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8 22:39:14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리부트}}}에 대한 내용은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리부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리부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리부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리부트: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리부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리부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리부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로고.svg
모던 워페어 시리즈의 플레이어블 주인공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존 "소프" 맥태비시 중사
(제22SAS연대)
폴 잭슨 병장
(미 해병대 포스 리컨)
존 프라이스 소위
(제22SAS연대)
AC-130 승무원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조셉 앨런 일병
(레인저)
게리 "로치" 샌더슨 중사
(태스크 포스 141)
제임스 라미레즈 이병
(레인저)
존 "소프" 맥태비시 대위
(태스크 포스 141)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3 데릭 '프로스트' 웨스트브룩 하사
(델타 포스 메탈 팀)
유리
(태스크 포스 141)
안드레이 하르코프 요원
(FSO)
마커스 번즈 중사
(제22SAS연대)
존 프라이스 대위
(태스크 포스 141)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알렉스 켈러
(CIA)
카일 게릭 하사
(제22SAS연대)
파라 카림
(우르지크스탄 해방 전선)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
(태스크 포스 141)
존 "소프" 맥태비시
(태스크 포스 141)
카일 "가즈" 게릭
(태스크 포스 141)
로돌포 파라
(로스 바케로스)
섀도우-1 TV 오퍼레이터
(그림자 중대)
디파올로 병장
(그림자 중대)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I 안드레이 놀란 / 알파 2-1
(코니 그룹)
파라 카림
(우르지크스탄 해방 전선)
존 프라이스 대위
(태스크 포스 141)
케이트 라스웰
(미국 중앙정보국)
사마라 잘랄
(우르지크스탄 해방 전선)
존 "소프" 맥태비시
(태스크 포스 141)
카일 "가즈" 게릭
(태스크 포스 141)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
(태스크 포스 141)
필립 그레이브즈
(그림자 중대)
※ 캠페인 기준으로 서술 }}}}}}}}}
파일:오리지널고스트.jpg
사이먼 "고스트" 라일리
Simon "Ghost" Riley
출생 1984년 5월 17일
그레이터 맨체스터맨체스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소속 SAS
태스크 포스 141
연합군
SpecGru
호출 부호 브라보 0-7 (Bravo 0-7)
신체 189cm, B형
계급 중위
등장 작품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콜 오브 듀티: 고스트(멀티플레이 캐릭터)
콜 오브 듀티: 인피니트 워페어(멀티플레이 캐릭터)
콜 오브 듀티: 모바일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캠페인 리마스터
성우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문서명}}}{{{#!if 출력 != null
}}}}}}]]
크레이그 페어브라스(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스포일러 주의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생존 여부 사망 (K.I.A.)
사망 원인 셰퍼드 장군.44 매그넘으로 사살
날짜와 장소 2016년 8월 15일
캅카스 산맥블라디미르 마카로프의 은신처 근처 }}}}}}}}}


1. 개요2. 작중 행적3. 기타


1. 개요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의 등장 인물.

2.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nopad>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Ghost_MW2_campaign_menu.jpg
모던 워페어 2 캠페인 메뉴 배경화면을 장식하고 있는 고스트
게임상 스탯
체력 영웅[1] : 100
팀 설정 Ally (아군_영웅)

태스크 포스 141의 멤버로, 개리 "로치" 샌더슨과 함께 브라질러시아를 주무대로 활약한다. 성우는 크레이그 페어브라스[2]로, 모던 워페어1의 가즈와 모던 워페어3의 월크로프트 역도 맡았다.

군복에 달린 유니언 잭과 특유의 억양으로 보아 소프와 마찬가지로 영국군이며, SAS 출신이다. 계급은 중위이며, 주무장은 M4A1 또는 맥풀 ACR. 해상침투 임무나 잠입 임무에서는 MP5K에 소음기를 달고다닌다.

작중에서 얼굴은 불명이다. 얼굴에는 본인의 코드네임에 걸맞게 해골 모양이 그려진 발라클라바를 쓰고 있는데, 심지어는 수중 침투 미션에서도 그렇게 꽁꽁 싸매고 다닌다. 여러 모로 볼 때 전편의 가즈 포지션으로, 소프가 자리를 비운 사이에 사실상 팀을 지휘하는 역할을 맡기도 하고, 가즈처럼 컴퓨터 관련 임무를 맡는다.[3][4] 사실 성우도 같다. 성우가 같아서 출시 전에 가즈가 다시 나온다느니 가즈의 동생이니 루머가 많았지만 고스트의 과거는 게임 내에서 전혀 밝혀지지 않는다. 팀원 중 누군가가 큰일을 저지르자 당황하는 모습도 보인다. 소프는 자신의 일지에서 신병 평가 중 고스트의 코드네임을 보고는 어떤 자식이 지 코드네임을 고스트로 짓냐며 어이없어 했다.[5]

특유의 억양과 시니컬한 성격 때문에 숱한 어록을 남기기도 했다. Bollocks![6]라는 욕을 입에 달고 살며 굴라그 침투 미션중 셰퍼드가 지휘하는 해군 전투기가 쏜 미사일 때문에 헬리콥터가 흔들리자 위험하다며 무전하지만 데인저 클로스를 무시한 채 작전을 진행하는 것이 특징인 셰퍼드에게 무시당하자 "좆 같은 양키 새끼들... 저딴 새끼들이 우리 편이란 말입니까?" 라며 TF팀 전체 무전 주파수에 대고 욕을 했다가, 잡담 그만 하고 작전에 집중하라는 소프의 지적을 듣는다.

로치와 함께 러시아-그루지야 국경에 위치한 블라디미르 마카로프의 안전가옥을 습격하였으나 마카로프는 없었고, 수많은 대원들의 희생 끝에[7] 정보를 빼낸 후 적군의 포격에 당한 로치를 부축해 탈출하지만 로치는 탈출 지점에 있던 셰퍼드 중장의 배신으로 사망한다. 셰퍼드가 로치를 쏴 죽이자 "안 돼!"를 외치며 자신의 총으로 셰퍼드를 쏘려 하지만 고스트 역시 셰퍼드의 리볼버에 맞고 쓰러진다. 이때 통신으로 프라이스 대위가 응답하라고 애타게 소리치지만 이미 때는 늦어 그림자 중대가 둘의 몸에 기름을 붓고 불을 붙여 확인사살한다.[8]

파일:external/images1.wikia.nocookie.net/800px-Ghost.jpg

그런데 다소 이상한 점은, 이 영상이 끝나고 새로 나오는 브리핑에서 로치는 확실히 KIA(Killed In Action: 임무 중 사망)로 표시되지만 고스트는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불타기 전 셰퍼드의 병사들이 축 늘어진 고스트를 던지며 슬로우 모션으로 헤드샷이 아닌 몸 관통상을 입었다는 점을 확실히 보여준다.[9] 거기다 셰퍼드가 담뱃불을 던지면 시점을 셰퍼드에게 고정하고 조작을 막아서 고스트가 타는 모습을 볼 수 없게 한다. 로버트 볼링[10]이 IGN과의 인터뷰에서 누군가가 고스트가 살아있을 가능성에 대해 묻자 "고스트는... 확실히 죽은 게 아닙니다. 조만간 무슨 뜻인지 아시게 될 겁니다."라고 말했다.[11] 고스트와 가즈는 동일인물이 아니라 절친이었다. 또한 고스트가 해골 모양 발라클라바를 꼬박꼬박 챙겨쓰는 이유는 죽은 친구에 대한 애도의 의미며, "너는 내가 왜 이런 모양의 마스크를 쓰고 있는지 궁금하겠지? 이건 내가 죽은 친구에게 보내는 헌사야. 그런데 그 자식이 살아있으면 그놈은 진짜 개자식이야"라는 대사가 비공식적으로 공개되기도 했다.

해외 웹에서는 살아 있다고 주장되는 떡밥이 가득한데, 무엇보다 고스트가 살아있다는 증거만으로 검색을 해보면 수천 개의 자료가 뜰 정도다.

그들의 주장은 일단 고스트가 총을 맞은 위치는 머리가 아닌 몸이라는 점과 그림자 중대가 로치에게만 가솔린을 뿌린 점,[12] 이후 나온 트레일러 영상에서 고스트와 실루엣이 비슷한 자가 나타났다는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하지만 정황상 고스트는 죽었다고 보는 것이 맞다. 셰퍼드 장군이 본색을 드러낸 이후부터 소프, 프라이스를 제외한 대부분의 대원들이 숙청당했는데, 최고의 군인들이 모인 전투집단 태스크 포스 141내에서도 소프, 프라이스와 더불어 특히 손꼽히는 뛰어난 대원인 고스트를 셰퍼드 입장에서 굳이 살려둘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2020년 리마스터판에서 총에 맞은 고스트에게도 그림자 중대가 가솔린을 뿌림으로서 고스트는 사망했다는 게 사실이 되었다. 아예 화면 왼쪽 구석진 곳에 작게나마 고스트까지 시야에 비추면서 고스트와 로치가 함께 불에 타버렸음을 알려주고 있다. 일부러 이렇게까지 모션을 다르게 만든 것을 보면 제작자도 웹에서의 잘못된 고스트 생존설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었던 모양.

인기가 좋다보니 팬들이 모던 워페어 3 광고에 등장한 월크로프트를 고스트로 혼동하는 일도 벌어졌고, 제작사도 모던 워페어 2가 출시된 지 한참 지난 뒤에도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TV 광고에 고스트를 등장시키거나, 별 상관도 없는 모던 워페어 3에는 액트 1의 Black Tuesday(악몽의 화요일)와 액트 3의 Stronghold(요새)의 브리핑 영상 그리고 엔딩에 소프, 프라이스, 샌드맨과 함께 찍은 사진이 나오는 등 팬서비스가 많다.[13]

콜 오브 듀티: 모바일의 배틀 패스 코믹스에서도 고스트의 최후를 오마쥬한 씬이 나오는데 원작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틀어놓아 상당한 충격을 선사한다.[14]

그리고 리부트작 3의 TacGas 번들중 처형으로 가솔린 처형이 있는데 구작 모던워페어 고스트의 최후를 오마주했다. 고스트에게 이 처형을 장착하고 그림자 중대관계자 필립 그레이브즈 등에게 가솔린 처형으로 역관광이 가능해졌다?

후술할 리부트 작품에서는 디자인이 오리지널과는 많이 달라졌는데 오리지널 고스트의 외형이 여전히 인기가 많기 때문에 오리지널 외형의 스킨이 자주 나온다.

3. 기타

  • 모던워페어 2 멀티플레이에서 태스크포스 141측의 오퍼레이터로 등장한다.
파일:attachment/MW2GHOSTEMBLEM.png
* 모던 워페어 2 멀티플레이에서 해금/사용할 수 있는 엠블럼이 있다. 해금 조건은 챌린지 'MVP Team Deathmatch' 완료로, 팀 데스매치에서 1위를 하면 된다.
  • 해골이 그려진 발라클라바가 상당히 멋져 인기가 많다. 게다가 게임속에서의 활약 덕택에 서바이벌 게임용품점의 스컬 발라클라바[15]는 거의 품절상태다. 고스트가 이 해골이 그려진 발라클라바를 착용하는 이유는 바로 죽은 전우에 대한 헌사. 그래서 고스트는 "이건 죽은 내 전우에 대한 헌사야. 그런데 그 놈이 만약 살아있다면 그 놈은 지구에서 제일 가는 씨발놈이겠지." 라고 했다.
  • 머리카락은 연갈색, 눈색깔은 파란색. 그리고 끼고 있는 선글라스 덕분에 눈이 흰자처럼 보인다. 코드네임대로 귀신같다. 얼굴이 절대 안보일 것 같지만 석유 시추 시설 침투 미션에서 잘 보면 살짝 보인다. 그리고 더 정확한 모습은...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Riley%2C_Sparks_and_Washington_MW2G.png
하지만 코믹스에서의 모습이고 실제 인게임 모델링과는 다르기에 작가 마음대로 그렸다고 보면 된다.[16]
  • 첫 미션 S.S.D.D에 나오는 레인저들의 잡담에 따르면, 그 미션의 사격 코스를 M1911 한 자루만 가지고 18.28초만에 통과했다고 한다. 같은 잡담에서 나오는 소프의 기록은 0.02초 빠른 18.26초. 소프의 일지에서 나오는 고스트의 신병 평가표에서 체력테스트 점수가 최고득점. #
  • 고스트의 인기는 사실상 모던 워페어 2를 상징하는 아이콘이나 마찬가지 취급이다. 팬 코믹스가 나와도 대부분 고스트가 주인공이고, 사실 본작에서도 메인 화면에서 나오는데다가, 스크린샷에서도 고스트가 나오는 샷이 많을 정도다. 심지어 10년 후에 나온 모바일 게임 콜 오브 듀티: 모바일에서도 메인 화면과 실행 아이콘에서 맨 앞자리를 차지했다.
  • 2013년 LAPD가 고스트 때문에 출동하는 일이 생겼다. 창가에 있는 고스트 스태츄를 보고 무장괴한으로 착각하여 출동한 것. #
  • 콜 오브 듀티: 고스트의 멀티플레이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커스텀 파츠로 고스트의 발라클라바, 복장이 등장하여 누구나 해당 파츠만 있다면 고스트를 재현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작품에 등장하는 군견의 이름 또한 고스트의 본명에서 따온 '라일리'이다.
  • 한국 옥스포드 블럭에 유사한 모습의 완구가 등장했다.#
  • 콜 오브 듀티: 모바일에선 출시 이래로 대표 캐릭터 and 튜토리얼 설명자로 등장한다. 배틀패스 캐릭터로 많이 등장하여 다양한 스킨들이 있으며, 인기 덕에 배틀패스 코믹스 스토리에서도 프라이스 대위 등의 동료들과 함께 거의 진주인공급 비중을 자랑한다. 사실 고스트가 주인공이라고 해도 될정도로 고스트를 중심으로 일이 돌아간다. 하지만 뉴 시즌 진행중 동맹을 맺은 템플러와 닉토를 배신하는 바람에 혐성밈이 붙어버렸다(...)


[1] 실제로 FF 파일을 분석해보면 주연급 캐릭터들은 단순히 아군판정이 아니라 영웅(Hero)판정이라는 특수한 Aitype이 적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뒤에 100이라는 체력은 가끔 등장하는 잠입임무나 아군 캐릭터가 무언가 행동을 할 때 그들이 죽지 않도록 엄호해야 하는 임무에서 적용된 체력이다.[2] 영국 출신 배우로, 영화 클리프행어에 악당 중 한명으로 출연한 바 있는데 블랙옵스 시리즈의 등장인물 마이크 하퍼를 맡은 배우 마이클 루커와 함께 출연했다.[3] 고스트의 대사 "Let's do this."는 가즈가 '열'의 브리핑 중 마지막에 한 대사이기도 하다.[4] 그리고 소프는 고스트의 컴퓨터 실력에 대해 "더럽게 느리게(snail pace) 해킹한다"고 총평. 굴라그 잠입 미션에서 엉뚱한 문을 열거나 제때 맞춰 문을 열지 못해 대원들이 갇히게 한 것을 보면 이해가 안 가는 바는 아니다. 당시 고스트의 변명은 하드웨어가 너무 고물이라 늦는 거라고.[5] 다른 말도 아니고 프라이스가 자기 코드네임인 소프를 비꼴 때 했던 대사를 그대로 옮겨 "어떤 지랄맞은 놈의 이름이 고스트지?(What the hell kind of name is Ghost?)"라고 써놨다.[6] 사전적 의미는 불알. fuck의 대체어로 쓰이는 영국식 욕설이다. 대한민국의 욕으로는 대충 '씨부랄'에 해당한다. '뻘렉스!' 하는 특유의 발음이 일품.[7] 탈출할 때 로치와 고스트만 살아남았다. 나머지 인원들을 살려서 마지막까지 끌고 가도 고스트가 부상당한 로치를 끌고 가는 컷신이 나올 때 모두 없어진다.[8] 프라이스의 무전은 다음과 같다. "고스트! 응답하라, 여긴 프라이스다! 폐차장에서 셰퍼드의 부하 놈들에게 공격을 받고 있다!! 소프, 왼쪽을 방어해라! 셰퍼드를 믿지 마라! 다시 반복한다, 셰퍼드를 절대 믿지 마! 소프, 엎드려!"[9] 셰퍼드의 권총은 매그넘 리볼버라 반동이 커 발사와 동시에 위로 솟구치기 때문에 머즐플래쉬 위치가 머리 근처로 가서 헤드샷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10] 인피니티 워드의 Creative Strategist라는데, 개발자인것 같다. 블랙 옵스의 개발도 맡았다.[11] 그런데 일각에서는 '고스트는 당신들의 마음에 살아있으니까 모던 워페어 3나 사세요' 라고 해석하는 사람들이 일부 있기도 하다.[12] 물론 로치한테만 뿌렸다고 해도, 바로 옆에 고스트가 있었으니, 고스트도 불이 번졌을 확률이 높다.[13] Black Tuesday의 브리핑 영상에 나오는 Operation Kingfish 당시의 사진에서는 샌드맨을 제외한 나머지 3명(프라이스, 소프, 고스트)은 전부 모자이크 처리되어 나온다. 이는 Operation Kingfish 자체가 비밀 작전이었기 때문에 부대원 신원을 밝힐 수 없었지만 해당 미션에 투입되는 델타포스 요원 샌드맨의 경력을 소개하기 위해 샌드맨만 모자이크를 하지 않았거나, 혹은 TF141이 존재부정 상태였기 때문에 해당 부대 소속원들 및 실시했던 작전에 대해 블라인드처리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14] 여기선 DSM을 받았냐고 물어보고는 받자마자 그대로 상대를 가차없이 쏴버리는 쪽이 고스트이며, 심지어 그 직후엔 그 DSM을 원작에서 자길 죽인 쉐퍼드 중장에게 넘겨주기까지 한다. 원작의 고스트처럼 토사구팽당하는 인물은 모바일의 오리지널 캐릭터인 템플러로, 이 사람은 딸의 안전을 보장해주겠다는 고스트의 약속을 믿고 전향하여 태스크 포스 141과 협력했었으나 결국 버림받고는 딸의 눈앞에서 죽음을 맞는다.[15] 미 해군 SEAL팀에는 실제로 해골 발라클라바가 지급된다. 서바이벌 게임 용품점에서 파는 것은 이것의 미국제 레플리카다. 가끔 SEAL팀이 쓰는 오리지널이 들어오기도 하나 금방 품절된다. 사실 입이 가려진 발라클라바는 보기에는 매우 멋지지만 실제로는 매우 불편하다. 숨쉴때마다 내뿜는 입김과 침이 입 주위를 축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대신 사막 지역에서는 모래바람을 막는데 유용하며 얼굴을 가리면 상대에게 위압감을 주기 때문에 현지 주민들을 상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16] 모던 워페어 2 이전의 고스트의 활약을 그린 총 6부작의 코믹스다. 제목은 모던 워페어 2: 고스트(Modern Warfare 2: Ghost)이며, 데이비드 레팸이 쓰고 와일드스톰 프로덕션이 제작했다. 고스트의 이전 생활과 트레이드 마크인 해골 발라클라바의 기원에 대해 다루고 있다. 위 사진의 문구를 해석하자면, "그의 이름은 라일리. 사이먼 라일리, SAS 출신이다. 몇몇 사람들은 SAS를 최정예라고 한다. 그리고 라일리는...그들 중에서 최고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