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원선 | (60.7km, 27.73%) |
| 서울 지하철 1호선 | (7.8km, 3.56%) | |
| 경인선 | (27.0km, 12.33%) | |
| 경부선 | (93.6km, 42.76%) | |
| 천안직결선 | (3.1km, 1.42%) | |
| 장항선 | (19.4km, 8.86%) | |
| 병점기지선 | (2.2km, 1.00%) | |
| [[경부고속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4.7km, 2.15%) | }}}}}}}}} |
| 역 목록 | 운행 계통(급행 / 광명셔틀) | 역사 | 연장 | 문제점 | 사건 사고 |
1. 개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행선지를 기록하는 문서.2. 행선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행선지이다.행선지는 모두
3. 운행 계통 표
- 자세한 사항은 수도권 전철 1호선/운행 계통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운행 열차 수의 검정색은 일반열차, 빨강색은 급행 열차, 파랑색은 특급 열차를 말합니다.
- 광운대역은 광운대행이 아닌 광운대역행이므로 존치해주십시오.
- 2019년 12월 30일 기준
| 소요산 | 광운대역 | 4 | 하행 | |
| 구로 | 5 | |||
| 인천 | 30 2 | |||
| 동두천 | 광운대역 | 2 | 하행 | |
| 구로 | 6 | |||
| 인천 | 10 6 | |||
| 양주 | 광운대역 | 8 | 하행 | |
| 구로 | 2 | |||
| 인천 | 27 | |||
| 의정부 | 인천 | 22 | 하행 | |
| 창동 | 소요산 | 1 | 상행 | |
| 인천 | 3 | 하행 | ||
| 광운대역 | 소요산 | 4 | 상행 | |
| 동두천 | 6 | |||
| 양주 | 4 | |||
| 의정부 | 1 | |||
| 인천 | 3 | 하행 | ||
| 병점 | 8 | |||
| 서동탄 | 48 | |||
| 천안 | 16 | |||
| 신창 | 23 | |||
| 청량리 | 서울역 | 5 | 하행 | [막] |
| 구로 | 2 | [막] | ||
| 병점 | 2 | |||
| 천안 | 24 | |||
| 신창 | 6 | |||
| 동묘앞 | 인천 | 6 | 하행 | |
| 서동탄 | 3 | |||
| 서울역 | 양주 | 2 | 상행 | |
| 광운대역 | 3 | |||
| 청량리 | 3 | |||
| 동묘앞 | 2 | |||
| 서동탄 | 1 | 하행 | [첫] | |
| 용산 | 구로 | 7 | 하행 | |
| 부평 | 6 | |||
| 동인천 | 71 13 | |||
| 영등포 | 인천 | 2 | 하행 | [첫] |
| 광명 | 20 | [4량] | ||
| 구로 | 소요산 | 2 | 상행 | |
| 동두천 | 1 | |||
| 양주 | 1 | |||
| 의정부 | 2 | |||
| 광운대역 | 3 | |||
| 청량리 | 3 | |||
| 인천 | 11 | 하행 | ||
| 병점 | 1 | |||
| 서동탄 | 2 | [첫] | ||
| 천안 | 4 | |||
| 신창 | 5 | |||
| 용산 | 10 | |||
| 부평 | 2 | |||
| 동인천 | 15 | |||
| 부천 | 용산 | 1 | 상행 | [첫] |
| 부평 | 동두천 | 1 | 상행 | [첫] |
| 용산 | 7 | |||
| 동인천 | 용산 | 72 13 | 상행 | |
| 구로 | 13 | |||
| 부천 | 1 | [막] | ||
| 인천 | 소요산 | 33 | 상행 | |
| 동두천 | 10 7 | |||
| 양주 | 28 | |||
| 의정부 | 19 | |||
| 창동 | 5 | |||
| 광운대역 | 2 | |||
| 청량리 | 1 | |||
| 동묘앞 | 6 | |||
| 구로 | 8 | |||
| 광명 | 영등포 | 20 | 상행 | [4량] |
| 병점 | 광운대역 | 11 | 상행 | |
| 구로 | 1 | |||
| 천안 | 2 | 하행 | ||
| 신창 | 3 | [첫시] | ||
| 서동탄 | 광운대역 | 44 | 상행 | |
| 청량리 | 1 | |||
| 동묘앞 | 6 | |||
| 구로 | 4 | |||
| 천안 | 광운대역 | 17 | 상행 | [첫] |
| 청량리 | 24 | |||
| 구로 | 1 | [막] | ||
| 병점 | 4 | |||
| 신창 | 2 | 하행 | [첫] | |
| 신창 | 광운대역 | 26 | 상행 | |
| 구로 | 3 | |||
| 병점 | 2 | |||
| 천안 | 2 | [18] | ||
| 청량리 | 6 |
4. 역별 출발ᆞ도착 열차 수
|수도권 전철 1호선 출발 및 도착 열차 수|<table bordercolor=#0D3692><|2> 역 번호역명 ||<-3> 출발 열차 ||<-3> 도착 열차 ||
| 일반 | 급행 | 특급 | 일반 | 급행 | 특급 | |
| 연천역[19] | 미개통[20] | |||||
| 100 소요산역 | 39 | 2 | - | 40 | - | |
| 101 동두천역 | 18 | 6 | - | 18 | 7 | - |
| 107 양주역 | 37 | - | 38 | - | ||
| 110 의정부역 | 22 | - | 36 | - | ||
| 116 창동역 | 4 | - | 5 | - | ||
| 119 광운대역 | 113 | - | 119 | - | ||
| 124 청량리역 | 9 | 30 | - | 5 | 32 | - |
| 127 동묘앞역 | 9 | - | 13 | - | ||
| 133 서울역 | 11 | - | 6 | - | ||
| 135 용산역 | 7 | 77 | 13 | - | 90 | 13 |
| 139 영등포역 | 22 | - | 20 | - | ||
| 141 구로역 | 35 | 27 | - | 44 | 13 | - |
| 148 부천역 | - | 1 | - | - | 1 | - |
| 152 부평역 | 1 | 7 | - | - | 8 | - |
| 160 동인천역 | - | 86 | 13 | - | 86 | 13 |
| 161 인천역 | 112 | 7 | - | 114 | - | |
| P144-1 광명역 | 20 | - | 20 | - | ||
| P157 병점역 | 17 | - | 17 | - | ||
| P157-1 서동탄역 | 55 | - | 54 | - | ||
| P169 천안역 | 24 | 24 | - | 24 | 24 | - |
| P177 신창역 | 33 | 6 | - | 33 | 6 | - |
[1] 연천구간 미개통[2] 열차 이상/선로 이상/심각한 지연 등의 문제가 생기면 부천/부평 완행도 볼 수 있다.[3] 여기에 열차 이상이나 선로 이상, 심각한 지연 발생 시 지금은 사라진 오류동행, 주안행, 수원행을 희귀한 확률로 볼 수 있다.[막] 막차시간대[막] [첫] 첫차시간대[첫] [4량] 4량 열차.[첫] [첫] [첫] [막] [4량] [첫시] [첫] [막] [첫] [18] 막[19] 일단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 연장의 선례를 따라 097번으로 표기했으나 아직 확정된건 아니다. 개통시 그에 맞추어 수정바람.[20] 소요산역 차량이 나눠지거나 그대로 전수받을(?)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