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희왕 러시 듀얼의 최상급 퓨전 몬스터 카드.2. 설명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00> | 유희왕 러시 듀얼 최강점프 동봉 카드(2025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1월호 | 2월호 | 3월호 | 4월호 | |
SJMP-JP046 블루 투스 콘커런트 버스트드래곤 | SJMP-JP047 트리플 바이퍼 | SJMP-JP048 보이드베르그 게헤나마기아 | SJMP-JP049 아우터카오스텔라임 | |
5월호 | 6월호 | 7월호 | 8월호 | |
SJMP-JP050 로드서번트 플레어 | SJMP-JP051 선풍의 마도사 토르네 | SJMP-JP052 볼태닉컬 라이오 | SJMP-JP053 |
← 2024년ㆍ2026년 → |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퓨전=, 효과=,
한글판명칭=선풍의 마도사 토르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旋風<rp>(</rp><rt>かぜつか</rt><rp>)</rp></ruby>の<ruby>魔導士<rp>(</rp><rt>まどうし</rt><rp>)</rp></ruby>トルネ,
영어판명칭=Torna the Magician of Whirlwind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1600, 종족=마법사족,
소재="풍사 토르네" + 몬스터(어둠 속성 / 마법사족),
조건=이 카드를 퓨전 소환한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상대 필드의 수비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파괴한다. 그 후\, 자신 묘지의 몬스터(레벨 9 / 마법사족) 1장을 고르고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풍사 토르네의 퓨전체. 어둠 속성의 마법사족을 소재로 요구하기 때문인지 속성은 어둠 속성이 되었다.
소재가 되는 풍사 토르네는 범용성이 높으므로 어떤 덱이든 들어가기는 쉽다. 그러나 나머지 소재 지정을 고려하면 기본적으로는 어둠 속성 주축의 마법사족 덱에 쓰일 것이다. 묘지 덤핑이 주력인 타입의 덱이라면 세븐즈 원더 퓨전으로 꺼내기 좋다는 것이 장점. 셀레브로즈 덱에서 쓴다면 후반 효과로 살릴 몬스터를 몇 마련할 수 있겠지만, 소재로 쓸 어둠 속성 비율이 많지 않아서 상성은 그리 좋지 않다.
전반 효과로 수비 표시의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다. 퓨전 소환 전에 풍사 토르네의 효과로 표시 형식을 변경해주면 조건은 어렵지 않게 채워질 것이다. 다만 상급 몬스터인데다 패 코스트까지 요구하는 토르네의 효과를 쓰고 나서 이 카드까지 퓨전 소환하면 그만큼 많은 카드가 깨져나갈 것이다. 몬스터 하나 제거하는데 이만한 소비가 필요할지는 잘 생각해볼 일. 상대가 뒷면 수비 표시 몬스터를 세트했다면 일단 표시 형식을 바꾸는 수고는 줄어든다.
후반 효과로 레벨 9의 마법사족 몬스터를 되살릴 수 있다. 현 시점에서 조건에 부합하는 몬스터는 퓨전 몬스터 뿐이므로 이들을 묘지로 보내는 데에 따로 수고가 필요하다. 그 중 매지션 오브 다크세븐즈, 마스터 오브 세븐즈로드는 이 카드의 소재로도 쓸 수 있으므로 퓨전 소환하자마자 바로 해당 카드들을 필드에 되돌릴 수 있다. 다만 이들을 꺼내는 것부터가 만만치 않은데다 풍사 토르네마저 상급 몬스터다 보니 1턴만에 마련하기는 어려울 것이고, 기회가 된다면 꺼낸다는 느낌으로 생각해 두는 것이 좋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25-05-02 |
RD/SJMP-JP051 | 最強ジャンプ 2025年 6月号 付録カー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