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반차량 및 화물차량 차량기지}}}에 대한 내용은 [[가야역(가야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야역(가야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가야역(가야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반차량 및 화물차량 차량기지: }}}[[가야역(가야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야역(가야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가야역(가야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한국철도공사의 차량정비단·차량사업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속철도 | |||
| | |||
강릉 | 광명[주박] | 부발 | 부산단 고속차량처 | 수도단[중] 울산[중] | 이문 | 호남단[중] | | 부산단 고속차량처 | 수서(정비시설) | 호남단[중] | | |||
일반열차 · 관광열차 | ||||
| | | ||
강릉 | 대구[주박] | 이문[중] | 서울 | 부산 | 이문[중] | |||
| | |||
강릉[주박] | 서울 | 대구[주박] | 부산 | 청량리[주박] | 평내[중] | |||
광역전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3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 |
구로[폐] | 병점[폐] 이문 | 시흥단[중][타][폐] 성북분소[주박] | 용문 | 문산[중][폐] 시흥단[중][타][폐] | 구로[배속][타] 지축[실무][중][폐] | 시흥단[중][폐] 안산분소[주박] | 창동[주박] | |
수인·분당선 | 경춘선 | 경강선 | 동해선 | |
분당 | 시흥단[중][폐] | 평내[중][폐] | 부발 | 문산[중][타][폐] | 울산[중] | |
서해선 | 대경선 | | ||
시흥단[중][타][폐] | | 대구 | 울산[중][타] |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
| | |||
| | |||
기관차 · 객차 · 발전차 · 화차 | ||||
가야 | 광주 | 동해 | 대전 | 대전단 본단[중] | 대전단 전기차량정비부[중] | 마산 | 목포 | 부곡 | 부산단 일반단[중] 부산신항 | 수색 | 순천 | 여수 | 영주 | 익산 | 제천 | 제천조 | 천안 | 청량리 | 포항 | ||||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기울임체: 폐업하였거나 폐업이 확정된 기지 | ||||
다른 지역 차량사업소 보기 | }}}}}}}}} |
부산철도차량정비단 | ||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 Busan Train Vehicle Maintanence Workshop | |
한자 | 釜山鉄道車輛整備團 | |
주소 | ||
일반차량중정비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145 고속차량운영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215 | ||
운영 기관 | ||
한국철도공사 | ||
관리 부처 | ||
본사 차량본부 | ||
개업일 | ||
1904년 2월 11일 |
1. 개요
부산철도차량정비단은 디젤기관차와 고속철도차량을 정비하는 한국철도공사의 부속기관이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145 소재 (일반차량중정비처)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215 소재 (고속차량운영처)
본사 안전본부 차량본부의 하위 조직으로, 정비단장으로는 주로 기술1급 간부가 배치된다.
현업에서의 약칭은 주로 '부산단', '부산기지'(고속열차), '범일기지'(디젤 기관차)로 불린다. 인근에 위치한 가야차량사업소와의 혼동을 방지[1]하기 위해 KTX 및 SRT 회송운행시 LED에 회송이라고 표출한다.[2]
2. 배속
- 배속 (고속열차)
- 중정비 (디젤기관차)[7]
- 4400호대: 59량 (4401~4443, 4445~4460호)
- 7300호대: 25량 (7347, 7351~7354, 7356, 7359~7362, 7368~7372, 7374~7383호)
- 7400호대: 67량 (7401~7402, 7404~7407, 7409~7413, 7422~7424, 7426,~7429, 7431~7436, 7438, 7440~7441, 7443~7461, 7463~7481, 7483~7484호)
- 7500호대: 34량 (7501~7502, 7504, 7511~7514, 7516, 7527, 7530, 7533~7534, 7538, 7541, 7544, 7557, 7559~7562, 7564~7566, 7573~7576, 7577~7583호)
- 7600호대: 25량 (7601~7625호)
3. 조직
부산철도차량정비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경영인사처
- 기술계획처: 설비부
- 품질안전처
- 고속차량운영처: 경정비기계부, 경정비전기부
- 일반차량중정비처
3.1. 일반차량중정비처(일반단)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145, 범일역과 연결된다. 1904년 개소 당시부터 이 곳에 위치하고 있다.주업무는 디젤 기관차의 경정비 및 중정비다. 객화차 정비 사업도 수행하였지만 2019년경 조직개편으로 도색작업 이외에는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 화차 중정비는 코레일테크에서 시행했었지만, 문재인 정권 비정규직 직고용후 흡수해 다시 진행하고 있다. 별도로 외주업체 고려차량 역시 중정비를 수행중이다.
3.2. 고속차량운영처(고속단)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신천대로 215, 가야역과 연결된다. 이 차량기지는 정비단이지만, 다른 코레일의 정비단과 다르게 대차만 중정비를 시행하며 경정비를 주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8]KTX 개통과 동시에 업무를 개시하였다. KTX, KTX-산천, SRT 고속열차의 경정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4. 연혁
- 1904년 2월: 초량 기계공장으로 발족
- 1949년 12월: 교통부 부산공착장 설치
- 1963년 9월: 공작창직제에 의해 철도청 부산공작창으로 소속 변경
- 1984년 2월: 철도청 부산철도차량정비창으로 개칭
- 1996년 3월: 철도청 부산철도차량정비본부로 개칭
- 2000년 1월: 철도청 부산철도차량정비창으로 개칭
- 2001년 10월: 부산철도차량정비창 부지내 신청사 이전
- 2003년 11월: 철도청 부산고속철도차량정비창 신설
- 2004년 3월: 철도청 부산고속철도차량정비창이 부산고속철도차량관리단으로 개칭
- 2004년 5월: 철도청 부산철도차량정비창이 부산철도차량관리단으로 개칭
- 2005년 1월: 철도청 폐지에 따라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관리단 및 부산고속철도차량관리단으로 개칭
- 2006년 7월: 조직개편에 따라 부산고속철도차량관리단 통합,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관리단으로 개칭
- 2009년 9월: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부산철도차량정비단으로 조직개편
- 2011년 8월: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으로 조직개편
- 2017년 2월: 한국철도공사 부산차량융합기술단으로 개칭
- 2018년 3월: 한국철도공사 부산철도차량정비단으로 환원
- 2020년 9월: 조직개편
- 부산경남, 대구, 경북본부 산하 차량사업소 관리 이관
- 2023년 12월: 조직개편
- 일반차량운영처 폐지, 산하 차량사업소를 지역본부 차량처로 업무 환원
5. 기타
- 홍순만 사장 취임 직후인 2017년 2월경 부산차량융합기술단으로 개칭하였다가 사임 이후 다시 환원되었다.
- 일반단을 부산신항역 인근으로 이전하려는 계획이 추진되고 있으며 2020년 6월 11일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B/C는 1.5 정도로 경제적 타당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 2024년 현재 주거용지 30%, 공공용지 50% 이상, 상업/업무용지 20% 이하로 일반단 부지의 개발을 추진 중이다.#
- 2020년 9월 조직개편(차량 정비조직 개편)으로 경북본부, 대구본부, 부산경남본부 차량처가 폐지되고, 산하 7개 차량사업소 관리업무는 부산철도차량정비단으로 이관되었다가 2023년 12월에 각 지역본부 차량처로 차량사업소 관리업무를 이관했다.
- 이 곳을 비롯한 전국의 모든 차량정비시설은 국가중요시설이므로 사전 승인 없이 사진을 촬영해서는 안 된다.
- 국가등록문화유산 416호인 2001호 디젤기관차가 정비단 내에 전시 중이다.
6. 관련 문서
[1] 사업소와 정비단은 모두 차량기지이지만 사업규모(범위)나 직제 등이 다르다.[2] LED 장치에는 **기지행이라는 코드가 없으며 모든 기지입고및 출고는 회송으로 표출하거나 운행을 종료한 열차의 행선지를 계속 표출한다.[3] (001~046호기) 1C1001~1C1046편성 주로 들어오는 차량: 25 ~ 35, 37 ~ 46[4] 1C2001~1C2024편성[5] 1C3019~1C3022편성[6] 1C4001~1C4010편성[7] 고속열차의 중정비는 다른 차량기지에서 진행한다. 2025년 기준[8] 반대로 울산(KTX-이음), 이문(ITX-새마을, 누리로), 평내(ITX-청춘)기지는 사업소이지만, 중정비를 진행하는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