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00:10:18

브레멘 1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선거구 제54구
Wahlkreis 54: Bremen I
}}}
파일:Bundestagswahlkreis_54-2025.svg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239,823명 (2025)
상위 주 브레멘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브레멘시 중부/동부/남부[1.1]
연방의원 - -


1. 개요

독일 브레멘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브레멘시 중부/동부/남부[1.1]를 담당한다.

현재 이 지역구 의석은 공석이다. 2025년 제21대에서 사민당 울리케 힐러(Ulrike Hiller) 후보가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1위를 차지했으나, 저조한 득표율로 인해 이 지역구 의석은 공석으로 남게 되었다. 다른 주요 후보자들은 비례대표 당선권에 들어 의회 입성에 성공했으나, 정작 1위 득표자 울리케 힐러 본인은 탈락하는 희귀한 경우이다.[3]

놀라운 것은, 1949년 선거구가 생긴 이후 지금까지 사민당이 단 한번도 지역구에서 1위를 뺏겨본 일이 없어서 사민당의 아성이라고 불릴만한 곳이다. 독일 전체에서도 유명한 노동자 표심 집결 지역구이다. 그러나 사민당의 득표율은 선거 때마다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선거에서 균열이 생길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녹색당도 20% 안팎, 좌파당도 15% 정도를 득표하여 상당한 저력을 보여준다. 브레멘 주정부 연정의 집권여당 3당의 득표율 분포가 연방의회 선거에서도 비슷하게 드러나고 있는 셈이다.

기민련도 꾸준히 20% 안팎으로 거의 사민당과 비슷한 수준이고, AfD는 약 10% 득표로 북독일 평균 수준의 득표를 하고 있다.

2. 역대 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브레멘시 문장.svg 브레멘 제21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54구 55구
- 우베 슈미트
비례 1
세르게이 미니히
비례 1
토마스 뢰베캄프
비례 1
키르스텐 카퍼트-곤터
비례 1
도리스 아헬빌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rowcolor=#000> 브레멘 1구
브레멘시 중부/동부/남부[1.1]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울리케 힐러 48,670 25.2% 1위 42,455 21.9% 1위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토마스 뢰베캄프 46,314 24.0% 2위 41,196 21.3% 2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비례 당선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키르스텐 카퍼트-곤터 36,566 18.9% 3위 35,822 18.5% 3위


비례 당선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도리스 아헬빌름 25,807 13.4% 4위 30,834 15.9% 4위


비례 당선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세르게이 미니히 22,752 11.8% 5위 22,792 11.8% 5위


비례 당선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폴커 레더 5,590 2.9% 6위 7,417 3.8% 7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로타 폰 뵈티허 3,402 1.8% 7위 2,194 1.1% 8위
'''
Volt
'''
잔도어 헤름스 2,226 1.2% 8위 1,341 0.7% 9위


제바스티안 쿠쉬 800 0.4% 9위 483 0.2% 11위
'''
독일 연합
'''
유디트 슐츠 719 0.4% 10위 - - -


반야 랑에 282 0.1% 11위 82 0.0% 15위
'''
MLPD
'''
- - - - 7,973 4.1% 6위


- - - - 598 0.3% 10위


- - - - 305 0.2% 12위
'''
Menschliche Welt
'''
- - - - 159 0.1% 13위
'''
MERA25
'''
- - - - 148 0.1% 14위
'''
Verjüngungsforschung
'''
유효표 193,131 193,799
무효표 1,651 983
총 투표수 194,782 194,782
투표율 81.2% 81.2%
결과 -


유지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브레멘시 문장.svg 브레멘 제20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54구 55구
자라 뤼글레브스키 우베 슈미트
비례 1 비례 2 비례 3
토마스 뢰베캄프 폴커 레더 키르스텐 카퍼트-곤터 }}}
}}}}}}
<rowcolor=#000> 브레멘 1구
브레멘시 중부/동부/남부[1.1]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자라 리글레프스키 55,934 30.2% 1위 53,425 28.8% 1위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키르스텐 카퍼트-곤터 39,721 21.5% 2위 44,414 24.0% 2위


비례 당선
파일: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로고(1972-2023).svg 토마스 뢰베캄프 39,440 21.3% 3위 32,375 17.5% 3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비례 당선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진디 툰젤 15,306 8.3% 4위 15,739 8.5% 5위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폴커 레더 13,929 7.5% 5위 18,396 9.9% 4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비례 당선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하인리히 뢰만 9,099 4.9% 6위 9,835 5.3% 6위


메를레 안데르젠 2,835 1.5% 7위 1,977 1.1% 9위


코르넬리아 발로크-브로신스키 2,440 1.3% 8위 2,145 1.2% 7위
'''
동물보호당
'''
로날트-올리버 마라렌스 2,237 1.2% 9위 2,008 1.1% 8위
'''
dieBasis
'''
파트리크 슈트라우스 1,853 1.0% 10위 1,473 0.8% 10위


미하엘 슈페어 1,182 0.6% 11위 843 0.5% 12위
'''
Volt
'''
베네트 헹킹 526 0.3% 12위 325 0.2% 13위
'''
Die Humanisten
'''
안티예 피크사 322 0.2% 13위 212 0.1% 15위
'''
ÖDP
'''
볼프강 랑에 147 0.1% 14위 84 0.0% 18위
'''
MLPD
'''
- - - - 1,455 0.8% 11위
'''
Todenhöfer
'''
- - - - 246 0.1% 14위
'''
V-Partei
'''
- - - - 181 0.1% 16위
'''
Menschliche Welt
'''
- - - - 104 0.1% 17위
'''
NPD
'''
유효표 184,971 185,237
무효표 1,337 1,071
총 투표수 186,308 186,308
투표율 75.9% 75.9%
결과


유지



획득


[1.1] 미테, 노이슈타트, 보르크펠테, 헤멜링엔, 호른-레에, 오버노이란트, 오스터홀츠, 외스틀리헤 포어슈타트, 슈바흐하우젠, 바어, 오버필란트, 후흐팅[1.1] [3] 게다가 울리케 힐러 본인에게 더욱 억울한 이유는, 힐러는 브레멘 사민당 비례대표 명부 1위에 등록되기도 했다는 점이다. 비례대표 명부 1위 후보자가 탈락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브레멘주 전체의 사민당 당선자가 최대 1명밖에 안되는 데다가, 이미 브레멘 2구-브레머하펜(Bundestagswahlkreis Bremen II – Bremerhaven)의 지역구 당선자인 우베 슈미트(Uwe Schmidt)는 이미 큰 표차로 당선을 확정지었기 때문이다.[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