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28 낙원상가 5층 500호-32 | 대표 | 홍선호 |
사업 | 1. 한국전통미술, 디지털 기술, 타산업과의 융합 연구 및 전문인력 양성 아카데미 교육 사업 2. 학술대회, 강연, 전시, 외부 자문 등 한국전통미술 제반 융합행사 개최 및 학술 연구자료 출판 및 간행 3. 한국 전통유산 활용 프로그램 기획, 개발 및 전통유산 진위, 가치 등을 감정 4. 한국 전통유산의 디지털 콘텐츠 기획, 개발, 제작,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타산업과의 융합 사업 5. 그 밖의 본원의 목적 달성에 필요한 문화 예술 관련 사업 - 한국전통미술 강연 및 교육사업 - 한국전통미술 학술연구 자료 저작권료 및 출판, 판매사업 - 한국전통유산 진위 여부, 가치 감정 수수료 사업 - 한국전통유산 디지털 융합 콘텐츠 기획, 개발, 컨설팅 사업 - 기타 필요한 고유목적 내 수익사업으로서 이사회 의결이 있는 사업 | ||
링크 | |||
연락처 | tel: 02-733-3326 fax: 02-747-9847 e-mail: [email protected] |
1. 개요
사단법인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은 한국전통미술 및 타산업과의 융합, 기술, 인적 인프라 교류를 지향하며 전문 인력 양성, 전통유산의 디지털화, 디지털아카이브 구축, 아트페어 및 전시회 개최, 전통유산 활용 교육, 한국전통미술 콘텐츠 기획 등을 통해 한국전통미술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법인이다.2. 연혁
운영 및 연혁1. 2024.05 제 2기 임원진 취임
2. 2022.05 사단법인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설립
3. 2022.02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초대 회장 홍선호 취임
자세한 운영사업 및 연혁은 홈페이지 참고
자격 부문
1. 2023.04 한국전통미술도슨트 자격증 1급/2급(제 2023-002265호)
- 연계수업 : 한국 전통미술도슨트 양성과정
- 한국의 역사와 문화, 한국미술의 흐름, 전시해설과 도슨트의 역할 3개 수업으로 구성
- 한국의 역사와 문화, 한국미술의 흐름, 전시해설과 도슨트의 역할 3개 수업으로 구성
3. 사업
3.1. 학술대회개최 제 16회 막덕산 백련사 고려팔국사 다례문화재 학술대회
- 일시 : 2024년 5월 12일(일)
- 장소 : 강진 백련사 만경루
- 시간 : 13:00~17:00
3.2. 학술대회개최 : 제 15회 막덕산 백련사 고려팔국사 다례문화재 학술대회
- 일시 : 2023년 10월 13일(금)
- 장소 : 강진 백련사 만경루
- 시간 : 13:00~17:00
- 관련기사 :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318467
3.3. 학술대회개최 : 전통미술과 미래미술의 융합
- 주제 : 전통미술과 미래미술의 융합
- 일시 : 2022년 10월 15일(토)
- 시간 : 14:00~17:40
- IFland 플랫폼을 활용한 메타버스 학술대회와 유튜브 실시간 온오프라인 학술대회 진행
3.4. 학술지 발간 : 전통미술융합연구
- 한국전통미술, 한국전통미술과 관련 미래기술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의 연구성과를 게재하는 학술지
- 발행일 : 매년 6월, 12월
- 게재분야 : 한국사, 한국미술사, 한국문화사, NFT, 메타버스 등 한국전통미술 진흥을 위한 다양한 분야
- 창간호 발간
- 원문 보기(유료) : 교보문고 스콜라를 통해 유통교보문고
- 원문 보기(무료) :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홈페이지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3.5. 전통미술 콘텐츠 제작
- 3D 콘텐츠 제작 : 문화재를 3D 촬영하여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고 있다.
- 전통문양 제공 : 한국전통미술의 소재 고화질로 제공한다.
- 영상콘텐츠 제작 : 전통미술과 관련한 미술, 콘텐츠, 문화, 법령, 과학기술 등 관련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한다.
3.6. 공모전 개최
* 제1회 한국전통미술융합진흥원 디지털 콘텐츠 공모전 개최- 접수 기간 : 2022년 10월 11일 ~ 2022년 10월 31일
3.7. 대외활동
* 문화디지털 도슨트- 활동 내용
1) 도슨트 양성 교육 이수
2) 우리 동네 문화유산 답사
3) 문화유산 콘텐츠 제작 기획
4) SNS에 문화유산 콘텐츠 업로드 및 홍보
- 지원 및 혜택
1) 답사 활동비 지급
2) 활동 인증서 및 교육 수료증 제공
3) 봉사활동 시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