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장미 과 | <colkeepall> 산딸기 속 | 산딸기 · 블랙베리 · 복분자 · 진들딸기 |
벚나무 속 | 버찌 · 체리 · 타트체리 · 앵두 · 살구 · 자두 · 매실 · 복숭아 · 천도복숭아 · 아몬드종 | ||
기타 | 사과 · 배 · 딸기채 · 마르멜로 · 땃딸기채산 · 모과 · 메들라 · 아로니아 · 흰땃딸기채산 · 비파 · 알프스딸기 · 사향딸기 · 준베리 | ||
까치밥나무과 | 구즈베리 · 블랙커런트 | ||
운향 과 | 귤속 | 감귤 · 금귤 · 기주밀감 · 네이블오렌지 · 당유자 · 라임 · 레몬 · 만다린 · 만백유 · 발렌시아오렌지 · 베르가모트 · 병감 · 블러드오렌지 · 시콰사 · 시트론 · 스위티 · 영귤 · 오렌지 · 온주밀감 · 유자 · 자몽 · 지중해감귤 · 칼라만시 · 키라임 · 탄제린 · 포멜로 · 핑거라임 · 페르시아라임 | |
만감류 | 가을향 · 깜산 · 달코미 · 동백향 · 레드향 · 머콧 · 미니향 · 서지향 · 설향 · 쇼군 · 신예감 · 앙코르 · 윈터프린스 · 이예감 · 진지향 · 천혜향 · 청견 · 카라향 · 클레멘타인 · 탐나는봉 · 탐라향 · 팔삭 · 한라봉 · 한라향 · 황금향 | ||
기타 | 화이트 사포테 · 우드 애플 · 바엘 | ||
진달래목 | 진달래과 | 넌출월귤 · 월귤 · 블루베리 · 크랜베리 · 들쭉 | |
사포테과 | 사포딜라 · 마메이 사포테 · 스타 애플 · 카니스텔 · 아비우 · 루쿠마 · 미라클베리 · 황제사포테 · 흰스타애플 · 마르믹사 · 엘로우 사포테 | ||
감나무과 | 감 · 블랙 사포테 · 고욤나무 | ||
다래나무과 | 다래 · 키위 | ||
기타 | 브라질너트 | ||
무환자나무목 | 무환자나무과 | 과라나 · 리치 · 람부탄 · 용안 · 마몬 · 풀라산 · 아키 | |
옻나무과 | 망고 · 캐슈애플/캐슈넛종 · 피스타치오 · 마룰라 · 밤방안 · 마프랑 · 쿠이니 · 암바렐라 · 호코테 | ||
멀구슬나무과 | 산톨 · 랑삿 | ||
말피기아목 | 클루시아과 | 후쿠기 · 망고스틴 · 레몬 드롭 망고스틴 · 아차차이루 · 마풋 · 스토크드 망고스틴 | |
말피기아과 | 아세롤라 · 난세 · 피넛 버터 후르츠 | ||
기타 | 스너프 트리 · 백향과 · 캔들넛종 · 사차인치 · 코코플럼 · 선 사포테 | ||
참나무목 | 자작나무과 | 헤이즐넛 · 개암 | |
참나무과 | 도토리 · 밤 | ||
기타 | 양매 · 호두 · 피칸 | ||
도금양목 | 도금양과 | 미드겐베리 · 로즈애플 · 자보티카바 · 구아바 · 캄부카 · 브라질리언 체리 · 자바사과 · 피탕가 · 사바나체리 · 수리남체리 | |
기타 | 석류 · 마름 | ||
판다누스과 | 스크류파인 · 부아메라 | ||
박과채 | 수박 · 멜론 · 뿔오이 · 여주 · 참외 · 카이구아 | ||
뽕나무과 | 오디 · 무화과 · 카눈 · 빵나무 · 마랑 · 쳄페닥 · 꾸지뽕 | ||
아욱과 | 두리안 · 쿠푸아수 · 카카오 · 카카오닙스종 · 바오밥 · 추파추파 | ||
선인장과채 | 백년초 · 용과 · 페루 사과 선인장 · 보검선인장 · 비로사과각선인장 | ||
종려과 | 코코넛 · 대추야자 · 젤리야자 · 살락 · 니파야자 · 아삼 파야 · 아사이 · 빈랑 · 아이스 애플 · 사고야자 · 기름야자 · 무루무루 | ||
아노나과 | 포포나무 · 슈가애플 · 아테모야 · 커스터드애플 · 롤리니아 · 그라비올라 · 체리모야 · 일라마 | ||
파파야과 | 파파야 · 산파파야 · 바바코 · 너도파파야 · 자카라티아 | ||
콩과 | 아이스크림 빈 · 타마린드 · 땅콩종 | ||
능소화과 | 양초열매 · 멕시칸 칼라바시 | ||
꼭두서니과 | 커피체리(커피종) · 노니 · 블랙베리 잼 과일 | ||
포도과 | 포도 · 거봉 · 델라웨어 · 머루 · 머스캣(샤인머스캣) · 콩코드 · 캠벨포도 · 청포도 · 피오네 | ||
가지과 | 나랑히야 · 나무토마토 · 가지 · 구기자 · 토마토채(방울토마토채) · 꽈리 · 토마티요 · 페피노 · 케이프 구즈베리 · 고추 | ||
기타 | 기타 과일 | 으름 · 블루 소시지 · 루비솔트부쉬 · 대추 · 주목 · 부시플럼 · 아보카도 · 엘더베리 · 올리브 · 자탁 · 스타후르츠 · 흑노호 · 오미자 · 데이비슨플럼 | |
기타 견과류 | 갈릭넛 · 마카다미아 · 은행종 · 잣종 · 해바라기종 | ||
기타 과채류채 | 바나나채 · 그로 미셸 · 캐번디시(바나나) · 파인애플 · 몬스테라 · 핑귄 | ||
채: 과채류 · 종: 일반적으로 과일/견과류보다 종자에 가까움 · 산: 일반적으로 산지에 가야 먹을 수 있음 | |||
그외 비가공 식품 및 재배물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슈가애플 | ||
Annona squamosa | 이명: 커스터드애플[1], 석가 | |
분류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Angiospermae) | |
미분류 | 목련군 | |
목 | 목련목 | |
과 | 포포나무과 | |
속 | 번여지속[2] | |
종 | 슈가애플(Annona squamosa) |
1. 개요
Annona squamosa. 목련목 포포나무과(아노나과) 아노나속의 대표적인 과일 중 하나.2. 상세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로, 대만에서 석가, 멕시코에서 아테, 영어로 슈가 애플이나 커스터드 애플이라고 불리는 과일이다. 특유의 강렬한 단맛으로 다양한 열대 지역에서 인기있으며 교배종이나 품종이 꽤 다양하다. 아테모야가 이 종의 교잡종이다.3. 열매
거북 등딱지처럼 울퉁불퉁한 초록색 외형을 하고 있다. 간혹 초록색 이외의 붉은색, 보라색 슈가애플 품종이 있기도 하다. 열매는 잘 익으면 초록색에서 검은색 반점이 생기게 되며, 이 반점이 많아지고 껍질을 손으로 벗길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러워지면 그때가 먹기 좋은 때라고 볼 수 있다. 만약 여행지에서 슈가애플을 통으로 사고 싶다면 겉 색이 좀 변했고 만졌을 때 부드러운 것을 사도록 하자. 아니면 후숙하느라 한 입도 못 먹을 수도 있다.열매에는 씨앗이 상당히 많으며, 껍질을 손으로 살살 벗긴 뒤에 직접 베어물거나 숟가락으로 퍼서 먹을 수 있다. 맛은 매우 단 홍시 비슷하고 설탕이나 배의 알갱이 비슷한 무언가가 씹힌다. 씨앗은 소화가 안 되니 별 이상이 없긴 하지만 씨앗이 상당히 크니 뱉어내는 게 좋다. 한 입 베어물게 되면 산미가 거의 없고 목이 따갑다고 느껴질정도로 무서운 당도를 느낄 수 있다.[3] 분명 과즙이 많고 과육도 부드럽지만, 어마어마하게 달기 때문에 단 맛에 적응이 안 되어 있다면 쉽게 물릴 수 있으며 물이나 다른 과일과 같이 먹어야 할 수도 있다. 단 맛을 좋아한다면 슈가애플이 좋지만, 과일은 새콤달콤해야 한다는 취향이라면 아테모야가 더 낫다.
열매의 껍질에는 아노나신이라는 신경독성 물질이 있기 때문에 아무리 과일이 다 익었더라도 먹기에 좋지 않다. 거기에 껍질은 특유의 향이 강하고 대개 맛이 별로라서 먹기 쉽지 않다. 만약 먹었더라도 맹독성은 아니라 조금 먹은 정도로는 큰 문제가 생기지는 않는다.
4. 아테모야와의 비교
아테모야는 A. x atemoya로 인공 잡종이며 뾰족하게 울퉁불퉁한 면이 있고 파인애플같은 향과 산미가 있지만, 슈가애플은 평평한 면이 있는 울퉁불퉁함을 가졌고 A.squamosa로 원종이며 산미가 거의 없고 신 향도 없으며 굉장히 달다.아테모야가 슈가애플의 잡종이라 당도는 비슷하지만, 한 쪽은 신맛이 강하고 한 쪽은 신맛이 없을 정도로 약하니 취향껏 고르는 게 좋다.
대만에 여행갔다면 그냥 석가라고 하는 게 슈가애플, 봉리석가(파인애플 석가)라고 하는 게 아테모야다.
5. 재배
희귀한 열대과일 치고는 키우는 사람이 꽤 있는 아노나속이라 그런지 간혹 인터넷에서 묘목을 살 수 있다. 또는 씨앗을 5립에 몇 천원 정도로 비싸게 살 수 있는데, 씨앗이 열대과일 치고 건조를 잘 견디는 씨앗이라 건조 상태로 2년 정도 보관이 가능하다. 다만 발아가 몇 달 정도로 오래 걸린다는 게 문제. 산성 토양과 높은 온도, 빛이 잘 드는 곳을 좋아하며, 저온에 약하니 주의해야 한다. 빛이 적으면 수세가 약해지며,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꽃이 피었을 때는 한 꽃에서 암꽃이 먼저 피고 그 뒤에 암꽃이 비활성화되고 수꽃이 피기 때문에 수분시키려면 꽃이 두 개 이상 필요하며 수꽃에서 꽃가루를 받아서 문질러야 한다. 3장의 꽃잎이 덜 벌어졌을 때는 암꽃, 완전히 벌어졌을 때는 수꽃이다.
6. 기타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에 등장하는 고블린맛 쿠키의 모티브다. 설명에 따르면 익지도 않은 슈가애플을 통째로 넣었다고 한다.이름에 애플이 들어가지만 사과와는 무관한 과일이다.
대만에는 거의 1년 내내 나올 정도로 유명한 과일이다. 여행을 가면 먹어볼 수 있는데, 잘 익은 것을 골라서 먹고 씨앗을 잘 씻고 분류해서 식물검역첨부제외로 가져오면 쉽게 발아시킬 수 있다. 씨앗이 발아가 느린 대신 건조를 잘 견디기 때문에 발아시키기 편하다.
간혹 냉동 상태로 수입되는 경우도 있다. 유튜브에서도 리뷰 영상을 볼 수 있다.
2025년 5월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Roblox의 Grow a Garden이라는 게임에서 등장하게되어 인지도가 많이 쌓였다.
슈가애플 생과실은 국내 수입금지품이다.
[1] 같은 과의 다른 속의 열매 여럿을 통칭하는 이름이기도 하다.[2] 대만의 리치(여지)라는 뜻[3] 보통 평균 당도가 26브릭스 정도라고 알려져있다. 당도가 콜라의 2배나 된다. 이것보다 더 단 과일은 매우 마이너한 것들이나 얘도 마이너 아닌가 대추야자 말고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