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18:19:43

서울시립대학교/학부/예술체육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서울시립대학교/학부|서울시립대학교/학부]]

파일:서울시립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
{{{#004094,#b9d9e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학교 정보
역사 학부 대학원
캠퍼스 학풍 학사제도
출신 인물 중앙도서관
기타
역동전 }}}}}}}}}}}}}}}}}}

서울시립대학교의 단과대학
도시과학대학 경영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인문대학 예술체육대학 자유융합대학

1. 개요2. 학부
2.1. 스포츠과학과2.2. 음악학과2.3. 디자인학과2.4. 조각학과

1. 개요

서울시립대학교예술체육대학.
예술체육대학 웹사이트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2. 학부

2.1. 스포츠과학과

파일:시립대백기관.png
100주년 기념관
파일:백기관 실내체육관.png
실내 체육관
영문 명칭은 Department of Sports Sciences
  • 국내의 도시스포츠, 스포츠과학 계열 관련 전공을 통틀어봤을때 스포츠계열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 높은 인지도를 자랑한다.
  • 정시모집 실기고사에서 제자리멀리뛰기, 좌전굴, 100M 달리기 3종목을 평가한다(우천시 실내에서 10M 왕복달리기 시행). 정시모집에서는 주로 수능 2등급 초중반 성적대의 학생들이 지원한다.
  • 수시모집 학생부종합전형에서는 8명 선발에 매년 30:1에 육박하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30여 명을 선발하는 정시모집으로 합격하는 것이 대체로 쉬운 편이다.
  • 100주년 기념관에 학과 사무실이 위치해 있으며 대부분의 전공 수업 역시 이곳에서 진행된다.

2.2. 음악학과

파일:시립대음악관1.jpg
음악관
파일:UOS Art Hall.png
음악관 콘서트홀
영문 명칭은 Department of Music
  • 국내 최고 수준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기업은행에서 지원한 스타인웨이 그랜드피아노[1]를 보유하고 있으며 피아노/성악 전공 전용 연습실은 모두 야마하 또는 가와이 피아노를 들여놨다. 작곡 전공 학생들을 위한 전자음악실에는 Mac도 구비되어 있다. 배봉산 기슭에 2016년 신축된 음악관 건물을 단독으로 사용한다.
  • 성악 전공 제외 모든 전공을 정시에서 선발하며 정시 성적 반영비가 40으로 꽤 높은 편이다.
  • 전공
    • 관현악 [2]
    • 성악
    • 작곡
    • 피아노
    • 피아노 반주 [3]
    • 뮤지컬 [4]
  • 한 학년 정원이 30명으로 동일계열 타학교와 비교했을 때 적은 편이다.

2.3. 디자인학과

파일:시립대 조형관.jpg
조형관 후면
영문 명칭은 Department of Industrial and Visual Design
  • 시각디자인전공과 산업디자인전공으로 나뉜다.
  • 2023학년도까지 수시로만 학생을 선발 했으나 2024학년도부터 정시 가군으로 이동했다.
  • 2024학년도부터 학과명이 ‘디자인학과’로 변경된다. ‘공업디자인전공’은 ‘산업디자인전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조각학과와 조형관을 같이 사용한다.

2.4. 조각학과

파일:시립대 조형관 2.png
조형관 정면
영문 명칭은 Department of Sculpture
  • 조각학과는 동일 계열 최상위 수준 타 학교 조소과와 대등한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수업 시설이 아주 좋은 편이다. 원래는 규모가 작다 보니 각종 미술학원 홍보 전단 등에서 눈에 거의 띄지 않았으나, 이후 미술학원 합격자 정보를 보면 꽤 많이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 2024학년도부터 학과명이 ‘환경조각학과’에서 ‘조각학과’로 변경된다.
  • 디자인학과와 조형관을 같이 사용한다.
  • 매년 야외조각전시를 진행한다.

[1] 함부르크 스타인웨이로 알려져 있다.[2] 2023년 기준 : 금관악기, 클라리넷, 플룻, 오보에, 바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타악기, 클래식 기타[3] 대학원 과정[4] 대학원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