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18:55:05

브릴리언트 퓨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젬나이트
#!if 문서명2 != null
, [[융합(유희왕)]]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설명
2.1. 활용법
3. 수록 팩 일람4. 관련 카드

1. 개요

유희왕의 지속 마법 카드.

2. 설명

파일:ブリリアント・フュージョン(TW02).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브릴리언트 퓨전,
일어판명칭=ブリリアント・フュージョン,
영어판명칭=Brilliant Fus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자신의 덱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고\, "젬나이트" 융합 몬스터 1장을 공격력 / 수비력을 0으로 하여 융합 소환한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날 때에 그 몬스터는 파괴된다.,
효과2=②: 1턴에 1번\, 패에서 마법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상대 턴 종료시까지 원래의 수치만큼 올린다.)]
[ 원작 효과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브릴리언트 퓨전,
일어판명칭=ブリリアント・フュージョン,
영어판명칭=Brilliant Fusion,
효과1=①: 자신의 덱에서\, "젬나이트"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0 이 된다. 또한 1턴에 1번\, 패의 마법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다음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까지\,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원래의 수치로 되돌릴 수 있다. 이 카드가 필드를 벗어났을 때\,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파괴된다.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가 필드를 벗어날 때 이 카드는 파괴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TCG=제한 카드, 제네시스=33)]

유희왕 ARC-V코우츠 마스미히이라기 유즈와의 2차 듀얼에서 사용하며 첫 등장한 카드. 약 반년 후 클래쉬 오브 리벨리온에서 젬나이트 레이디 브릴리언트 다이아와 함께 OCG화 되었다. 사람들이 부르는 약칭은 '브릴퓨'.

조건 없는 덱 융합이라는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공격력 / 수비력이 0이 된다지만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가 살아있는 시점에서 그 정돈 아무것도 아니며 적어도 같은 팩의 다른 덱 융합 카드에 비하면 애교 수준 젬나이트 라줄리나 쿼츠, 네피림처럼 덤핑되면 유용한 몬스터들의 효과까지 발휘할 수 있다. 거기다 패의 마법 카드만 버린다면 공격력이 일시적이긴 하나 복귀되기 때문에 젬나이트 퓨전을 버리고 젬나이트 퓨전의 자체 효과로 샐비지해서 이 디메리트를 무마시킬 수 있다.

하지만 오직 덱에서만 융합 소재로 할 수 있기에 융합 소재가 패에 들어와 버리면 발동 자체를 못 하거나 크게 꼬일 수 있다. 이후 출시된 덱 융합은 패에 잡혀도 융합 소재로 할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그게 안 되다보니 호감패 리스크가 크다.

지속 마법 카드이므로 발동 시에 파괴되면 효과를 적용할 수 없고, 이 카드가 필드를 벗어날 경우 소환한 몬스터도 파괴되는 디메리트가 있어 마법 / 함정 제거류 카드에게는 약하다. 일단 발동에 성공만 한다면, 소환된 몬스터를 각종 소재로 사용하거나 젬나이트 레이디 브릴리언트 다이아의 효과로 다른 몬스터로 교체하는 식으로 필드에서 처리해버리는 편이 낫다.

이름의 "브릴리언트"는 다이아몬드의 가장 유명한 가공법 "브릴리언트 컷" 에서 따온 것. 보통 다이아몬드 하면 떠올리는 그 모습이 바로 다이아몬드를 브릴리언트 컷으로 깎아 가공한 것이라고 보면 된다.

애니메이션 원작에서는 2번 효과가 분리되지 않고 같이 적혀 있었고, 텍스트가 약간 달라 다음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시까지 원래의 수치로 되돌아오는 것이었다. 작중에서는 액션 마법을 2번 효과의 코스트로 버리는 것으로 디메리트를 해결했다.

2.1. 활용법

젬나이트 덱에서야 당연히 강력한 카드지만, 조건 없는 덱 융합 카드라는 점을 살려 젬나이트 이외의 덱에서도 적극적으로 투입되는 카드였다. 덱에 젬나이트 몬스터를 투입해야 한다는 단점만 감당한다면, 이 카드 1장만으로 통상 소환권을 늘려주는 젬나이트 세라피를 필드에 내고 덱에서 원하는 빛 속성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은 것이다.

대표적으로, 빛 속성 몬스터인 Em 트릭 크라운을 묘지로 보내면 이 카드 1장만으로 필드에 몬스터 2장을 낼 수 있어 크라운 블레이드 덱에서 자주 채용되었다. 젬나이트 라줄리와 일반 몬스터를 소재로 삼았다면 라줄리의 효과로 일반 몬스터를 패로 되돌릴 수 있다. 제왕은 릴리스용 몬스터 확보 및 소환권 추가가 굉장히 중요한 덱이라 특히 브릴리언트 퓨전과의 궁합이 좋았다. 잭스 나이트를 함께 채용하기도 했을 정도.

이외에도 할 수 있는 플레이가 무궁무진하여 다양한 전개 방식이 연구된 카드다. 무진장한 덤핑 덕분에 9기부터 무한루프형 선턴킬 루트에도 사용되었다.

젬나이트 입장에서는 다행스럽게도 이 카드를 채용하던 환경권 덱들이 자연스럽게, 혹은 제재를 받아 도태되면서 브릴리언트 퓨전 자체는 제재를 받지 않고 오랜 기간 살아남았다. 다만 2020년 4월부터 신 마스터 룰이 개정되며, 룰 변경 및 카드풀의 증가로 인한 활용도의 비약적 상승을 우려했는지 OCG 제한 카드가 되었다. 한편 TCG에서는 2019년 01월 28일에 이미 제한 카드로 지정되었으며, 2020년 1월부터는 아예 금지 카드가 되었다.

그러다가 2025년 4월에 TCG에서 젬나이트 신지원 출시를 앞두고 다시 제한 카드로 풀렸다. 2025년 9월 마스터 듀얼에서는 블록드래곤과 함께 이 카드를 단번에 무제한으로 풀었다. 블록드래곤 이상으로 화제를 모았는데, 같은 달에 터미널 월드 2 출신 젬나이트 신규 지원 카드들의 수록이 예약되어 있기에 이에 맞춰서 푼 것으로 보인다. 1달 전에 여섯 무사의 신규 지원에 맞춰 여섯 무의 문을 무제한으로 푼 것과 같은 맥락. 테마 한정이었던데다 2핸드 이상부터 비로소 시동이 걸리던 육무문과 달리 원핸드로도 강력한 밸류를 내다보니 많은 덱들이 채용하면서 환경 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2025년 9월 듀얼리스트 컵에서 젬나이트가 3명의 금장을 배출해내며 그 위력을 증명했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국가 기타사항
CLASH OF REBELLIONS CORE-JP056 노멀 일본 세계 최초수록
CLASH OF REBELLIONS CORE-KR056 노멀 한국 한국 최초수록

4. 관련 카드

4.1. 젬나이트 레이디 브릴리언트 다이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