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2 14:40:47

복병(유희왕)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HiddenSoldier-JP-Manga-DM-color.png
한글판 명칭 복병
숨은 병사 (유희왕 5D's)
일어판 명칭 [ruby(隠,ruby=かく)]れ[ruby(兵,ruby=へい)]
영어판 명칭 Hidden Soldiers
일반 함정
상대 플레이어가 몬스터를 소환했을 때에 발동. 패에서 별 4개 이하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원작 배틀 시티 준결승전에서 어둠의 마리크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 중 사용. 죠노우치가 로켓 전사를 소환했을 때 발동하여 만력 마신 바이서 데스를 특수 소환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도마 편에서는 그리모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처형인-마큐라를 특수 소환했다.

유희왕 5D's 포츈 컵 편에서 보머후도 유세이와의 준결승 듀얼 도중 사용한 카드로 등장. 후도 유세이스피드 워리어를 소환했을 때 발동하여 트랩 리액터 RR을 특수 소환했다. WRGP 편 119화에서는 팀 태양의 요시조가 잭 아틀라스와의 라이딩 듀얼 중 사용해 트윈 브레이커의 소환을 트리거로 손 잡는 마인을 특수 소환하며 비장의 수단을 위한 빌드업을 갖췄다. 여담으로 팀 태양이 소유한 카드 중 가장 레어도가 높은 카드이기도 하다.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첫 등장 시부터 팀 태양 전까지 지속해서 OCG 명칭이 아닌 '숨은 병사'라는 직역으로 번역됐는데, 듀얼몬스터즈 때는 OCG 명칭 그대로 복병으로 번역했음에도 이름이 달라진 이유는 불명. 또한 자막판에서도 '숨은 병사'로 번역되었다. 동일 방송사에서 방영한 DM 자막판에선 '복병'으로 정상적으로 번역되었기에, 아무래도 더빙판 번역을 적당히 복붙한 것으로 보인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41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복병,
일어판 명칭=<ruby>隠<rp>(</rp><rt>かく</rt><rp>)</rp></ruby>れ<ruby>兵<rp>(</rp><rt>へい</rt><rp>)</rp></ruby>,
영어판 명칭=Hidden Soldiers,
효과1=①: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하면 패에서 어둠 속성 하급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함정.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가 어둠 속성 하급으로 한정되어있기에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몬스터도 그만큼 한정된다. 상성이 좋은 몬스터라면 통상 소환 제한이 있는 제노사이드킹 데몬이나 레어메탈 드래곤, 특수 소환을 일부 봉쇄시키는 심연의 결계상 정도가 있다.

그러나 상대가 일반 소환 / 반전 소환을 실행하는 것은 대개 상대 턴 동안 이루어지게 되어있으므로, 특수 소환해봤자 각종 공격이나 제거 효과의 표적이 되기 쉬우며, 릴리스 요원이나 각종 특수 소환 소재로 써먹기도 힘들다. 릴리스나 각종 소재로 쓰겠다면 연격의 제왕이나 원더 엑시즈 등을 활용해보는 것이 좋다. 공격력 1500 이하라면 지옥의 폭주소환으로 연결도 가능하다. 다만 특수 소환에는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희생의 제물 처럼 상대 턴에도 통상 소환이 가능하게 해주는 카드가 제재를 먹은 환경에서 이 카드를 자신의 턴에 사용하기란 쉽지가 않다.

꺼낼 수 있는 몬스터가 제한되어있는데다 발동 타이밍이 더 제한되어있는 점에서 사실상 일색즉발의 하위 호환에 속한다. 그밖에도 망량발호 역시 '상대 메인 페이즈 중 통상 소환', 라이벌 어라이벌도 '배틀 페이즈 중 일반 소환'이라고 명시하는 등 이미 몬스터를 불문하고 자신의 턴에도 다루기 쉬운 카드들이 나온 상태다. 따라서 앞면 수비 표시나 메인 페이즈 중에 특수 소환해야 하는 각별한 이유라도 없는 이상 이 카드를 우선하기는 힘들다. 효과 처리시 상대 몬스터 수가 0인 경우라도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점, 같은 이름의 카드를 체인할 수 있다는 점 등으로 차별화를 노리는 편이 좋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2-05-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E4-006 | LIMITED EDITION 4 - マリクパック -
2011-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9-JP010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1 Vol.3
2006-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02-EN003 | POWER OF THE DUELIST Sneak Peek
2012-10-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YW-EN146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2024-12-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BC2-END19 | SPEED DUEL: BATTLE CITY FINALS
2012-04-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2-KR010 | 토너먼트 팩 Vol.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