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Aβ)는 아밀로이드의 일종으로,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 BBB)에 침착되며 알츠하이머병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난다.2. 상세
알츠하이머병과 연관된 노인성대뇌 환자에서 주로 나타나며 알츠하이머병의 주된 발병 원인이다. 베타아밀로이드 자체는 뇌에서 소량으로 자연적으로 생성된다.잠의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뇌 안에 있는 베타아밀로이드를 깨끗하게 세척해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2.1. 아밀로이드 플라크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가 비정상적으로 뭉쳐져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형성한다. 이 플라크는 뇌의 신경세포간의 통신을 방해하고, 염증반응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발할수 있다.[1]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섬유 매듭은 뇌의 면역계를 활성화시켜 염증 반응을 유발한다. 이러한 염증은 신경세포의 추가적인 손상을 초래하고, 질병의 진행을 가속화할수 있다[2].
3. 연구동향
베타아밀로이드의 축적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는 현대 의학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로, 베타아밀로이드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뇌에서의 제거를 촉진하는 약물이 개발되고 있다. Aducanumab과 같은 항체 기반 치료제는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를 대상으로 하여 그 제거를 돕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3].광유전학적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다.
알츠하이머병 치료를 위한 베타아밀로이드 항체를 나노 입자로 적재하여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시키는 DDS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4].
임상적으로는 PET 스캔을 통해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축적을 탐지한다[5].
4. 관련 질환
* 알츠하이머병* 다운증후군
* 가족성 조기 발병성 AD(PSEN1/2 돌연변이)
5. 같이 보기
* 타우 단백질* 신경세포
[1] Dendrou, C. A., fugger, L., & friese, M. A. (2015). immunopathology of multiple sclerosis. nature reviews immunology, 15(9), 545-558.[2] Hauser, S. L., & Oksenberg, J. R. , The neurobiology of multiple sclerosis: Genes, inflammation, and neurodegeneration. Neuron. 52: 61-76 (2006).[3] Dorst, J.,Cypionka, J., & Ludolph, A. C. , High-caloric food supplements in the treatment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 prospective interventional study.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nd frontotemporal degeneration. 14: 533-536 (2013).[4] Jordan, M. I., & Mitchell, T. M. , Machine learning: Trends, perspectives, and prospects. 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349: 255-260 (2015).[5] Kalia, L. V., & Lang, A. E. , Parkinson's disease. The Lancet (British edition). 386: 896-91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