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5 13:23:54

사이버네틱 존

파일:사이버네틱존.jpg

##
##
사이버네틱 존
サイバネティック·ゾーン
Cybernetic Zone
파일:유희왕 아이콘_속성_불명.png 속성 |
파일:유희왕 아이콘_종류_레벨.png 레벨 X
파일:유희왕 아이콘_종류_다크레벨.png 레벨 X
파일:유희왕 아이콘_종류_랭크.png 랭크 X
파일:유희왕 아이콘_종류_링크.png 링크 X |
파일:링크 기본.png
파일:마커1 투명.png
파일:마커2 투명.png
파일:마커3 투명.png
파일:마커4 투명.png
파일:마커6 투명.png
파일:마커7 투명.png
파일:마커8 투명.png
파일:마커9 투명.png
파일:유희왕 아이콘_공격력.png 2000
| 파일:유희왕 아이콘_수비력.png 1700
파일:유희왕 아이콘_펜듈럼.png
P스케일 X
P효과외1'display:nonP효과외2=e'>
P효과외3'display:nonP효과1=e'>
P효과2'display:nonP효과3=e'>
P효과4'display:nonP효과5=e'>
P효과6'display:nonP효과7=e'>
P효과8'display:nonP효과9=e'>
소재'display:non효과외1=e'>
효과외2'display:non효과외3=e'>
효과외4'display:non효과외5=e'>
효과외6'display:non효과1=e'>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기계족 융합 몬스터 1장을 선택해\
효과2'display:non효과3=e'>
효과4'display:non효과5=e'>
효과6'display:non효과7=e'>
효과8'display:non효과9=e'>

최하단1'display:non최하단2=e'>
최하단3'color:싱크로=#fff글자색공식사용불가=d'color:싱크로=#fff글자색덱구성불가=d@display:inline'>※ 덱 구성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리미터 해제와 동일한 공격력 2배 효과이지만 대상이 융합 몬스터 1장 뿐이며 엔드 페이즈에서야 돌아오고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파괴되는지라 이 카드 한장만으로는 올라간 공격력을 활용할 수도 없다. 다른 카드와의 콤보가 필수인 까다로운 카드. 키메라테크 오버 드래곤이나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에게 사용하게 되면 공격력이 0이 된다.

리미터 해제와는 달리 공격력 2배는 계속 유지되는 효과이므로 스탠바이 페이즈에 파괴되는 것만 막을 수 있다면 높아진 공격력을 살릴 수 있다. 겟 라이드!를 이용해 엔드 페이즈에 돌아온 몬스터에게 유니온 몬스터를 달아줘서 파괴를 막거나, 스탠바이 페이즈를 스킵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는 한 번 공격 후 이 카드로 제외시키고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으로 되돌려서 추가 공격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러면 공격력 2배 효과를 사용할 수 없다.

일러스트에서 개조를 받고 있는 것은 레어메탈 나이트로 이 카드도 기계족 융합 몬스터이기에 이 카드의 발동이 가능하다.[1]

원작에서는 마루후지 료암흑사도 요한과 듀얼할 때 공격력이 올라간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다크 드래곤에게 공격하는 사이버 엔드 드래곤을 제외하기 위해 사용했다. 파워 본드로 융합 소환한 사이버 엔드 드래곤을 대상으로 했기에 사이버 엔드 드래곤의 공격력이 16000이 되어[2] 암흑사도 요한을 경악시켰지만 파워 본드의 리스크에 대한 대비를 해놓지 못했기 때문에 그대로 패배했다. 원래 료는 유벨만 요한에게서 떼어낸 뒤 질 작정이었던 걸 보면 원래는 유벨이 사이버 엔드의 공격이 맞기 전에 요한에게서 도망친 순간 발동해서 본인은 희생하고 요한을 구하며 패배할 의도였던 것 같다.


[1] 듀얼몬스터즈의 혼다가 레어메탈 나이트를 사용한 것을 반영했는지 듀얼링크스에서 혼다 전용 대사가 있다.[2] OCG에서는 제외되었다가 다시 돌아올 때 파워 본드의 효과가 사라져 8000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