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4 11:52:55

스노우 브라더스 원더랜드

스노우 브라더스 시리즈
본편 스노우 브라더스 · 스노우 브라더스 2 · 스노우 브라더스 원더랜드
리메이크 스노우 브라더스 스페셜 · 스노우 브라더스 2 스페셜
스노우 브라더스 원더랜드
スノーブラザーズ ワンダーランド
Snow Bros. Wonderland
<nopad> 파일:SNOW BROS_Wonderland.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개발 TATSUJIN
유통
플랫폼 PlayStation 5 | PlayStation 4 | Nintendo Switch | Microsoft Windows
ESD PlayStation Network | 닌텐도 e숍 | Steam
장르 3D 액션 어드벤처 게임
출시 2024년 11월 28일
엔진 유니티
한국어 지원 자막, 음성 지원
심의 등급
상점 페이지 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 | 파일:스팀 아이콘.svg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등장인물4. 플레이 영상5. 평가

1. 개요

공식 트레일러
스노우 브라더스 시리즈의 3번째 작품으로, 1994년 스노우 브라더스 2 이후 30년 만에 나오는 완전 신작.

2. 발매 전 정보

  • 닉의 아들이자 톰의 조카인 주니어들이 다시금 야망을 이루고 아이스랜드에 복수하기 위해 윈다 공주를 납치한 아치치 대왕을 막으려는 내용으로 보인다.
  • 전작들과는 다르게 풀 CG이며 횡스크롤 방식에서 탈피했다.
  • 광고의 내레이션 담당은 후쿠하라 아야카로 추정. 그 외 본편에선 하시 아후미(주인공 닉 주니어 역), 노구치 유리(톰 주니어 역), 후지이 유키요(윈다 공주 역), 츠루오카 사토시(아치치 대왕 역) 등이 캐스팅되었다.
  • 최대 4인까지의 멀티플레이를 지원한다.
  • 영어/일본어/스페인어(유럽식/남미식)/한국어 음성을 지원한다.

이후 신규 트레일러에서 공개된 보스들 역시 1편의 보스들을 리메이크 및 오마주했음을 알 수 있다.

3. 등장인물

4. 플레이 영상


5.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5-02-24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snow-bros-wonderland/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snow-bros-wonderland/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5-02-24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214870/#app_reviews_hash| 긍정적 (10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3214870/#app_reviews_hash|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기준일:
2025-02-24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평론가 평점
76 / 100
평론가 추천도
56%
유저 평점
- / 100


많은 게이머들의 예상대로 흥행에는 참패했다. 그럼에도 메타크리틱 점수는 70점(닌텐도 스위치 버전 기준), 오픈크리틱 점수는 76점으로 나름대로 준수한 평을 받았다.

한국어 더빙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데, 한국어 더빙이 마치 외국인이 어거지로 한국말을 한 느낌이 들 정도로 그 퀄리티가 심히 떨어진다는 평가가 대다수다.[1] 한마디로 해당 게임의 한국어 더빙은 결국 없느니만 못하다는 소리다. 이 따위로 성의없이 더빙할 바엔 차라리 일본어 음성/한국어 자막 형태로 한국 시장에 내놓는 게 좋았을 것이다.


[1] 한국어 음성 지원이 이 지경이 된 데에는, 개발사가 한국 성우들을 기용할 의지도 물적 자원도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