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6자회담 당사국 | |||||
대한민국 | 미국 | 중국 | 러시아 | 일본 | ||
아시아 · 아프리카 | ||||||
제주특별자치도 | 대만 | 몽골 | 만주 | 싱가포르 | ||
베트남 | 캄보디아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타지키스탄 | ||
인도 | 파키스탄 | 나이지리아 | 앙골라 | 적도 기니 | ||
소말리아 | 탄자니아 |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 ||||||
이란 | 팔레스타인 | 시리아 | 이스라엘 | 리비아 | ||
이집트 | ||||||
유럽 |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독일 | 영국 | 네덜란드 | ||
스페인 | 바티칸 | 루마니아 | 몬테네그로 | 알바니아 | ||
스웨덴 | 폴란드 | 헝가리 | ||||
아메리카 | ||||||
쿠바 | 베네수엘라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기타 | ||||||
아프리카 | ||||||
다자관계 | ||||||
남북러 | 북중러 | |||||
과거의 대외관계 | ||||||
소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인도 |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아프가니스탄 | 이란 | 아랍에미리트 | 사우디아라비아 | ||||
이스라엘 | 팔레스타인 | 카타르 | ||||||
유럽 | ||||||||
러시아 | 아제르바이잔 | 영국 | 프랑스 | 스페인 | ||||
그리스 | 튀르키예 |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
미국 | 호주 | |||||||
다자관계 | ||||||||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중국·인도·파키스탄 |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 |
북한 | 파키스탄 |
1. 개요
북한과 파키스탄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양국은 친중 성향이 강한 나라이고 무엇보다 파키스탄을 통해 북한의 핵기술이 전파되었다. 다만 북한은 노골적으로 반서방이라 나름은 철벽을 치고 있다. 파키스탄은 코소보의 국가 독립을 인정하거나[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당시 우크라이나를 지원하는 등, 중립적 태도를 보인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양국은 1972년 수교했다.인도 때문에 파키스탄은 핵개발을 해 이로 인하여 미국이 제재를 가해 파키스탄을 통해 북한에게 핵기술이 유출되었다.[2]
2.2. 21세기
이렇게 겉모습은 친한 것 같지만 파키스탄도 북한은 좀 노골적으로 친한건 그랬는지 정치적으론 철벽을 친다.실제로 2019년 8월 1일에 방한한 파키스탄의 압둘 라작 다우드 상무장관은 북한과의 교류는 전혀 없고 한국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