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30 14:03:26

센다이시 지하철 토자이선


파일:SendaiSub_Wlogo.svg 센다이시 지하철 운행 노선
파일:SM-N.svg난보쿠선파일:SM-T.svg토자이선
파일:SendaiSub_Wlogo.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SM-T.svg [ruby(東西線, ruby=とうざいせん)]
Tozai Line
토자이선
}}}
파일:SendaiSub-2000.png
센다이시 교통국 2000계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SDITozai_Line_Vroutemap.png
노선 정보
분류 지하철
기점 야기야마도부츠코엔역
종점 아라이역
역 수 13
노선 기호 T
개통일 2015년 12월 6일([age(2015-12-06)]주년)
소유자 센다이시 교통국
운영자
사용차량 센다이시 교통국 2000계 전동차
차량기지 아라이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13.9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전구간 복선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차상1차철륜식 리니어 모터
폐색방식 차내신호폐색식
신호방식 ATC, ATO
최고속도 70km/h
지상구간 (야기야마도부츠코엔)~(아오바야마),
(코쿠사이센터)~(오마치니시코엔)
개통 연혁 2015. 12. 6. 야기야마도부츠코엔아라이
파일:SDITozai_Line_linemap.png.png
실측지도 상의 토자이선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개통 기념 CM 'West meets East_WE.'

1. 개요2. 역사3. 운행 형태4. 역 목록5. 기타

1. 개요

센다이시 교통국이 운영하는 센다이시 지하철의 두 번째 노선이다. 센다이에는 현재 추가적인 지하철 건설 계획이 없으며 센다이의 도시 규모와 일본의 인구 감소 등을 고려하면 센다이의 마지막 지하철 노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1]

2. 역사

사업의 명칭은 '센다이-시오가마 광역도시계획(仙塩広域都市計画) 도시고속철도 제4호 센다이시 고속철도 토자이선'이다.

토자이선과 유사한 지하철 노선에 대한 구상은 1970년대부터 있었다. 당시에는 국철 센세키선 서측 연장, 모노레일 건설 등 다양한 방안이 있었으나 국철의 경영 파탄과 환승 불편 등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현재와 같은 계획은 1999년에 다시 제시되었으며, 아오바야마 일대의 극심한 경사를 극복하고 터널 굴착 사업비를 절감하기 위해 LIM 방식으로 건설할 것을 결정했다. 그러나 먼저 지은 난보쿠선도 수요가 예상치를 밑도는 마당이라, "그럴 돈 있으면 딴 데 쓰는 게 낫다", "적자 노선이 될 것이다" 등의 이유로 건설 반대여론이 의외로 만만치 않았다. 이러한 논란은 2005년 센다이 시장 선거에서 건설 찬성파 측이 승리하면서 잦아들었다.

2005년에 공사시행 허가를 받아 2007년 착공되었다.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으로 공사가 중단되었지만 9월 1일 전구간 공사가 재개되었다. 2013년 12월 24일에는 역명이 확정되었다.

2015년 12월 6일 개통되었다. 개통 이후 토자이선 인근 버스 노선은 전부 폐지 및 노선 변경이 이루어졌다.

토자이선 개통 이후 버스와 지하철에 icsca 단말기가 설치되어 교통카드 및 정기권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에는 자기 카드(SF 카드)를 사서 투입구에 투입하는 방식이었는데 icsca가 생기면서 자연스럽게 폐지되었다.

노선 계획 당시 통학 수요를 강하게 의식하여 노선 주변에 대학교고등학교가 많은데, 덕분에 학생들이 이 노선을 많이 이용한다. 특히 도호쿠대학의 경우 대부분의 캠퍼스가 산골짜기에 있어 토자이선 개통 전에는 통학하기 힘든 대학으로 이름높았는데 토자이선 개통으로 아오바야마 캠퍼스와 카와우치 캠퍼스 안에 역이 설치되어 통학 사정이 크게 개선되었다.

3. 운행 형태

모든 열차가 야기야마도부츠코엔~아라이 구간을 왕복하며, 중간종착역은 없다. 운행간격은 평일 아침 3~4분, 평일 저녁 5분, 나머지는 약 7분이다.

열차는 전부 4량 편성으로 1인 승무로 운행되며, 원칙적으로 자동운전으로 운행되고있다.

해발 0m에 가까운 해안 근처의 종점에서 해발 136m 산 중턱까지 노선이 뻗어있고 중간중간 산을 가로지르기 때문에 노선의 고저차와 경사가 실로 막장이다. 최고 경사가 무려 57퍼밀로 일반 철도로는 도저히 대응 불가능하여 LIM의 성능이 유감없이 발휘된다.

야기야마도부츠코엔역아오바야마역, 코쿠사이센터역오마치니시코엔역 사이는 지상구간이 있다. 이 일대가 계곡과 산지가 반복되는 험난한 지형이라, 지하로만 지나게 될 경우 역사가 지나치기 깊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역사는 지하에 있으나 역 사이에만 잠깐 지상에 나오는 형태는 일본 지하철 중 해당 노선이 유일하다.

도호쿠대학 아오바야마 캠퍼스와 카와우치 캠퍼스로 들어가는 사실상 유일한 교통수단이라 통학 시간대에는 의외로 혼잡하다. 이 때문에 도호쿠대학 입시일에는 임시열차가 운행되기도 한다.

4. 역 목록

  • 모든 역이 섬식 승강장이다.
  • 야기야마도부츠코엔, 오마치니시코엔, 아오바도리이치반초, 미야기노도리, 야쿠시도, 오로시마치, 로쿠초노메, 아라이역의 부역명은 교통국에서 광고로서 판매한 것으로, 2015년 12월 6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적용되었다. 그러나 2020년 11월에도 부역명이 표기되어있고 별도의 공지가 없는 것으로 보아 전부 재신청하여 2025년 3월 31일까지 연장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아오바야마, 카와우치, 코쿠사이센터, 렌보역의 부역명은 교통국에서 붙인 것이다.
  • 전구간 미야기현 센다이시내 소재.
센다이시 교통국 센다이시 지하철 토자이선
<colbgcolor=#00b1dd><colcolor=#ffffff> 번호 km 역명 환승노선 소재지
T01 0.0 야기야마도부츠코엔
(베니랜드 앞)

(八木山動物公園)
(ベニーランド前)
타이하쿠구
T02 2.1 아오바야마
(도호쿠대학 아오바야마캠퍼스 앞)

(青葉山)
(東北大学青葉山キャンパス前)
아오바구
T03 3.7 카와우치
(도호쿠대학 카와우치캠퍼스 앞)

(川内)
(東北大学川内キャンパス前)
T04 4.3 코쿠사이센터
(센다이 성 터 입구)

(国際センター)
(仙台城跡入口)
T05 5.0 오마치니시코엔
(카쇼산젠 본점 앞)

(大町西公園)
(菓匠三全 本店前)
T06 5.7 아오바도리이치반초
(후지사키 앞)

(青葉通一番町)
(藤崎前)
T07 6.5 센다이
(仙台)
센다이시 지하철 파일:SM-N.svg난보쿠선(N10)
JR 동일본 파일:JRE-SKS.svg도호쿠 신칸센, 도호쿠 본선, 조반선, 센세키선,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센세키토호쿠라인, 센잔선
아오바도리역: JR 동일본 센세키선
T08 7.2 미야기노도리
(유어텍 본사 앞)

(宮城野通)
(ユアテック本社前)
미야기노구
T09 8.4 렌보
(센다이 제일고 앞)

(連坊)
(仙台一高前)
와카바야시구
T10 9.5 야쿠시도
(세이와학원 앞)

(薬師堂)
(聖和学園前)
T11 11.0 오로시마치
(센다이 도매상센터 앞)

(卸町)
(仙台卸商センター前)
T12 12.3 로쿠초노메
(선피아 센다이 앞)

(六丁の目)
(サンピア仙台前)
T13 13.9 아라이
(타이세이 하우징 본점 앞)

(荒井)
(大成ハウジング本店前)

5. 기타

일본 내에서는 이 노선이 일본의 마지막 신설 지하철 노선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기존 노선의 연장이나 경전철, 광역철도만이 일부 계획되어 있을 뿐이다.

이 현상은 기존 대규모 궤도 교통이 충분히 갖춰져 있고, 교외화와 저출산으로 도시 인구 증가 가능성이 낮은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비슷하게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기존의 음영지역 역시 역세권 내에 들었기에 굳이 신설 노선을 지을 필요는 크게 없다.

특히 일본의 경우 오랜 저출산으로 센다이와 같은 대도시 역시 향후 인구 감소가 예상되어, 추가적인 노선 건설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1] 1972년 계획에는 7호선까지 계획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무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