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580, #002984 20%, #002984 80%, #00058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임시 | 초대 | 제2대 | 제3대 |
하세가와 요시미치 | 이토 히로부미 | 소네 아라스케 | 데라우치 마사타케 | |
조선총독 · 군정사령관 | }}}}}}}}}}}}}}} |
역임한 직위 | ||||||||||||||||||||||||||||||||||||||||||||||||||||||||||||||||||||||||||||||||||||||||||||||||||||||||||||||||||||||||||||||||||||||||||||||||||||||||||||||||||||||||||||||||||||||||||||||||||||||||||||||||||||||||||||||||||||||||||||||||||||||||||||||||||||||||||||||||||||||||||||||||||||||||||||||||||||||||||||||||||||||||||||||||||||||||||||||||||||||||||||||||||||||||||||||||||||||||||||||||||||||||||||||||||||||||||||||||||||||||||||||||||||||||||||||||||||||||||||||||||||||||||||||||||||||||||||||||||||||||||||||||||||||||||||||||||||||||||||||||||||||||||||||||||||||||||||||||||||||||||||||||||||||||||||||||||||||||||||||||||||||||||||||||||||||||||||||||||||||||||||||||||||||||||||||||||||||||||||||||||||||||||||||||||||||||||||||||||||||||||||||||||||||||||||||||||||||||||||||||||||||||||||||||||||||||||||||||||||||||||||||||||
|
제2대 한국통감 소네 아라스케 曾禰荒助 | Sone Arasuke | |
| |
<colbgcolor=#000080><colcolor=#fff> 출생 | 1849년 2월 20일 |
나가토국 (現 야마구치현) | |
사망 | 1910년 9월 13일 (향년 61세) |
도쿄부 도쿄시 (現 도쿄도) | |
재임기간 | 제2대 한국통감 |
1909년 6월 14일 ~ 1910년 5월 30일 |
1. 개요
일본 제국의 정치가이자 제2대 한국 통감.2. 생애
일본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조슈 번 사무라이의 아들이며 소네 가문으로 들어가 양자(養子)가 되어 '소네' 성씨를 얻었다.1868년, 존황파(尊皇派)를 자임하여 보신 전쟁에 참전하였고 프랑스로 건너가 원정 유학을 한 적도 있었다. 1893년, 프랑스 공사로 임명되었고 귀국 후에 일본 사법대신(현 법무대신), 농상무대신[1], 대장대신(현 재무대신), 외무대신, 체신대신이 되었으며 1900년 귀족원 칙선 의원이 되었다.
1906년, 을사조약이 체결된 이후 대한제국으로 건너와 초대 한국 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보좌하는 부통감으로 임명되었다가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가 일본 추밀원 의장으로 임명되어 통감직을 사임함에 따라 그의 후임으로 제2대 한국 통감이 되었다.
1910년 5월,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후임 통감으로 임명되면서 물러났다가 그 해 9월 13일 병으로 죽었다. 여하간 경술국치는 보고 죽은 셈.
3. 여담
- 불교 미술품 수집에 관심이 많았다 하며, 한반도의 유물 약탈자로도 악명 높다. 한국 통감으로 부임한 직후 경주에 가서 석굴암을 살펴보고 대리석 소탑을 훔쳤다. 내려오는 길에 불국사 다보탑의 돌사자 네 마리 중 두 마리도 훔쳐갔다는 유력 후보 중 한 명.[2]
4. 대중매체에서
1990년작 KBS1 3.1절 특집극 <왕조의 세월>에선 배우 이종만이 연기했다.[1] 농상무성은 1925년에 농림성과 상공성으로 이성 분리(二省分離)되면서 폐지되었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농상성으로 명칭만 변경된 채 도로 통합되었고, 농상성이 농림성과 상공성으로 재분리 이후 상공성이 통상산업성으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통상산업성이 지금의 경제산업성으로 재개편되었다. 따라서 현 농림수산대신에 가깝다.[2] 나중에 하나가 일제강점기에 또 없어져서 지금은 하나뿐이다. 이 마지막 돌사자는 얼굴 부분이 살짝 깨져 있어서 가치가 낮아 보여 훔쳐가지 않은 듯하다. 십원짜리의 다보탑을 자세히 보면 하나 남은 돌사자가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