동일한 부품을 사용하여 판매고를 진작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그러나 압도적으로 싸고 고장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는 수동 리프트가 대세인 탓에 아직 자동 리프트를 탑재하고 출고된 차량은 단 한 대도 없다.[7] 일렉시티는 141대로 2021년 53대 대비 도입량을 크게 늘렸고 아폴로도 현재 개선되어서 나오면서 구매하는 회사가 늘고 있다.[8] 대덕교통 승무사원이 촬영해 올린 영상이다.[9] 2021년형 이후 개선형 일렉시티와 비슷한 주행거리이다.(420.8km)[10] 원래는 707번에서 운행하였으나 폐선되면서 740번, 6000번으로 이동됐다.[11] 무공해차 통합누리집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됐고, 이에 따라 단종됐다.[12] 현재 단종됐다.[13] 다만 페이스리프트 이후 전문은 폴딩도어로 회귀했다.[14] 화이버드의 큰 단점이 센터페시아에 중문 카메라 모니터가 설치되어서 카스테레오가 센터페시아 밑에 있다는 것이다.[15] 서울에서 주로 다닌 도시저상형(L/SL 모델)이 광폭 중문을 첫 적용했고 지방에는 슈퍼 에어로시티 출시 및 천연가스버스 출시로 광폭 중문을 처음 선보였다. BC211도 광폭 중문이라 중문에 중앙 바가 있다.[16] 110HG 모델은 천연가스버스 보조금만 받고 구매해야 한다.[17] 대중교통 2대, 덕성여객 7대, 신안군 공영버스 1대. 성남시내버스에서 구매한 BS110 플러그인 전기버스와 동일한 댓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