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1.1. 원작
한글판 명칭 | 사신 드레드 루트 (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THE DEVILS DREAD-ROOT[1] | |||
영어판 명칭 | The Wicked Dreadroot |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10 | 신 | 사신야수족 | 4000 | 4000 |
Fear dominates the whole field. Both attack and defense points of all the monsters will halve. (공포가 필드를 지배한다. 필드 위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 수비력은 절반이 된다.) |
유희왕 R에 등장한 사신의 카드로서 이 카드 이외의 다른 사신인 사신 이레이저, 사신 아바타와 함께 삼사신으로 불리는 카드이다. 이 중 사신 드레드루트는 신의 카드로 치면 오벨리스크의 거신병과 같은 위치에 서 있으며 그 거대한 육체와 압박의 실루엣 또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과 흡사하다.
유희왕 R의 언급에 따르면 페가서스 J. 크로퍼드 회장이 신의 카드를 만들면서, 이 카드도 함께 만들려고 했지만, 그 힘을 두려워 한 나머지 카드로서 만들지 않고 봉인했던 것을 페가수스의 부활을 위한 힘을 얻기 위해 그의 제자 중 1명인 텐마 야코가 봉인을 풀고서 만들었다고 한다.
유희왕 R에서는 텐마 야코의 형인 텐마 겟코가 사용하는 것으로 첫 등장했으나 아르카나 나이트 조커에게 파괴당하고, 카이바와의 대전에서 야코 또한 사용했다. 야코가 별도로 제작한 카드이기에 여러 장 존재할 수 있었던 것. OCG와 다르게 원래 공격력만 반으로 할 수 있었고 신에게는 통하지 않기 때문에 다소 약한 감이 보이나 신에겐 효과가 없다는 걸 역이용해 사신 아바타의 공격력을 4001로 만든 다음 카이바 세토를 끝장내기도 했다.
공격명은 '피어즈 녹 다운(Fears Knockdown)'.
하반신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몬스터이기도 한데 신의 진화를 사용했을 때는 뱀의 꼬리로 변화했으며, 월드 챔피언십에선 그냥 멋없는 야수 다리로 나타났다.
1.2. OC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신 드레드 루트,
일어판명칭=<ruby>邪神<rp>(</rp><rt>じゃしん</rt><rp>)</rp></ruby>ドレッド・ルート,
영어판명칭=The Wicked Dreadroot,
레벨=10,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4000, 수비력=4000,
효과외1=이 카드는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 3장을 릴리스했을 경우에만 통상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필드의 다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절반이 된다.)]
원작 효과가 OCG로도 구현되어 동봉 카드로서 비싸게 팔리고 있다. 삼사신 중에서는 그 강한 효과와 V점프 동봉으로만 나왔다는 점 때문에, '75000원' 까지 값이 폭등하는 최고의 몸값을 자랑했다.[3] 허나, 대한민국에 프리미엄 팩 Vol.1을 통해 정발되면서 물량이 미칠듯이 풀리는 바람에 프리미엄 팩 1이 나온 지금은 500원...
기본적으로 특수 소환은 불가능하며, 소환하기 위해선 신의 카드와 같이 3장을 릴리스해야만 일반 소환할 수 있다.[4] 능력치는 현재까지 나온 악마족 중에서는 환마황제 라비엘과 함께 원래 공격력 1위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절망신 안티호프가 나와서 2위로 밀려났다. 물론 실제로는 공격력 / 수비력 반감 효과 때문에 드레드 루트가 압도적으로 이긴다. 뿐만 아니라 자신에 대응하는 신인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마저도 대상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시원하게 박살낼 수 있다. 하지만 누구의 차례이냐에 따라서 다르고 오벨리스크를 컨트롤하는 플레이어의 턴이라면 효과로 사신 드레드 루트를 역으로 박살낼수 있지만 통상소환했다면 안그래도 필드에 몬스터가 없을테니 효과 발동을 위한 제물 2마리를 그 턴 안에 수급할 방법은 찾아야한다.
필드에 있는 다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모두 반으로 줄이는 사기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다. 지속효과라서 체인도 안 타는데다 이 녀석의 살인적인 공격력 수치와 합치면 거의 반칙급의 능력. 사실상 전투 파괴가 거의 불가능하다. 사신 아바타와 같이 나오면 나중에 나온 카드의 효과가 더 늦게 적용되기 때문에, 드레드 루트가 나중에 나올 경우 계산상 아바타의 공격력이 +100된 후에 절반이 되는 효과 처리 순서로 아바타도 이긴다. 수비력을 공격력으로 취급할 수 있는 초중무사도 수비력을 함께 깎아버리기 때문에 쉽게 이긴다.
게다가 지구거인 가이아 플레이트처럼 중간에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에 변동을 주는 효과가 발동할 경우, 저 공수 반감 효과가 체인 마지막에 한번 더 작용한다. 공식 특수재정이므로 얄짤없다. 공격력을 역시 반으로 깎는 블랙 가든 같은 카드와 조합할 경우 1/4이 아니라 1/8이 된다. 거기다 몬스터가 더 튀어나올 경우 더 깎일 수도 있다. 이쯤되면 충격과 공포.
왕호 왕후가 자신 필드 위에 나와 있다면 공격력 2800 이하의 몬스터는 전부 왕호 왕후의 효과로 치워버릴 수 있다.
여담이지만, 저 공격력 반감 효과 때문에 사신 아바타와 같이 어니스트와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의 효과를 무시하고 파괴할 수 있는 얼마 없는 카드 중 하나다. 어니스트의 경우, 어니스트의 효과가 발동해 4000 공격력이 올라가지만 그 이후 드레드 루트의 공격력 반감 효과가 적용되면서 "올라간 후의 수치"가 절반으로 깎이기 ((어니스트 쓰기전의 몬스터 공격력 + 4000)/2 = 최종 공격력) 때문에, 반감되기 전의 공격력이 4000 이상어야 어니스트를 동원해 없앨 수 있다.[5]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은 스스로의 효과로 5000으로 만들어도 이 카드의 효과가 그 이후에 처리되어서 2500이 되어 라이트닝이 진다.
단점은 내성이 전혀 없다는 것 정도. 파괴건 바운스건 제외건 효과 하나면 무효화된다. 이것만은 마법 함정을 2턴동안 봉인하는 아바타에게 밀리는 점이다.
어찌됐든 그 특성상 순수 전투만으로는 그야말로 무시무시한 파워를 발휘하기 때문에, 비트 다운 전법에서 크게 진가를 발휘한다. 이 점에선 특성상 상대에게 직접적인 치명타를 먹이기가 매우 힘든 아바타[6]보다 훨씬 더 낫다고 볼 수 있다.
명색이 삼사신인데 월드 챔피언십 2010의 바의 퍼즐 듀얼 4에서 사★출!당한다. 다크 다이브 봄버 참조. 참고로 이때의 다크 다이브 봄버는 대사신이라고 불릴 정도의 흉악한 성능을 자랑했었다.
[1] 삼환신과 마찬가지로 카드 텍스트가 영문으로 표기되어있다.[2] 이 카드의 구도는 유희왕 R 1권의 204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3] 이만큼 높은 가격을 자랑하던 카드는 성도기사 이슈자크나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정도를 제외하면 그리 많지 않았다.[4] 코믹스에서는 특수 소환도 된다.[5] 다만 반감되기전 공격력이 높을경우 계산 (반감 2번) 후에 4000이 되거나 4000을 넘겼을때가 생기기도 한다.[6] 아바타는 무조건 필드의 가장 강한 몬스터보다 +100으로 공격력이 결정되기 때문에 자신 필드에 가장 강한 몬스터가 있거나 상대 필드에 강한 몬스터+약한 공격 표시 몬스터가 여럿일 경우에나 제대로 된 데미지를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