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5 19:51:29

소니 픽처스/작품/2020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소니 픽처스/작품
1. 주요 배급 작품별 성과2. 작품 목록

1. 주요 배급 작품별 성과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2작품이나 작품상 후보를 올랐다.

나쁜 녀석들: 포에버가 9000만 달러를 들여서 4억 달러수준으로 시리즈 최고 기록임과 동시에 기대이상의 흥행에 성공하며 시작이 좋다.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7월 현재까지 북미에서 가장 높은 흥행기록을 유지하고 있다.

5월 톰 행크스 주연 전쟁 영화 '그레이하운드'가 장기화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극장 상영을 포기하고 애플TV+ 플랫폼으로 개봉을 선택했다. 제작비는 5000만 달러, 판매금액은 7000만 달러이다.#

9월, 소니 픽처스의 회장 토니 빈시퀘에라는 공식 매체를 통해 소니 픽처스가 코로나19가 종식될때까지 제작비 2억달러(약 2400억원) 이상이 들어간 텐트폴 영화를 개봉하지 않을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1]

12월, 플레이스테이션 게임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는 영화와 TV 프로그램 10편을 제작 중이라고 발표하였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작품 목록

<rowcolor=#ffffff> 제목 미국 상영 대한민국 상영
<rowcolor=#ffffff> 개봉일 배급사 제공사 제작사 개봉일 수입사 배급사
그루지
나쁜 녀석들: 포에버
블러드샷
레코닝[2]
그레이하운드[3]
몬스터 헌터 스크린 젬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덕분에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같은 프랜차이즈 시리즈도 2억 달러가 넘는 제작비를 들이지 못했다.[2] 넷플릭스 배급[3] 애플TV+ 배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