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15 22:20:03

벨기에 식민지 콩고


콩고민주공화국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선사 ~ 중세 토착 왕국 벨기에의 식민지배 현대
부족 사회 콩고 왕국
루바 왕국
룬다 왕국
쿠바 왕국
국제 아프리카 협회 국제 콩고 협회 콩고 독립국 벨기에령 콩고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자이르 콩고민주공화국
}}}}}}}}}
국제 아프리카 협회
국제 콩고 협회
콩고 자유국
벨기에령 콩고

Association internationale africaine
Association internationale du Congo
État indépendant du Congo
Congo belge
파일:콩고 독립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식민지 콩고의 문장.png
깃발 문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ocationCongoFreeState.png
1876년[1] ~ 1885년
표어 노동과 진보(Travail et Progrès)
국가 미래로 향해(Vers l'avenir) ↓
브라반트의 노래(La Brabançonne)
정치체제 벨기에 제국식민지
수도 보마레오폴드빌
언어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민족 320여개가 넘는 토착 민족
통화 콩고 프랑
성립 이전 콩고 왕국
멸망 이후 콩고 독립국

1. 개요2. 역사3. 관련 문서

1. 개요

1879년부터 1960년까지 오늘날 콩고민주공화국 일대에 존재했던 벨기에식민지였다. 1922년부터는 루안다-우룬디라는 이름 하에 오늘날 르완다, 부룬디 일대를 차지하고 있던 벨기에 식민지도 영역에 포함되었다. 1960년 6월 30일 콩고 공화국의 독립으로 붕괴하였다.

2. 역사

...아프리카에서 알려지지 않은 지역들을 과학적으로 탐험하며,
문명이 아프리카 내륙에까지 소개될 수 있도록 도로를 건설하고,
흑인 노예무역을 근절하는 데 있다.
▶ 국제아프리카협회에서 밝힌 협회의 목적(Banning 1877, 155)[2]

19세기 들어 서구 열강은 기존의 아프리카에서 실시하고 있던 노예무역을 그만두고 아프리카 식민지-보호령 지배로 정책을 새롭게 바꾸었다. 그 이유는 유럽이 프랑스 혁명, 1848년 혁명 등을 거치며 계몽적인 사고관을 확립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노예무역이 금지화되었기 때문이다. 과학산업의 발전으로 농업에 쓸 인력인 노예의 필요성이 줄어든 이유도 있다.

1788년 영국에서 아프리카내륙발견협회(Association for Promoting the Discovery of the Interior Parts of Africa)[3]가 수립된 이후 유럽 열강들은 아프리카에 탐험가들을 꾸준히 보냈다. 이들 중에는 선교 활동을 위해 아프리카로 떠난 사람도 있었는데 데이비드 리빙스턴(David Livingstone)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1841년부터 남아프리카에서 선교 활동을 하던 그는 수차례 아프리카를 탐험했는데 1866년 세 번째 중앙아프리카 탐험에서 실종되고 말았다. 1871년 실종된 그를 찾기 위해 영국 출신의 미국 언론인 헨리 모턴 스탠리(Henry Morton Stanley)가 잔지바르로 출발했으며 결국 탕가니카 호 주변에서 리빙스턴을 구조해냈다.

당시 리빙스턴의 실종은 유럽에서 큰 이슈였는데, 스탠리의 구조로 말미암아 그는 유명해졌으며 이와 같은 유명세를 통해 1879년에는 벨기에의 국왕 레오폴드 2세의 지원을 받게되었다. 레오폴드 2세는 강력한 벨기에 건설이라는 제국주의적 야심을 위해 콩고를 식민지로 삼으려고 하였다. 1876년에 외견상으로는 과학적인 단체로 보이는 콩고 연구위원회(Comité d'études du Haut-Congo), 인도주의적 단체로 위장한 국제아프리카협회(Association internationale africaine)를 설립하여 콩고 식민지화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헨리 모턴 스탠리는 이러한 레오폴드 2세의 식민지 확장을 위해 고용되어 5년 동안 국왕을 위해 일하였다.[4]

1879년 레오폴드 2세는 국제아프리카협회의 명칭을 '국제콩고협회(Association internationale du Congo)'로 바꾸었는데 기존의 국제아프리카협회가 유럽 국가들 사이의 명목에 불과한 단체였다면 국제콩고협회는 레오폴드 2세의 실질적인 콩고 지배기구가 되었다.[5]

1884년 ~ 1885년 독일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의 중재로 개최된 베를린 서아프리카 회담을 통해 벨기에는 콩고 일대의 독점적 소유권을 당대 유럽 열강들로부터 인정받았다. 오늘날 콩고민주공화국의 국경은 이 회의 때 임의로 만들어진 것이 그대로 정착된 것이다.[6] 유럽 열강으로부터 콩고의 권리를 인정받으면서 레오폴드 2세와 국왕의 동료들은 자신들의 부를 충족하는 것과 벨기에 제국 성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은 이를 위해 콩고 원주민들의 권리를 무시하였고, 곧 콩고는 조지프 콘래드의 어둠의 심연에서 묘사되는 '지옥'으로 돌변했다.

3. 관련 문서


[1] 국제 콩고 협회(Association internationale du Congo)의 성립년도[2] 그러나 협회의 실상은 레오폴드 2세제국주의적 야욕을 채우기 위한 거수기였다.[3] 이 협회는 서아프리카 니제르강 일대를 탐험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훗날 왕립지리학회로 명칭이 변경된다.- 김상훈, 통아프리카사, 다산에듀, 2010, p189[4] 스탠리는 콩고 강 하류에 레오폴드빌(오늘날 민주콩고의 수도)을 건설하고 콩고 토착 원주민 족장으로부터 '벨기에 왕에게 보호받겠다'는 불공평 조약을 체결하였다. - 김상훈, 통아프리카사, 다산에듀, 2010, p191[5] 이종찬(Jong-Chan LEE).(2014). 레오폴 2세의 콩고 통치에 의한 열대 공간의 식민적 생산. 문화역사지리, 26(1): 92-107, p96[6] 이러한 임의적인 국경의 설정은 기존에 아프리카 원주민들의 종족, 언어, 토착 신앙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처사였고 오늘날 아프리카의 큰 갈등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다. - 이종찬(Jong-Chan LEE).(2014). 레오폴 2세의 콩고 통치에 의한 열대 공간의 식민적 생산. 문화역사지리, 26(1): 92-107, p97[7] 폴란드 출신 영국인 작가. 6개월간 무명 벨기에회 소속의 선장으로 콩고 강에서 배를 몰았다. 이후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어둠의 심연과 진보의 전초 기지를 집필했다.[8] 벨기에군 지휘관. 각종 전쟁범죄를 진두지휘했다. 어둠의 심연에 등장하는 교역상 커츠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레전드 오브 타잔에서는 크리스토프 발츠가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