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청 서울시청 쇼트트랙팀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
<rowcolor=#ffffff> 남자 | |||
박지원 | 이정수 | 김대환 | 홍인규 |
<rowcolor=#ffffff> 여자 | |||
박지윤 | 심석희 |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박지윤 朴智允|Park Jiyun | |
| |
출생 | 1999년 7월 22일 ([age(1999-07-22)]세) |
경기도 화성시 | |
국적 |
|
신체 | 158cm, O형 |
학력 | 화성금곡초등학교 (졸업) 매송중학교 (졸업) 태원고등학교 (졸업) 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 / 학사) 한국체육대학교 (체육학[1] / 석사[2])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소속 | 의정부시청 -> 서울시청 |
MBTI | ENFP |
국가대표 | 2021-22~2024-25 (4시즌)[3] |
SNS |
1. 개요
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지윤(쇼트트랙)/선수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박지윤(쇼트트랙)/선수 경력#|]][[박지윤(쇼트트랙)/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수상 기록
| ||
금메달 | 2022 몬트리올 | 3000m 계주 |
| ||
은메달 | 2024 라발 | 3000m 계주 |
| ||
금메달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3000m 계주 |
동메달 |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 500m |
동메달 | 2023 레이크플래시드 | 500m |
| ||||
월드컵 메달 | 금 | 은 | 동 | 포디움 |
1000 m | 0 | 0 | 1 | 1 |
개인전 합계 | 0 | 0 | 1 | 1 |
3000 m 계주 | 1 | 5 | 2 | 9 |
2000 m 혼성 계주 | 1 | 0 | 0 | 1 |
계주 합계 | 2 | 5 | 2 | 9 |
메달합계 | 2 | 5 | 3 | 10 |
| ||||
시즌 | 종합 | 500m | 1000m | 1500m |
2021-22 | - | 32위 | - | - |
2022-23 | - | 23위 | - | - |
2023-24 | 16위 | 28위 | 8위 | 21위 |
랭킹기록 80% 기준 표기[5] |
2023-2024 시즌 수상기록까지
3.1. 방송 출연
방영일 | 방송사 | 제목 | 영상 | 비고 |
2022년 | ||||
3월 2일 | | 유 퀴즈 온 더 블럭 | | 동계올림픽 특집 |
3.2. 기타 출연
2022년 | |||
방영일 | 채널명 | 제목 | 영상 |
2월 19일 | 비디오머그 | 베이징에 갔지만 뛰지 못한 선수, 박지윤 선수를 만났습니다 / [비머in베이징ep.13] / 비디오머그 | |
4. 논란 및 사건 사고
4.1. 음주 운전사고 연루?
|
5. 여담
- 존경하는 선수는 박승희이다.
- 쇼트트랙을 배우기 이전에는 테니스 선수를 하려했고 후에 쇼트트랙을 배우러 갔는데 피겨 선생님을 소개 받았던 적이 있다고 언급했으며 추가로 본인은 큰 부상으로 인해 그만두려고 했을 때쯤 첫 대표팀으로 입촌에 성공했다고 김아랑 유튜브에서 언급했다.
- 병아리를 닮아 병아리라는 별명이 있으며 스스로를 긍정왕이라고 소개한다.
- FC서울 수호신이자 기성용팬이다.
- 김아랑 유튜브에 자주 출연한다.
- 발 사이즈는 230mm이다.
- 크롭티를 자주 착용하며 패션센스가 좋다.
6. 역대 프로필 사진
국가대표 |
<nopad> |
2022 베이징 올림픽 |
7. 둘러보기
<rowcolor=#ffffff> 남자 | ||||
황대헌 | 이준서 | 박장혁 | 곽윤기''' [[주장| C ]]''' | 김동욱 |
<rowcolor=#ffffff> 여자 | ||||
최민정 | 이유빈 | 김아랑''' [[주장| C ]]''' | 서휘민 | 박지윤 |
[1] 스포츠 심리학 전공[2] 석사 학위 논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시합 불안요인과 대처방안 = Anxiety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for Short Track Speed Skating Athletes in Competitions[3] 2021-22, 2022-23, 2024-25 시즌 세 번 모두 국가대표 예비 멤버로 뽑혔는데, 2021-22 시즌은 김지유와 이유빈의 이탈로 세계선수권 출전이 가능했다. 2022-23 시즌은 앞순위 선수들이 이전 시즌처럼 부상이나 불참이 아닌 다음에는 출전 가능성이 낮아보였으나 김건희가 3차 월드컵에 결장하면서 차순위 자격으로 대회에 참가했고, 2024-25 시즌은 김건희가 6차 월드 투어에 불참하면서 차순위로 계주에 참가했다.[4] 월드컵 랭킹 표기는 랭킹 20위까지 표기를 기준으로 한다. 20위를 넘는 성적은 전체 커리어의 상위 80%를 기준으로 기재한다.[5] 랭킹 표기: 전체 랭킹기록 8개의 80%인 6개까지 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