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VA | |||||||||||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1992) | ||||||||||||
배트맨 비욘드 (1999) | ||||||||||||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 (2004) | ||||||||||||
극장용 애니메이션 | ||||||||||||
비디오용 애니메이션 | ||||||||||||
배트맨과 미스터 프리즈: 서브제로 (1998) | 배트맨: 배트우먼의 수수께끼 (Chase Me) (2003) | |||||||||||
배트맨과 할리퀸 (2017) | ||||||||||||
출판물 | ||||||||||||
Mad Love (1994) | 배트맨 디 어드벤처스 컨티뉴 | }}}}}}}}} |
DC 애니메이티드 유니버스 애니메이션 | ||||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 → | 슈퍼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 → | 뉴 배트맨 어드벤처스 |
슈퍼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Superman: The Animated Series | ||
| ||
장르 | 슈퍼히어로, 액션, SF | |
포맷 | 애니메이션 | |
방영 날짜 | ||
제작진 | <colbgcolor=#000><colcolor=#000> 총 제작자 | 진 매커디 |
제작 | 앨런 버넷 폴 디니 브루스 팀 등 7명 | |
감독 | 아오야마 히로유키 댄 리바 등 5명 | |
음악 | 쉘리 워커 크리스토퍼 카터 마이클 맥퀴션 롤리타 리트매니스 하비 코헨 | |
방영 시간 | 21분 | |
제작사 | ||
배급사 |
1. 개요
DC 애니메이티드 유니버스의 두 번째 애니메이션이다. 기존의 FOX kids가 아닌 WB 텔레비전 네트워크에서 방영되었다.본래 시리즈가 더 진행될 계획이었지만 취소되어 종영되었다. 다크사이드 침공의 이후 이야기들은 후속작 저스티스 리그 시리즈에서 이어진다.
2. 오프닝
존 윌리엄스의 슈퍼맨 테마가 아닌 독자적인 테마를 사용하며 평가가 꽤 우수하다. DCAU 애니메이션에서 배트맨 TAS와 함께 오프닝에 타이틀이 드러나지 않는 작품이다.
더 뉴 배트맨 슈퍼맨 어드벤처스 오프닝 |
3. 등장인물
| |
슈퍼맨 75주년 기념 단편 애니메이션 中 |
<colbgcolor=#fff,#000> 캐릭터 | <colbgcolor=#fff,#000> 성우 |
슈퍼맨(칼엘, 클라크 켄트) | 팀 데일리 |
로이스 레인 | 데이나 딜레이니 |
페리 화이트 | 조지 준저 |
지미 올슨 | 데이비드 코프먼 |
렉스 루터 | 클랜시 브라운 |
머시 그레이브스 | 리사 에덜스타인 |
안젤라 첸 | 로런 톰 |
조너선 켄트 | 마이크 패럴 |
마사 켄트 | 셸리 파바레스 |
라나 랭 | 조엘리 피셔 |
에밀 해밀턴 교수[1] | 빅터 브랜트 |
매기 소여 | 조안나 캐시디 |
댄 터핀[2] | 조지프 볼로냐 |
슈퍼걸(카라 조엘, 카라 켄트) | 니콜 톰 |
비자로 | 팀 데일리 |
브레이니악 | 코리 버튼 |
메탈로 | 말콤 맥도웰 |
패러사이트 | 브라이언 제임스, 브라이언 조지 |
배트맨 | 케빈 콘로이 |
라이브와이어 | 로리 페티 |
토이맨 | 버드 코트 |
다크사이드 | 마이클 아이언사이드 |
볼카나 | 페리 길핀 |
잭스 얼 | 론 펄먼 |
말라 | 레슬리 이스터브룩, 사라 더글라스 |
웨더 위저드 | 미구엘 페레르 |
스테픈울프 | 셔먼 하워드 |
래시나 | 다이앤 미셸 |
그래니 굿니스 | 에드 아스너 |
스틸 | 마이클 도른 |
카일 레이너 | 마이클 P 그레코 |
시네스트로 | 테드 레빈 |
아쿠아맨 | 미구엘 페레르 |
로보 | 브래드 개렛 |
믹시즈피틀릭 | 길버트 고트프리드 |
플래시 | 찰리 슐래터 |
닥터 페이트 | 조지 델호요 |
하이파더 | 미첼 라이언 |
오라이온 | 스티브 샌더 |
칼리박 | 마이클 돈 |
4. 에피소드 목록
4.1. 시즌 1
1화, 2화 | The Last Son of Krypton Part.I, The Last Son of Krypton Part.II |
|
3화 | The Last Son of Krypton Part.III |
|
4화 | Fun and Game |
|
5화 | A Little Piece of Home |
|
6화 | Feeding |
|
7화 | The Way of All Flesh |
|
8화 | Stolen Memories |
|
9화 | The Main Man Part.I |
|
10화 | The Main Man Part.Ⅱ |
|
11화 | My Girl |
|
12화 | Tools of the Trade |
|
13화 | Twos a Crowd |
|
4.2. 시즌 2
1화 2화 | Blasts from the Past Part.I, Blasts from the Past Part.II |
|
3화 | The Prometheon | |
4화 | Speed Demons |
|
5화 | LiveWire |
|
6화 | Identity Crisis |
|
7화 | Target |
|
8화 | Action Figures |
|
9화 | Mxyzpixilated |
|
10화 | Double Dose |
|
11화 | Solar Power |
|
12화 | Brave New Metropolis |
|
13화 | Monkey Fun |
|
14화 | Ghost in the Machine |
|
15화 | Father's Day |
|
16화 | World's Finest Part 1 |
|
17화 18화 | World's Finest Part 2 World's Finest Part 3 |
|
19화 | Bizarro's World |
|
20화 | The Hand of Fate |
|
21화 | Prototype |
|
22화 | The Late Mr. Kent |
|
23화 | Heavy Metal |
|
24화 | Warrior Queen |
|
25화 26화 | Apokolips…Now!, Part 1 Apokolips…Now!, Part 2[3] |
|
27화 | Little Girl Lost Part 1 |
|
28화 | Little Girl Lost Part 2 |
|
4.3. 시즌 3
1화 | Where There's Smoke |
|
2화 | Knight Time |
|
3화 | New Kids in Town |
|
4화 | Obsession |
|
5화 | Little Big Head Man |
|
6화 | Absolute Power |
|
7화 | In Brightest Day… |
|
8화 | Superman's Pal |
|
9화 | A Fish Story |
|
10화 | Unity | |
11화 | The Demon Reborn |
|
12화 13화 | Legacy, Part 1 Legacy, Part 2 |
|
4.4. 크로스오버
배트맨 NBA 시즌 1 20화 | Girls' Night Out |
|
스태틱 쇼크 시즌 4 36화 | Toys in the Hood |
|
5. 평가
슈퍼맨이 다른 매체들에 비해서 매우 약하게 묘사된다.(물론 슈퍼맨으로서의 능력인 비행, 초인적인 힘, 속도, 투시, 히트비전, 내구성 등은 건재하다.) 그 슈퍼맨이 기절하거나 납치되는 상황이 연출되거나, 다수의 빌런들을 상대로 특유의 근력으로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대부분의 빌런들(시네스트로, 라이브와이어 등)은 물론이고, 인간의 발명품을 상대로도 크게 고전하는 연출이 많다.[4] 제작진에 의하면 슈퍼맨이 너무 강하기만 하면 내용의 진행이 어려우니 작중 긴장감을 높이기 위한 수단이었다고 한다. 또한 슈퍼맨이 크립토나이트 없이도 사망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했다고 한다. 이러한 설정 탓에 성우인 팀 데일리의 신음하는 연기를 거의 모든 에피소드에서 신나게 들을 수 있다. 그리고 그 신음 소리에 묘한 중독성이 있다는 평가도 있을 정도다.
하지만 지구 최강의 히어로 타이틀은 처음부터 끝까지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시즌이 지날수록, 그리고 많은 캐릭터가 등장하는 추후 작품인 저스티스 리그 시리즈에서는 더 강하게 묘사된다.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의 피날레에서 여태껏 힘을 조절해왔음이 밝혀지며, 브레이니악과 융합한 다크사이드를 상대로 잠시나마 압도한다.
위 설정은 슈퍼맨 TAS의 "Father's Day" 에피소드에서도 볼 수 있다. 극중 슈퍼맨은 다크사이드의 아들인 칼리박과 호각으로 싸우지만, 자신은 다크사이드를 위한다는 칼리박의 말을 듣고 지금까지 힘과 속도에서 호각으로 싸우던 칼리박을 단숨에 제압한다.
6. 기타
- 일부 에피소드에서는 DC 애니메이티드 유니버스 내의 다른 캐릭터들과 크로스오버가 이루어졌다. 이에 해당하는 에피소드는 다음과 같다.
- 시즌 2 "World's Finest"에서 본격적인 크로스오버가 이루어진다. 배트맨과 조커가 메트로폴리스에 방문하여 조커, 렉스 루터 대 배트맨, 슈퍼맨 구도로 이야기가 진행되었다. 결말에는 렉스 루터와 조커를 물리치고 두 히어로가 서로를 인정하게 된다.(슈퍼맨은 투시를, 배트맨은 보청기를 사용하여 일찌감치 서로가 서로의 정체를 파악한다.) 브루스 웨인과 로이스 레인의 로맨스가 묘사된다.
- 시즌 3 'Knight Time' 에피소드에서는 슈퍼맨이 행방불명이 된 배트맨 대신 배트맨으로 변장하여 로빈과 함께 고담시의 악당들을 물리치는 내용이 그려진다. 'Demon Reborn' 에피소드에서는 슈퍼맨의 힘을 빼앗아 젊음을 되찾으려는 라스 알 굴을 슈퍼맨과 배트맨이 함께 저지한다.
- 뉴 배트맨 어드벤처스의 "Girls' Night Out" 에피소드에서는 슈퍼걸이 배트걸과 팀을 이룬다.
- 배트맨 비욘드의 'The Call' 에피소드에서는 미래 시점에서의 슈퍼맨과 저스티스 리그와의 크로스오버가 이루어진다.
- 스태틱 쇼크의 'Toys in the Hood' 에피소드에서는 슈퍼맨이 스태틱 쇼크와 팀을 이룬다.
-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에는 못미치지만 이 시리즈 역시 다른 매체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렉스 루터의 비서 겸 경호원 머시 그레이브스는 이 시리즈에서 처음 등장하였고, 라이브와이어도 메인스트림 코믹스에 진출했지만 할리 퀸에 비해서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로이스 레인이 클라크 켄트를 '스몰빌'이라는 별칭으로 부르는 것도 이 시리즈에서 시작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