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이론과 화성학 Theory of Music and Harmony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474747><colcolor=#fff,#fff> 음악의 구성 요소 | 선율 · 리듬 · 화성(화음) | |
| 선율과 화성 | 가온다 · 음정(반음 · 온음 · 유니즌 · 옥타브) · 음고(센트 · 헤르츠) · 음이름 음률: 순정률(피타고라스 음률) · 평균율 · 국악의 음률 | ||
| 리듬 | 템포(BPM) · 박자(비트) · 당김음 · 폴리리듬 · 국악의 장단 | ||
| 음악의 형태 | 단성음악 · 다성음악 · 화성음악 · 헤테로포니 | ||
| 악보 | 서양의 악보 | 오선보 · 타브 · 일선보 · 사선보 · 비잔티움 악보 · 네우마 악보 · 세이킬로스의 비문 | |
| 동양의 악보 | 율자보 · 정간보 · 오음약보 · 장구보 | ||
| 악상 기호 | 기호: 음표(꾸밈음) · 쉼표 · 음자리표 · 박자표(단순박자 · 복합박자) · 조표 · 임시표 · 줄임표 · 통주저음 지시표: 셈여림 · 빠르기말 | ||
| 음역 | 성악의 음역대: 소프라노 · 메조소프라노 · 콘트랄토 · 카운터테너 · 테너 · 바리톤 · 베이스 악기의 음역대: 소프라노 · 알토 · 테너 · 바리톤 · 베이스 | ||
| 그 외 개념 | 미분음 · 배음 | ||
| 화성학 | |||
| 음계 | 온음계 · 장음계 · 단음계 · 5음음계 · 7음음계 · 반음계 · 블루스 음계 선법 음계: 이오니안 · 도리안 · 프리지안 · 리디안 · 믹솔리디안 · 에올리안 · 로크리안 그 외 음계: 온음음계 · 8음음계 · 얼터드 음계 · Super-Ultra-Hyper-Mega-Meta Lydian | ||
| 조성 | 장조 · 단조 · 선법(교회 선법 · 근대 선법 · 현대 선법) | ||
| 조바꿈(온음계적 전조 · 반음계적 전조 · 이명동음 전조) · 조옮김 · 5도권 | |||
| 화음 | 기초 이론 | 다이어토닉 코드 · 불협화음(셋온음) · 가이드 톤 · 비화성음(경과음 · 보조음 · 계류음 · 전타음 · 선행음 · 이탈음 · 변이음 · 지속음) | |
| 3화음 | 기능: 주요 3화음 · 부3화음 종류: 장3화음 · 단3화음 · 증3화음 · 감3화음 | ||
| 7화음 | 기능: 딸림7화음 · 이끎7화음 · 부7화음 · 속7화음 종류: 장7화음 · 단7화음 · 증7화음 · 감7화음 · 단장7화음 · 반감7화음 · 증장7화음 · 감장7화음 | ||
| 그 외 화음 | 계류 화음 · 부가 화음 · 딸림화음 · 파워코드 · 증속화음 · 변성화음 · 변화화음 · 부속화음 · 하이브리드 코드 6화음: 증6화음(트리스탄 화음) · 네아폴리탄 6화음 | ||
| 그 외 이론 | 보이싱 · 블루 노트 · 텐션 · 통주저음 · 무조성 | ||
| 화성 진행 | 클래식 화성학 진행에서의 기본 규칙 · 머니코드 · 투파이브원 · 클리셰 · 종지(거짓 종지) · 모달 인터체인지 5도권 · 바흐 코랄 | ||
| 대위법 | 다성음악 · 카논(돌림노래) · 푸가 | ||
| 그 외 관련 문서 | |||
| 절대음감 · 그레고리오 성가 · The Lick · 화성학/비판과 의견 | }}}}}}}}} | ||
1. 개요
代理屬七和音 / Substitute dominant기본 속7화음, 부속7화음를 대체하는 속7화음을 말한다.
2. 설명
기존 속7화음에서 셋온음 관계인 3음과 7음의 역할을 서로 바꿔 해당 셋온음을 포함하는 새로운 속7화음을 얻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대리 속7화음의 근음도 원래 속7화음의 근음에서 셋온음(감5도)위의 음정에 위치한다.예를 들어 C조에서 G7이 기본 속7화음이고 감5도 위인 D♭7이 G7의 대리 속7화음이다.
화음 진행 분석에 있어 Sub V7이라 표기하고 하행해결을 위해 점선을 사용한다.
대리 속7화음에 적용되는 음계는 속화음에 적용되는 믹솔리디아 음계(얼터드, 온음음계를 포함)는 완전5도 하행해결이 예상된다. 대조적으로 단2도 하향 해결이 예상되는 대리 속7화음은 코드스케일에 적용에 있어 믹솔리디아 음계가 아닌 리디아 b7 음계가 사용된다.
대리 속7화음의 텐션으로는 보통 9, ♯11, 13이 사용된다. 특이하게도 이 화음의 코드스케일은 lyd b7으로, 원 V7의 altered scale의 tonic만 b5부터 시작하면 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