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2 18:07:59

보안관 배럴브림

1. 개요2. 상세3. 평가
3.1. 출시 전3.2. 출시 후
4. 기타

1. 개요

한글명 보안관 배럴브림 파일:보안관 배럴브림.png
영문명 Sheriff Barrelbrim
카드 세트 황야의 땅 결투
카드 종류 하수인
등급 전설
직업 제한 공용
종족 -
황금 카드 황야의 땅 결투 선술집 패스 구매 후 보상의 길 55 레벨 달성
간판 카드 카드팩
비용 4 공격력 4 생명력 4
효과 전투의 함성: 내 생명력이 20 이하면, 황야의 땅 감옥을 엽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황야의 땅 배럴 건물 소유주, 보안관 배럴브림이라고요?
(Is that Sheriff Barrelbrim, owner of the Badlands Barrelbuilding?)
소환: 이 친구들에게 황야의 땅의 인심을 보여주자고. (Let's show these fine folks some Badlands hospitality.)
공격: 편히 묵어라. (Enjoy your stay.)
한글명 황야의 땅 감옥 파일:황야의 땅 감옥.png
영문명 Badlands Jail
카드 세트 황야의 땅 결투
카드 종류 장소(토큰)
등급 전설
직업 제한 공용
황금 카드 황금 보안관 배럴브림의 전투의 함성
비용 4 내구도 3
효과 하수인을 3턴 동안 휴면 상태로 만듭니다.

2. 상세

하스스톤 확장팩 황야의 땅 결투공용 전설 등급 하수인. 하스스톤 오리지널 캐릭터다. 황야의 땅에 있는 마을의 부패한 보안관으로, 마을 사람들을 노역시켜 아제라이트를 캐는 핏바위 채굴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내는 쪽의 영웅의 생명력이 20 이하라면 수감을 3번 시전할 수 있는 장소를 만들어준다. 이 효과는 자신을 방해하는 사람들을 감옥에 가둬버리는 것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황야의 땅 결투 보상의 길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주어지는 전설 하수인이며, 황금 카드 역시 선술집 패스를 구매한 이후의 보상의 길에서만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안관 배럴브림 카드는 제작 혹은 분해를 할 수 없다.

3. 평가

3.1. 출시 전

마이에브 섀도송과 비교해본다면 조건부인 대신 휴면시키는 턴이 한 턴 더 늘었고 최대 3번까지 휴면시킬 수 있다. 때문에 하수인 셋을 돌아가면서 휴면시키거나, 이론상 하나의 하수인에게 3번 연속으로 사용해 9턴 동안 없는 하수인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당연히 마이에브보다 훌륭한 휴면 효과인 건 확실하나, 문제는 휴면의 최대 단점인 상대 턴에 깨어난다는 전혀 보완하지 못했고, 이런 효과가 그렇듯 메타빨을 엄청나게 탄다는 것.

상대방의 윈 플랜을 강제로 3턴 뒤로 미뤄버리거나 일단 치우고 싶은 하수인을 미리 치워두거나 버프를 받지 못하게 지워두는 등의 플레이는 가능하다. 하지만 보통 윈플랜의 경우 이거 차단해주세요하고 미리 내주는 것은 드물고, 이미 받은 버프의 경우 휴면이 풀려도 유지되기에 애매할 수도 있다.

게다가 그냥 여는 것이 아니라 생명력이 20 이하여야 열 수 있다. 레나탈의 경우는 최소 15, 기본적으론 최소 10의 체력은 잃어야 장소를 연다는 것인데, 감옥을 쓰겠다고 명치를 오픈하는 건 주객전도가 되기 쉽고 흑마법사를 제외하면 마땅한 자해 시너지도 없고, 휴면이 큰 영향을 발휘하는 강한 하수인을 쓰는 덱을 상대로는 체력이 그렇게 크게 깎일 일도 드물다는 것이 문제다.

야생에서는 대드루이드 나랄렉스 같은 카드를 통해 어느정도 더 유연한 사용이 가능하겠지만, 정규풀에는 이런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의 하수인이 존재하지 않는 것도 문제다. 또한 과거 마그테리돈, 사로잡힌 시리즈처럼 "휴면에서 깨어났을 때~"의 능력을 가진 하수인들은 수동 휴면으로 자다 깼을 때는 효과가 발동하지 않게 메커니즘 수정이 이루어졌기에 더욱 그렇다.

3.2. 출시 후

정규전에선 하이랜더 드루이드 외에는 쓰지 않는다. 사실 하이랜더 드루이드도 제압기가 부족해서 울며 겨자먹기로 쓰는 것에 가까웠고 이후 덱이 정제되자 하이랜드 드루이드도 안쓰고 있다. 위즈뱅이후에는 체력을 자의적으로 줄이는 자해흑마가 쓰고 있다. 도발 하수인 이외에도 상대의 강한 하수인을 필드에서 무력화시키고 필드를 강하게 잡는데 사용한다.

어쨌든 3번이나 써먹을 수 있어서 광역기나 제압기를 찾을 때까지 시간을 버는 용도로는 1회용인 마이에브보다 훨씬 낫다. 또한 현재 메타에서 장소를 견제하는 카드는 그렇게 많지 않으므로, 일단 깔아놓고 나중에 효과를 봐도 된다는 점도 좋다. 티탄들이 전부 하수인 판정이므로 이들의 능력 사용을 일단 몇 턴 뒤로 넘겨두고 제압기를 찾는 임시방편으로도 효과적이다.

시너지를 볼 수 있는 최고의 카드를 꼽자면, 역시 고독한 방랑자 리노. 유치장에 갖혀있던 하수인을 싹 사라지게 만든다. 최대 9턴 동안 내내 갖혀있던 하수인을 이제 써먹을 수 있겠다 싶었을 때 등장하는 리노는 상대에게 멘붕을 안겨주기에 충분하다. 반대로 가장 카운터 맞기 좋은 카드도 리노이다.

야생에서는 브란 브론즈비어드를 이용하거나, 주술사라면 퀘스트, 볼너 해머비크, 앵무새, 메아리치는 정령 등을 사용해서 감옥을 2개 열 수 있는 수단이 많기 때문에 어그로 덱들을 상대로 5~6턴에 반드시 도달해야 하는 하이랜더 덱, 두억시니 덱 들이 상황에 따라 채용하기에 좋은 카드이다. 특히 합체로 밸류를 생성하는 기계 계열 어그로 덱들은 합체시킨 하수인 하나가 죽메도 발동 못하고 합체도 못하는 상태로 휴면 상태에 들어가고, 이후에 휴면이 풀려도 바로 공격할 수 없어서 플랜이 무너지기 때문에 꽤 괜찮은 제압기로 활약한다.

또한 앞서 말한대로 감옥을 2개 열면, 1개일 때 살짝 아쉬웠던 필드 장악력이 흉악하게 변한다. 가장 비용이 높은 브란 - 배럴브림, 배럴브림 - 앵무새 콤보도 7코스트로 생각보다 높지 않으면서 상대의 필드에 빅엿을 먹일 수 있다는 점이 괜찮은 편.[1] 특히 하수인 칸이 잠겨버리면 이후 플레이에 차질이 생기는 퀘스트 냥꾼, 오닉시아의 비늘, 바다 동물 친구들 등의 속공 토큰 생성 카드의 밸류가 낮아지는 드루이드 상대로 효과적이다. 또 리노를 포함한 콤보를 완성한 두억시니를 돌리는데 성공하면 영웅의 체력이 20 이상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감옥이 열리지 않아서 1코 무한 두억시니를 해도 셀프로 필드 락을 걸지는 않는다.[2]

다만, 야생에선 굿 스터프가 수두룩 빽빽하고, OTK 덱들도 많기 때문에 정규보다도 환경이 열악하다. 전함 시너지를 볼 수 없다면 왕자 레나탈을 사용한 하이랜더 덱을 짜는 경우에 자리가 남으면 넣는 정도가 괜찮다.

투기장에선 상대의 강력한 하수인을 3턴 동안 3번 무력화시킬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좋아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4. 기타

파일:234141.gif

시네마틱에 따르면 초록색 눈이며, 모자에는 총을 발사하는 기능이 있다.

황야의 땅 카드 145장을 모으면 주는 동전에 따르면 모자 안에는 대머리이다.

[1] 극단적으로 볼너 - 배럴브림 - 저코 전함 하수인, 브란 - 배럴브림 - 그밟 - 배럴브림 등으로 3개 이상 감옥을 열고 버티는 전략도 가능하다. 상대가 미라클 덱이나 주문 위주라면 의미가 없지만, 하수인 밸류로 싸우는 덱이라면 내 콤보가 완성 되거나, 위에 언급한 리노를 찾을 때까지 비교적 안전하게 명치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2] 또한 두억시니 하나 뺴고 필드가 전부 감옥으로 가득 찬다고 해도, 상대 필드도 그만큼 봉쇄가 가능하고, 사용 횟수가 끝난 장소가 부숴지면서 내 필드가 더 먼저 풀리기 때문에 그 후 2턴 동안 상대 필드를 더 묶어두고 나 혼자 정상적으로 하수인을 플레이 할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