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대 카푸친 작은형제회 총봉사자 | ||||||
| ||||||
브린디시의 성 라우렌시오 | 피에트로 라브루치 作 | ||||||
<colbgcolor=#3a2810,#3a2810><colcolor=#c49100,#c49100> 본명 | 줄리오 체사레 루소 (Giulio Cesare Russo) | |||||
출생 | 1559년 7월 22일 | |||||
나폴리 왕국 브린디시 | ||||||
사망 | 1619년 7월 22일 (향년 60세) | |||||
포르투갈 왕국 리스본 | ||||||
학력 | 산마르코 학교 파도바 대학교 | |||||
직업 | 성직자(사제), 수도자, 군종 신부, 외교관, 신학자 | |||||
종교 | 가톨릭 | |||||
소속 | 카푸친 작은형제회 | |||||
재임 기간 | 신성 로마 제국군 수석 군종 신부 | |||||
1601년~1602년 | ||||||
제18대 카푸친 작은형제회 총봉사자 | ||||||
1602년~1605년 | ||||||
역임 직책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역대 카푸친 작은형제회 총봉사자 | |||||
17대 | ← | 18대 | → | 19대 | ||
제로니모 데 카스텔페레티 (1599년~1602년) | 브린디시의 라우렌시오 (1602년~1605년) | 아시시의 실베스테르 (1605년~1608년) |
성인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a2810,#3a2810><colcolor=#c49100,#c49100> 성인명 | 한국어: 라우렌시오
| |
시복 | 1783년 6월 1일 | ||
교황령 로마 교황 비오 6세 주례 | |||
시성 | 1881년 12월 8일 | ||
이탈리아 왕국 로마 교황 레오 13세 주례 | |||
칭호 | 교회학자(사도적 박사)[1] | ||
상징물 | 프란치스코회 수도복, 십자고상, 아기 예수 | ||
축일 | 7월 21일 | ||
수호 | 브린디시 |
1. 개요
이탈리아의 가톨릭 사제, 수도자, 군종 신부, 외교관, 그리고 신학자.생전에 총명한 두뇌를 지닌 것으로 유명했으며, 특히 모어인 이탈리아어를 포함한 라틴어, 히브리어, 그리스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그리고 체코어를 모두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다중 언어 화자였다. 이러한 자신의 뛰어난 언어 실력을 바탕으로 그는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루돌프 2세의 수석 군종 신부과 카푸친 작은형제회의 수장을 연이어 역임함으로써 개신교와 오스만 제국의 공세에 맞서도록 유럽 내 여러 국가들과 노련한 외교적 수완을 발휘해 가톨릭 연맹을 구축하는 데에 큰 기여를 했다. 그는 또한 강인한 신앙심으로도 잘 알려져 있었는데, 신성 로마 제국군 군종 신부 시절 오스만 제국과의 세케슈페헤르바르 공성전에서 오로지 십자고상 하나만을 들고 전쟁터에 뛰어들어 장병들을 이끌었다고 한다. 이러한 공로로 그는 현재 대항종교개혁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꼽힌다.
가톨릭에서는 성인으로 공경하고 있다. 축일은 7월 21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