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5 17:25:34

빅토리 메이플/에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빅토리 메이플

1. 개요2. 평가
2.1. 장점2.2. 단점
3. 추천 사냥터4. 스킬 트리

1. 개요

빅토리 메이플/로나 월드에반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평가

빅토리 메이플/로나월드에서 2025년 4월 21일 출시한 직업. 에반은 다른 법사 캐릭터처럼 광역기를 이용한 사냥은 불가능하지만 대신 크리티컬 매직, 일루전 등으로 1:1 상황에서의 딜링 능력을 어느정도 챙긴 캐릭터이다. 레벨 120에 9차를 하고 나면 배우는 플레임 휠은 샤크 웨이브만큼이나 x축이 긴 스킬이었기 때문에 장악력이 타 직업에 비해 그리 뒤쳐지지도 않는다.

하지만 에반의 가장 큰 단점은 느린 스킬 딜레이. 원작에서도 에반은 스킬 딜레이가 너무 느린 탓에 상대적으로 박한 평가를 받는 직업이었으며 로나월드에서도 느린 스킬 딜레이는 조정되지 않았다. 매직 부스터를 쓰면 그나마 나아지지만 그래도 답답하다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또한 1:1 상황에서의 딜링도 어디까지나 마력 직업 중에서는 가장 나은 수준이고 마력 직업의 한계와 느린 스킬 딜레이 때문에 격수 직업과 비교하면 딜량은 처참하기만 하다.

특이사항으로 에반은 전직이 무려 10차까지 있으며 전직 상태에 따라 용의 외형도 달라진다. 또한 전직은 1차 이후에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니 편의성도 좋다.

2.1. 장점

  • 속성 제약 거의 없음
    다른 법사 캐릭터는 플레임위자드, 비숍처럼 각각 불과 성이라는 한 가지 속성만 사용하거나 많아봐야 썬콜이나 불독처럼 두가지를 다루는게 한계이다. 그래서 속성 반감으로 인해 사냥터 선정에 제약이 들어가지만 에반은 성 속성을 제외하면 모든 속성 스킬을 1개 이상 보유하고 있는데다 리셋 스킬도 보유하고 때문에 속성 문제에서 굉장히 자유롭다.
  • 유일한 크리티컬 마력 직업
    에반은 유일하게 마력 직업 중에서 자체적으로 크리티컬 유틸을 보유하고 있다. 타 법사 직업들은 샤프 아이즈와 크리티컬 링의 도움을 받아야 겨우 크리티컬을 낼 수 있는 걸 감안하면 마력 직업 중에서 유일하게 크리티컬을 낼 수 있다는 것은 굉장한 장점.
  • 자동 전직
    모험가를 제외한 타 직업들은 전직 퀘스트를 거치고 모험가 직업군은 전직 퀘스트가 미구현되어 임시로 "/전직"을 이용하는 반면 에반은 명령어나 전직 퀘스트 같은 과정 없이도 자동으로 전직된다. 전직 퀘스트로 인해 사냥의 흐름이 끊기는 경우가 많은 것을 생각하면 편의성이 상당히 좋은 편.

2.2. 단점

  • 느린 스킬 딜레이
    에반의 가장 심각한 단점으로, 기본적으로 스킬 딜레이가 느리게 설계되어있으며 매직 부스터를 써도 스킬 딜레이가 빠르지 않다. 부메랑 스탭을 쓰는 섀도어나 피스트를 쓰는 바이퍼랑 비견될 정도이며 딜레이 때문에 조작감 면에서 굉장히 답답하다고 느낄 수 있다.
  • 마력 직업의 한계
    아무리 일루전이라는 1:1 스킬이 주어졌다고 한들 결국 에반은 효율이 극히 나쁜 마력 직업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했다. 마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린다고 한들 일루전의 느린 스킬 딜레이와 마력의 나쁜 효율로 인해 딜량은 격수와 비교하면 매우 뒤쳐진다. 거기다 명중률만 맞추면 망둥쩔로 폭업이 가능한 격수 직업들과 다르게 마법 명중률은 주스탯과 부스탯, 몬스터와의 레벨 차이의 영향으로 인해 쩔을 받을 수 있는 레벨이 되어도 미스가 자주 떠서 쩔을 통한 육성도 제약이 있다.
  • 광역기의 쿨타임 존재
    다른 법사들은 광역기를 쿨타임 없이 난사할 수 있지만 에반의 10차 스킬인 다크 포그는 쿨타임이 달려있기 때문에 다른 법사의 광역기처럼 난사가 불가능하다. 게다가 속성이 있는 다른 광역기들과는 다르게 무속성 마법 공격이기 때문에 속성에 의한 딜 증가도 기대할 수 없다.
  • 스킬 포인트 얻는 과정의 번거로움
    에반은 아란처럼 특정 퀘스트를 클리어해야만 스킬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신 스토리 퀘스트의 보상으로 스킬 포인트를 인질로 잡아놨기 때문에 스킬들을 전부 마스터하고 싶다면 좋든 싫든 스토리 퀘스트를 깨야한다. SP를 얻는 퀘스트는 62까지만 존재하기 때문에 그 이후부터는 하지 않아도 상관 없다.
  • 10차로 나누어진 스킬
    에반의 스킬은 기존의 1~4차로 나누어진 다른 직업과 다르게 1~10차로 골고루 나누어져있기 때문에 원하는 스킬을 제때 배울 수 없다. 특히 10차 레벨은 160으로 5배율인 로나월드 기준으로도 꽤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달성할 수 있는 레벨이다. 그나마 10차에서 건질만한 스킬은 오닉스의 축복과 소울 스톤 정도지만 오닉스의 축복은 마력을 35나 올려주고 소울 스톤은 버프 지속시간동안 죽음을 방지해주는 스킬이기 때문에 최우선으로 찍어야하는 스킬들이라는 게 문제.
  • 후속 라이딩 퀘스트 강제
    라이딩 퀘스트들은 엄청난 메소를 요구한다. 기본 라이딩부터 모험가는 2000만 메소[1], 나머지 직업은 1000만 메소를 받으며 드랍률 3배에 메소 3배인 로나월드 기준으로도 이는 결코 싼 값이 아니다. 그래도 다른 직업들은 1단계 라이딩을 얻고 나면 후속 라이딩 퀘스트를 강제로 깨진 않아도 되지만 에반은 레벨 80, 120이 되면 새로운 라이딩 퀘스트를 깨기 전까지는 기존 라이딩을 끼지 못한다.[2] 심지어 그 가격도 굉장히 비싼데 80 퀘스트에서는 3000만 메소, 120 퀘스트에서는 6000만 메소를 쓰며 50때 처음으로 받는 라이딩 퀘스트까지 다 합하면 무려 1억 메소라는 거금을 들여야 라이딩을 완성할 수 있다.

3. 추천 사냥터

※ 해당 문단은 5배율 서버인 로나 월드를 기준으로 서술하였습니다. 1배율 빅토리 메이플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레벨 1~45: 적정 레벨 퀘스트 클리어
    레벨 45까지는 퀘스트만 달성해도 몇 시간만에 달성이 가능하다. 카페나 디코 등에 퀘스트 공략이 남겨져있으니 참고해보는 것이 좋다.
  • 레벨 45~70: C-1, C-2, C-3
    두말할 필요도 없는 국룰 사냥터. 최대한 70까지 달성한 후에 퀘스트를 몰아서 클리어하면 된다.
  • 레벨 70~85: 붉은 켄타우로스의 영역, 산양의 골짜기
    에반은 하필이면 애매하게 전직 레벨이 70이 아닌 60과 80으로 나누어져있기 때문에 60레벨에 배우는 스킬인 쓰러스트를 이용해서 사냥해야한다. 쓰러스트는 일직선 다수기이기 때문에 지형 제약이 없는 붉은 켄타우로스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더 좋다.
  • 레벨 85~100: 와이번의 협곡
    어차피 여기 말고는 달리 갈 수 있는 곳이 없다. 80때 배우는 브레스는 불 속성 다수기이기 때문에 블루 와이번을 속성 약점으로 팰 수 있다. 차징기라는 게 걸리지만 레드 와이번을 잡고 내려오는 과정에서 차지를 해주면 좋다. 레드 와이번이 문제긴 한데 레드 와이번을 잡을 때만 리셋을 켜거나 그게 귀찮다면 쓰러스트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 레벨 100~120: 와이번의 협곡, 죽은 용의 둥지, 후회의 길
    후회의 길 4는 브레스와 어스퀘이크의 불 속성에 약점을 띄기 때문에 약점으로 편하게 사냥이 가능하다. 그 외에는 와협이나 죽둥 정도.
  • 레벨 120~200: 망가진 용의 둥지, 위험한 용의 둥지, 죽은 용의 둥지, 후회의 길, 망각의 길
    에반이 80 이후로 배우는 공격기는 무 속성인 일루전과 다크 포그를 제외하면 죄다 불 속성이기 때문에 사실상 후회의 길이 약점으로 사냥할 수 있는 마지막 사냥터이다. 후회의 길은 전반적으로 넓은 편인데, 플레임 휠의 x축 범위가 넓어서 커버가 가능하다.

4. 스킬 트리

※ 해당 문단은 보편적인 스킬트리를 서술하는 문단입니다. 유저의 견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1차 전직
* 매직 미사일 1 → 드래곤 소울 20 → 매직 미사일 20

전직 레벨은 10. 스토리 퀘스트를 클리어하지 않는다면 스킬 포인트가 부족하기 때문에 사실상 매디테이션의 패시브 버전인 드래곤 소울을 마스터하고 매직 미사일을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두는게 낫다. 퀘스트로 얻을 수 있는 1차 스킬 포인트는 7이다.
  • 2차 전직
    • 텔레포트 1 → 파이어 서클 13 → 텔레포트 20 → 파이어 서클 20

      전직 레벨은 20. 역시 스토리 퀘스트를 고려하여 파이어 서클의 마스터를 조금 미루는게 낫지만 파이어 서클은 추후 쓰러스트를 배우기 전까지 주력 사냥기로 쓸 것이기 때문에 퀘스트를 통해 마스터하는 것이 좋다. 퀘스트로 얻을 수 있는 2차 스킬 포인트는 7.
  • 3차 전직
    • 라이트닝 볼트 13 → 매직 가드 20 → 라이트닝 볼트 20

      전직 레벨은 30. 타 직업들은 매직 가드를 1차에 배우는 것과 다르게 에반은 타 직업의 2차 전직 레벨인 30에 배우며 매직 가드의 데미지 흡수율이 70%밖에 되지 않는다. 그렇다고 매직 가드를 마스터하지 않을 순 없기에 단일 공격기인 라이트닝 볼트를 후순위로 두는게 낫다. 퀘스트로 얻을 수 있는 3차 스킬 포인트는 7.
  • 4차 전직
    • 아이스 브레스 1 → 엘리멘탈 리셋 20 → 아이스 브레스 20

      전직 레벨은 40. 아이스 브레스는 에반이 가진 유일한 결빙 스킬이기에 사냥에서 상당한 유틸을 가지고 있다. 다만 차지형 스킬이라는 점 때문에 편의성이 좋지 않은 편. 하지만 차지를 안하고 즉발로 사용하더라도 상위 사냥터에서 결빙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장점이다. 엘리멘탈 리셋은 플위도 가지고 있는 리셋 스킬로 사냥터의 속성 제약에서 사실상 자유로워진다. 퀘스트로 얻을 수 있는 스킬 포인트는 7.
  • 5차 전직
    • 매직 실드 20 → 매직 플레어 20

      전직 레벨은 50. 매직 플레어는 단일 공격 스킬이며 9차에 일루전을 배우기 전까진 단일기는 이거 하나밖에 없다. 매직 실드는 자신 및 파티원이 받는 피해를 줄여주는 스킬이지만 문제는 지속시간이 짧고 쿨타임이 존재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퀘스트로 얻을 수 있는 스킬 포인트는 7.
  • 6차 전직
    • 매직 부스터 1 → 드래곤 쓰러스트 20 → 크리티컬 매직 15 → 매직 부스터 15 → 슬로우 15

      전직 레벨은 60. 에반이 본격적으로 탈피하는 구간이다. 에반의 매직 부스터는 1만 찍어도 지속시간이 110초로 길며 에반의 답답한 스킬 딜레이를 조금이나마 줄여주는 스킬이기 때문에 무조건 1은 찍고 시작하는게 좋다. 드래곤 쓰러스트는 그동안 파이어 서클을 주력으로 쓰던 에반에게 주어진 새로운 사냥 스킬로 이제부터는 이 스킬을 주력으로 사용하게 된다. 크리티컬 매직은 마력 직업 중 유일한 크리티컬 유틸로, 마스터하면 딜량이 꽤나 오르는 것을 체감할 수 있다. 슬로우는 굳이 쓸 이유가 없으니 남는 스킬 포인트를 여기에 투자하면 된다. 퀘스트로 얻을 수 있는 스킬 포인트는 1이며, 이 구간 이후로는 스킬 포인트를 얻는 퀘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 7차 전직
    • 매직 엠플리피케이션 15 → 브레스 20 → 매직 레지스턴스 10 → 킬링 윙 20

      전직 레벨은 80. 에반의 매직 엠플리피케이션은 마력 소모량 증가율이 180%로 가장 낮은 대신 데미지 증가율도 120%로 가장 낮다. 그나마 이전 차수에서 크리티컬 매직을 배우기 때문에 이 점은 감수할 수 있는 편. 브레스는 불 속성 다수기이지만 아이스 브레스처럼 차징기라는 점 때문에 블루 와이번을 사냥할 때가 아니면 사실상 쓸만한 구석이 마땅치 않다. 매직 레지스턴스는 다른 법사들의 레지스턴스 스킬을 모든 마법 공격에 적용되게 하면서 파티 버프로 바꾼 것으로 생존성에 소소하게 도움이 된다. 킬링 윙은 캡틴의 호밍처럼 단일 적에게 공격이 유도되는 유틸을 가지고 있어 쫄을 소환하는 자쿰, 혼테일 등의 보스전에서 유용한 편이지만 사냥에서는 별로 쓸모가 없기에 가장 후순위로 마스터한다.
  • 8차 전직
    • 어스퀘이크 20 → 드래곤 퓨리 20 → 고스트 래터링 20 → 리커버리 오로라 15

      전직 레벨은 100. 어스퀘이크는 쓰러스트에 이은 즉발형 사냥기로, 최대 8마리를 공격한다. 불 속성이기 때문에 블루 와이번, 후회의 길 몬스터 등을 잡을 때 유용하다. 드래곤 퓨리는 MP가 일정량 이상일 경우에 마력을 올려주는 패시브 스킬로 딜량 상승에 기여를 하니 필수로 마스터해야한다. 고스트 래터링은 이전 차수의 킬링 윙과 더불어 보스전 유틸기로, 대상에게 표식을 남겨서 딜량을 증폭시킨다. 리커버리 오로라는 자신 및 파티원의 MP를 회복시키는 영역을 생성하기 때문에 MP 포션 절약에 도움되지만 영역 내부에 있어야하기 때문에 사냥에서는 이득을 보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마스터한다.
  • 9차 전직
    • 일루전 1 → 플레임 휠 30 → 매직 마스터리 30 → 일루전 30 → 메이플 용사 9 → 용사의 의지 5 → 메이플 용사 30

      전직 레벨은 120. 플레임 휠매직 마스터리 스킬북은 자쿰에게서 드롭하기 때문에 먹자를 돌아서 해당 스킬북을 얻어둬야한다. 이 차수부터는 마스터리북이 필요하기 때문에 마스터리북 여부에 따라 스킬트리를 유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보통 사냥기인 플레임 휠과 숙련도 증가 스킬인 매직 마스터리를 최우선으로 마스터하는 편이다.
  • 10차 전직
    • 오닉스의 축복 1 → 소울 스톤 1 → 다크 포그 1 → 오닉스의 축복 30 → 소울 스톤 20 → 자유 분배

      전직 레벨은 160. 다크 포그소울 스톤 스킬북은 역시 자쿰 드랍이다. 소울 스톤은 파티원의 죽음을 방지해주는 스킬로, 비숍의 리저렉션이 죽은 플레이어를 즉시 부활시키는 스킬인 반면 에반의 소울 스톤은 버프형 스킬이라 지속 시간 중에 죽었을 경우에만 부활이 적용된다. 그래도 보스전에서는 이것 또한 엄청난 유틸이니 1이라도 가져가는 것이 좋다. 오닉스의 축복은 마력을 올려주는 스킬이지만 1분 지속에 2분 쿨타임이라는 것이 단점이다. 그래도 마력을 올려주기 때문에 최우선으로 마스터하는 것이 좋다. 블레이즈는 체인 라이트닝의 불 속성 버전으로 퍼뎀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플레임 휠과의 비교가 불가피한데 전이가 생각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은근히 계륵이라 평가받는 스킬이고 다크 포그는 에반의 광역기이지만 습득 레벨이 160으로 높은데다 무속성이고 쿨타임이 달려있다는 게 단점이다. 9차처럼 스킬 마스터 레벨 해금을 위해선 마스터리북을 사용해야한다.

[1] 다만 모험가는 라이딩 퀘스트의 미구현으로 인해 현재는 공짜로 사용할 수 있다.[2] 인게임 내에서는 미르가 성장해서 기존의 안장이 사이즈가 맞지 않게 되었다는 설정이지만 유저들 입장에서는 그저 혈압만 오를 뿐... 게다가 본메에서는 현재 10만 메소로 상위 단계 라이딩까지 다 쓸 수 있는 바겐 세일을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