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9 18:57:22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교내건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상명대학교/천안캠퍼스
1. 교내 건물2. 청록관(A)3. 상록관(B)4. 본관(C)5. 디자인관(D)6. 송백관(E)7. 제1종합실기관(F)8. 제2종합실기관(G)9. 학생회관(H)
9.1. 층별 안내
10. 한누리관(I)11. 상명스포츠센터(K)12. 계당관(S)13. 노천극장(V)14. 학술정보관(L)
14.1. 프라임정보홀14.2. 상명 KB STAR SQUARE
15. 식물과학관(N)16. 학무관(M)17. 학생생활관(W - R1 / R2)
17.1. 학생생활관 정보
18. 그 외 건물들
18.1. 생활관(P)18.2. 실기관(N1)

1. 교내 건물

파일:IMG_3383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지도
건물 번호
건물 번호 건물 이름 건물 번호 건물 이름
A 청록관 B 상록관
C 본관 D 디자인관
E 송백관 F 제1종합실기관
G 제2종합실기관 H 학생회관
I 한누리관 K 상명스포츠센터
L 학술정보관 M 학무관/산학협력단
N 식물과학관 N1 실기실
P 생활관 R1 학생생활관(구관)
R2 학생생활관(신관) S 계당관
V 노천극장 Z1 정문•수위실
Z2 테니스장
  • 다만 강의 시간표에 나오는 Z의 경우 보통 온라인 수업을 의미한다.

2. 청록관(A)

파일:IMG_33953.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청록관
  • 스튜디오, 소극장, 강의실, 교수연구실 등이 위치해 있는 건물이다.

3. 상록관(B)

파일:IMG_3401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록관
파일:IMG_34023.jpg
상록관 앞 쉼터
  • 융합기술대학 강의실 및 실험실, 교수연구실, 실습실, 휴게실 등이 위치해 있다.

4. 본관(C)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653217_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본관
파일:IMG_33912.jpg
본관 로비
  • 서울캠퍼스의 대학 본관보다 몇 배나 큰 규모를 가진 본부 건물이다. 특이하게도 대학본부 역할과 함께 공과대학의 강의/실습실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5. 디자인관(D)

파일:디자인관.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디자인관
  • 상명대학교의 간판, 디자인대학이 사용하는 건물이다. [1]디자인학부 학생들의 거점으로서 가로로 굉장히 긴 게 특징이다. 이 긴 복도를 활용해 보드를 타는 사람들도 가끔 볼 수 있다.
  • 디자인대 건물이지만 예술대학 소속인 애니메이션학과 만화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 학생들도 이 건물을 쓴다. 시각디자인학과, 산업디자인학과, 패션디자인학과, 세라믹디자인학과, 텍스타일디자인학과(구 섬유디자인학과), 스페이스디자인학과( 구 실내디자인학과), 애니메이션학과, 만화학과, 디지털콘텐츠학과의 강의실 및 학과사무실이 있으며 편의시설로는 화방, 휴게실(각 층마다 존재한다. 층에 따라 창고처럼 쓰이는 곳도 있다.), 디자인모임터(회의 또는 작업실로 쓰인다.), 카페 등이 있다. 카페는 뉴욕핫도그, 팬도로시가 있었으나 2021년부터는 블루포트라는 카페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디자인대학 건물인 만큼 과제 전시 등을 할 수 있는 전시실인 상명갤러리가 존재한다.(전시가 자주 열리는 만큼 여유로울 때 전시를 방문해보는 걸 추천한다.)
  • 비슷한 계열의 학과끼리 같은 층을 쓰는 듯 하다. 1층에 세라믹디자인학과, 2층에 패션디자인학과와 텍스타일디자인학과가 있고 3층에는 산업디자인학과와 실내디자인학과, 4층에 시각디자인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부, 디지털콘텐츠학과가 있다.
  • 상당히 긴 건물이지만 엘리베이터는 하나이다.(그리고 좀 낡은 듯 하다. 문 센서가 없어서 문에 부딪히는 경우가 종종 생기니 다치지 않도록 주의하시길) 수업이 주로 시작되는 9시, 1시 이전에는 엘리베이터가 대부분 만원이다.

6. 송백관(E)

파일:external/www.smuc.ac.kr/653183_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송백관
파일:IMG_33941.jpg
인터네셔널 라운지
  • 어문대 및 산업대 일부학과 학생이 주로 사용하는 건물이다. 1층에 라운지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학생들에게는 어문대 라운지라고 불리며, 줄여서 '어라' 라고 불린다. 또한 송백관 앞 분수대같은 곳에 독도 조형물이 있는 것도 특징이다.

7. 제1종합실기관(F)

파일:IMG_3403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제1종합실기관
  • 무대미술학과와 세라믹디자인학과의 거점 건물로서 대형 작업을 해야 하는 학과들이 사용하는 건물이다. 이 학과의 강의실 말고도 실내디자인학과나 산업디자인학과, 만화애니메이션학부, 휴먼지능로봇공학과가 사용하는 실습실도 있다. 건물의 도색이 바뀌었다. 원래는 초록색과 빨간색이 섞인 색상이였으나 현재는 파란색이다.

8. 제2종합실기관(G)

파일:IMG_3404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제2종합실기관
  • F동이 주로 예술계열 학생들이 사용하는 건물이라면 이 건물은 공대 학생들이 사용하는 건물이다.

9. 학생회관(H)

파일:IMG_34125.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학생회관
  • 동아리방과 매점, 학생식당 등 학생들의 편의를 위한 공간이다. 지하 1층과 5층에 동아리방이 존재한다. 1층에는 기념품점, 안경점, 문구점 겸 서점, 미용실, 보건실 등 편의시설과 학생식당이 있다. 참고로 학생식당은 학생들에게 인기가 좋지 않다. 가격이 주변 음식점과 비슷한 수준으로 저렴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맛이 뛰어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래서 식당 좌석의 거의 절반은 편의점 음식을 먹는 학생들이다. 2015년에 학교 기념품점이 생겼는데 학교 굿즈를 판매하는 곳이다. 학교 마스코트인 사슴이 그려져 있는 후드티 등을 판매한다. 안경점은 꽤 좋다. 시중가보다 저렴하게 안경이나 렌즈, 선글라스를 구입할 수 있다. 2층에는 학생복지팀이 있다. 3층부터 5층까지는 학생회실, 학과 회의실, 동아리실 등이 존재한다. 2020년부터 5층 동아리실이 각 단과대학 휴게실로 바뀌었다.

9.1. 층별 안내

층수 학생회관
B1층 동아리실
1층 상명기념품점, 미용실, 안경점, 서점, 의료지원센터, 학생식당, 휴게실
2층 학생처장실, 학생복지팀, 장애학생지원센터, 예비군대대, 교육방송국,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지편집실, 취업세미나실 1-2, 상명소셜임팩트센터(SSIC)
3층 총학생회, 동아리연합회, 단과대학생회, 대의원회
4층 학부(과) 학생회
5층 동아리실

10. 한누리관(I)

파일:external/www.ee-hwa.co.kr/%EC%A2%85%ED%95%A9%EA%B0%95%EC%9D%98%EB%8F%99%EC%A1%B0%EA%B0%90%EB%8F%84.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한누리관
파일:IMG_338411.jpg
한누리관 정면
  • 2007년에 완공된 천안캠퍼스의 랜드마크 건물. 종합강의동이자 동시에 공과대학 일부학과의 강의실 역할을 하고 있다.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통틀어서 가장 높은 건물이다. 10층 건물로 구성되어있으며, 1층엔 카페, 9층엔 식당이 있다. 학생자리와 교수자리를 구분해놓았지만, 한창 몰릴시간엔 별 의미는 없다. 참고로 교직원식당은 학교 내에서 나름대로 평이 좋은 편이다. 고속도로에서 학교 간판이 보인다.

11. 상명스포츠센터(K)

파일:IMG_3407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스포츠센터
  • 상명스포츠센터는 휘트니스센터, 수영장, 스퀘시장 등의 운동 시설이 갖추어져 있고, 스포츠융합학부 학생들의 실습 공간으로 활용된다.
  • 교직원과 학생들에게 항시 개방되어 있어,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다.

12. 계당관(S)

파일:IMG_3381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계당관
파일:IMG_33799.jpg
계당관 내부
  • 예술대학 강의실과 체육관, 중극장, 스튜디오 등이 위치한 건물이다. 건물의 이름은 물론 대학 설립자 배상명의 호에서 따온 것이다. 계당관 뒷편에는 노천극장이 있다.

13. 노천극장(V)

파일:IMG_3388o.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노천극장
  • 계당관 바로 뒷편에 위치한 야외 무대이다. 캠퍼스 중앙에 있어 접근성이 매우 높다. 또한 대학축제 때 야외공연장 등으로 활용되며, 학생들의 휴식공간으로도 활용된다.

14. 학술정보관(L)

파일:external/www.smuc.ac.kr/653171_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학술정보관
  • 열람실과 멀티미디어실 및 복사실이 있다. 각 층마다 인문사회/자연과학/예술 서적 등으로 분류되어있고, 4층에는 셔틀버스를 기다리는데 지친 학생을 위한 만화코너가 있다. 만화과 학생들은 일반학과 학생들보다 만화책을 더 많이 대여할 수 있고, 기한도 일주일로, 하루만 가능한 타 학과 학생들보다 더 오래 대여할 수 있다!

14.1. 프라임정보홀

14.2. 상명 KB STAR SQUARE

지난 2020년 6월, 천안캠퍼스 학술정보관 1층에 마련된 자율형 학생중심 복합 문화공간이다. 소규모 그룹스터디와 미디어 시연, 자유로운 휴식을 통한 학습과 소통, 힐링이 가능하도록 조성되어 있다.

15. 식물과학관(N)

파일:external/www.ee-hwa.co.kr/%EC%8B%9D%EB%AC%BC%EA%B3%BC%ED%95%99%EA%B4%80(%EC%82%AC)%20%EC%A4%80%EA%B3%B5.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식물과학관
파일:IMG_34191.jpg
식물과학관 내부
파일:IMG_338601.jpg
식물과학관 로비

* 식물학과 교수연구실과 강의실이 있는 건물이다. 식물관은 천안캠퍼스의 나름 숨겨진 스팟으로서 각종 식물들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안에는 작은 냇가와 벤치도 있어서 휴식하기에 정말 좋다. 식물관인 만큼 적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바깥보다 온도가 약간 높다.

16. 학무관(M)

파일:IMG_34083.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학무관
  • 학무관에는 산학협력단, 학생군사교육단, 창업보육센터가 들어서 있다.

17. 학생생활관(W - R1 / R2)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173309_1_1380526479130.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학생생활관 구관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173311_1_1380526527955.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학생생활관 신관

학생생활관(W - R1 / R2)은 구관과 신관으로 나누어지며, 신관은 민간 (BTL) 기숙사로 남자기숙사와 여자기숙사로 분리되며,편의시설의 대부분이 신관에 있다. 구관은 상명여대 시절부터 존재하던 건물이자 ㅁ자 형태의 건물인 관계로 여학생만 입사할 수 있는 건물이다.

신관(R1) - 식당, 편의점, 세탁실, 헬스장, 컴퓨터실, 카페, 열람실이 있다. 기숙사는 출입카드를 찍어야 출입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층마다 벽면 페인팅이 다르다는 점이 특이하고, 복도에는 정수기와 테라스가 있다. 참고로 화장실 문이 없으며, 대신 가운데 세면대를 기준으로 샤워부스와 변기에 불투명 유리로 구분해놓았다. 9층에는 휴게실이 있는데 TV가 있고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공간이다. 참고로 2016년도에 실기작업대가 설치되었는데, 이것 말고는 특별한 시설의 변화가 없었음에도 기숙사비는 5만원이 올라서 학생들 사이에 불만이 제기됐다. 그리고 신관은 냉난방도 좋지 못하다. 중앙난방이자 시간을 칼같이 지키기 때문. 편의점은 야간에는 24시간 운영하여 야간에는 무인으로 운영된다. 야간 시간쯤에 가면 피자나 삼각김밥 등의 야식거리는 거의 동이 나있기 때문에 밤을 새야하거나 먹을 것이 필요하면 미리미리 구입하는 것이 좋다.

구관(R2) - 3층짜리 건물로서, 여학생들만 사용하는 건물이다. ㅁ자 건물이며, 신관보다 방 크기가 약간 더 크고 난방이 더 잘된다. 테라스도 넓어 빨래를 널 수 있는 공간도 적당하다. 다만 화장실이 공동이다. 세면실 겸 화장실과 샤워실이 분리되어 있다. 서로 민망해하는 사람들이 많은지 누군가가 있는 기척이 느껴지면 잘 들어가지 않는다. 그런 귀찮음 때문에 주로 밖에 신발을 벗어두는 경우가 많은데 사감이 굉장히 싫어한다. 그리고 방 문을 닫아도 완전히 닫히는 것이 아니라 아래에 상당한 틈이 보인다. 밖에 누가 지나다니면 그 그림자가 휙 휙 보일 정도인데 여름에 벌레가 이 틈으로 들어오기도 한다. 사감이 구관 1층에 사는 이유로 1층은 늘 쥐 죽은 듯이 조용하다. 구관이 신관보다 높은 빈도로 사감이 직접 점호를 하므로 나름 신경이 쓰이고 불편하다. 세탁은 구관에서는 테라스에 건조대를 이용해 말려도 되지만 분실의 위험이 있어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17.1. 학생생활관 정보

  • 기숙사 - 신관 기숙사에 1인실이 소수 있지만 '아니, 기숙사인데 이 돈을 받아?' 싶을 정도의 서울 원룸 급의 비용이다. 룸메 배정은 주로 같은 과, 같은 학번을 중점으로 랜덤인데 기숙사 3년 생활을 해 본 결과 학번순으로 배정이 되는 편이지만 타 과 학생과 엮이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방을 같이 쓰고 싶은 사람이 있거나, 이 사람이랑은 도저히 안되겠다. 해서 행정실에 말해도 들어주지 않는다. 기숙사 선정은 신입생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100% 학점 선발이다. 한 달에 한 번 청소검사가 있다. 방을 깨끗하게 청소! 이 수준이 아니라 화장실의 타일에 검은 때까지 싹싹 닦아야 한다. 때문에 치약이나 세탁 세제를 이용해 칫솔로 긁어 닦아내야 한다. 심지어 변기 안의 누런 자국, 컵라면을 먹고 버릴때 생긴 주황색 띠 등등도 깨끗하게 닦아야 한다. 거울의 물 얼룩도 당연히 제거. 청소 검사에서 통과받지 못하면 재검사를 받는데 재검사를 받지 않거나 계속 청소를 하지 않으면 벌점 등의 불이익이 있다.
  • 그 외 - 신관에는 테라스가 없고 세탁실에 건조기와 드럼 세탁기가 있지만 각기 1,000원의 이용료가 있다. 한 번 빨래에 2,000원 요금이 아까워서 룸메와 함께 모아서 돌리기도 한다. 하지만 건조기의 경우 빨래가 다 마르지 않아 눅눅하거나 너무 바짝 말라 분명 빨래 전에는 들어가던 바지를 입지 못 하게 되는 경우가 생긴다.게다가 기기가 충분한 것도 아니라 각기 남/녀 세탁실로 벽을 가로두고 나뉘어 있지만 세탁을 마치고 제 때 찾아가지 않아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여학생들이 남학생 세탁기나 건조대에서 옷을 위에 두고 자신의 빨래를 돌리는 경우가 왕왕 있다. 그 과정에서 남학생 빤스를 본 여학생이나 나중에 뚜껑을 열어보고 여학생의 속옷을 발견한 이들의 악! 으악! 하는 소리를 종종 들을 수 있다. 세탁실을 이용 팁으로는 세탁이나 건조를 할 때 알람을 맞춰두고 제 때 찾아가는 것이 좋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지 못하는데다 자신의 빨래가 세탁기 위에 올려져 속옷 등이 만인에게 공개되거나 먼지구덩이의 바닥에 뒹구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배달음식 - 배달 음식은 점호 시간이 지나 출입문이 통제 되어도 현관까지는 나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관의 창문 틈으로 음식과 돈을 주고 받는다. 신관은 틈이 꽤 넓어서 치킨도 무리 없이 드나들지만 구관은 화장실을 통해 끈에 매달린 치킨을 받았다. 먹고자 하는 의지가 있다면 충분히 가능하다.
  • 외박 - 외박은 사전 신청으로 학사정보시스템에서 신청해야 하고 새벽 1시경 귀가하는 방식(외출)도 있으나 이것도 사전신청이다. 작업을 하다 보면 삘이 와서 '어 이거 조금만 더 하면 될 것 같은데...!' 하면 기숙사 점호시간에 맞춰 들어가야 하거나, 외출 신청을 해도 그 시간에 맞춰 들어가지 않으면 또 벌점. 작업 시간을 예측 하기 어려운 예체능계 재학생으로는 매우 불합리한 시스템이다. 심지어 외출 귀가 시간에 맞춰 들어가지 않으면 그 이후에 작업을 끝내도 있을 곳도 없이 캠퍼스에서 방황해야 한다. 때문에 아 이거 한 새벽 3시쯤에 끝날 것 같은데 하면 기숙사도 못 들어가고 아예 나올때부터 수면이불을 챙겨와서 작업실에서 이불 덮고 자는 경우도 많다.

18. 그 외 건물들

18.1. 생활관(P)

파일:IMG_34131.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생활관
  • 사용 여부 불명 (캠퍼스 맵과 VR TOUR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는 있으나, 실제 사용 여부는 알려진 바 없다.)

18.2. 실기관(N1)

파일:IMG_341433.jpg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실기관
  • 사용 여부 불명 (캠퍼스 맵과 VR TOUR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는 있으나, 실제 사용 여부는 알려진 바 없다.)


[1] 상명대학교는 서울캠퍼스의 사범대학과 천안캠퍼스의 디자인대학, 예술대학이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