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제1군단 | 제2군단 | ||
| | | | |
| 제3군단 | 제5군단 | 제7군단 |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 해체된 군단 | |||
| 수도군단 首都軍團 Capital Corps | ||||||
| | ||||||
| 조국의 심장을 지키는 强한 힘! 수도군단 | ||||||
| 창설일 | 1954년 (제6관구사령부) 1974년 3월 1일 (경인지역방어사령부) 1975년 8월 1일 (수도군단) | |||||
| 상징명칭 | 충의부대 (忠義部隊) |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 상급부대 | 지상작전사령부 | |||||
| 규모 | 군단 | |||||
| 역할 |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서남부 지역 방어 | |||||
| 군단장 | 중장 이임수 (육사 50기) | |||||
| 부군단장 | ||||||
| 참모 | 준장 한병기 (육사 52기) | |||||
| 위치 | 경기도 안양시 | |||||
1. 개요
| 군단사령부령 제1조(설치) ① 육군에 군단을 두며, 그 관할구역의 작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단사령부를 둔다. ② 군단의 명칭은 대통령이 정하고, 군단의 예속(隸屬)은 육군참모총장이, 군단의 배속(配屬)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하며, 군단 관할구역은 직속상관이 정한다. |
2. 역사
수도군단은 1954년에 창설된 제6관구사령부를 모체로 둔다. 1974년에 경인지역방어사령부로 개편되었고 1975년에 본부를 경기도 안양시로 이동하여 수도군단으로 개편되었다. 과거 2008년에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수도방위사령부와의 통합할 계획이었으나 국방개혁 307계획의 발표로 인해 무산되었다.3. 편제
3.1. 직할 부대
- 본부근무대
- 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 제700특공연대
- 제10화생방대대
- 제140정보대대
3.2. 예하 부대
3.3. 지원 부대
4. 출신 인물
4.1. 역대 군단장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e3192>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e3192> |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
| 초대 조문환 | 2대 문흥구 | 3대 차규헌 | 4대 박노영 | 5대 이광노 | |
| 6대 최문규 | 7대 정진태 | 8대 임헌표 | 9대 정인균 | 10대 장석린 | |
| 11대 박광영 | 12대 배문환 | 13대 김동신 | 14대 길형보 | 15대 김희상 | |
| 16대 홍순호 | 17대 정수성 | 18대 이희원 | 19대 이성규 | 20대 박종달 | |
| 21대 김기수 | 22대 임관빈 | 23대 김요환 | 24대 권태오 | 25대 이순진 | |
| 26대 최병로 | 27대 김완태 | 28대 이창효 | 29대 최진규 | 30대 이정웅 | |
| 31대 고창준 | 32대 박정택 | 33대 이임수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