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22:28:22

어둠의 바쿠라/덱

바쿠라 료/덱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어둠의 바쿠라
1. 개요2. 코믹스
2.1. 배틀 시티편2.2. 왕의 기억편
2.2.1. OCG화 된 카드2.2.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3.1. 듀얼리스트 킹덤 편
3.1.1. OCG화 된 카드3.1.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2. 배틀 시티 본선 편
3.2.1. OCG화 된 카드3.2.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2.2.1. 소령술3.2.2.2. 전율의 어스바운드
3.3. 왕의 기억 편
3.3.1. OCG화 된 카드3.3.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3.2.1. 사령의 수비봉인3.3.2.2. 사령의 봉인검3.3.2.3. 사찰상쇄3.3.2.4. 좁은 회랑
4. OCG 오리지널 지원

1. 개요

어둠의 바쿠라가 사용한 덱들의 구성을 설명하는 페이지.

덱 자체는 바쿠라 료의 취향이 반영된 모양이지만[1], 작중 이 덱으로 듀얼을 한 것은 어둠의 바쿠라 뿐이다.

카드의 총 매수는 본편 중 이름이 밝혀진 카드만을 합산한 것입니다.

DM 시절 기준으로 드물게 번, 덱 파괴, 효과에 의한 승리 등 비전투형 전술에 집중된 덱을 소유했다.

2. 코믹스

2.1. 배틀 시티편

총 21장.

2.1.1. OCG화 된 카드

2.1.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함정 카드
    • 전율의 어스바운드[4]

2.2. 왕의 기억편

총 10장.

2.2.1. OCG화 된 카드

2.2.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3.1. 듀얼리스트 킹덤 편

원작에서는 어둠의 유우기와 보드 게임을 치뤘던 것과는 달리 여기서는 듀얼로 승부를 보기에 덱이 따로 존재한다. 후에 배틀 시티에서 사용하는 오컬트 테마 덱과는 다른 효과 몬스터 위주의 덱. 총 12장.

3.1.1. OCG화 된 카드

3.1.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2. 배틀 시티 본선 편

총 32장.

3.2.1. OCG화 된 카드

3.2.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2.2.1. 소령술
한글판 명칭 소령술
일어판 명칭 [ruby(召霊術, ruby=しょうれいじゅつ)]
영어판 명칭 Spiritualistic Medium
속공 마법
플레이어는 좋아하는 매수를 버려도 된다. 버린 패 1장당 몬스터의 공격력을 500 포인트 올린다. 이 효과는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사라진다.

고스트 코츠즈카와의 듀얼에서 사용. 코츠즈카가 발동한 사령의 권유가 적용되어 있음에도 패를 다수 버리고 발동하여 코츠즈카의 비웃음을 샀으나, 곧 효과로 사령 백작의 공격력을 대폭 올려서 금빛 맘모스를 격파했다.
3.2.2.2. 전율의 어스바운드
파일:Fearful-Earthbound.jpg
한글판 명칭 전율의 어스바운드
일어판 명칭 [ruby(戦慄, ruby=せんりつ)]のアースバウンド
영어판 명칭 Fearful Earthbound
지속 함정
적 몬스터의 공격 선언에 의해 발동. 전율의 어스바운드는 적 몬스터가 공격할 때마다 플레이어에게 5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어둠의 마리크와의 듀얼 중 사용. 무시무시한 함정이라며 첫턴에 세트해 두었다. 이후 마리크가 드릴라고로 공격을 선언하자 바로 발동시키지만, 마리크가 사용한 함정 해제에 즉시 파괴되었다.

3.3. 왕의 기억 편

총 29장. 사용한 카드의 70% 이상이 애니메이션 오리지널이다. 오랫동안 OCG화 소식이 없다가 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4에 일부 카드들이 OCG화되기 시작했다.

3.3.1. OCG화 된 카드

3.3.2. OCG화 되지 않은 카드

3.3.2.1. 사령의 수비봉인
한글판 명칭 사령의 수비봉인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死霊, ruby=しりょう)]の[ruby(守備封じ, ruby=しゅびふ)]
영어판 명칭 Spirit Sword of Sealing
일반 마법
필드 위에 앞면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해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작중에서 이 카드로 마슈마론을 공격 표시로 변경했다. 그런데 그 이후에 유우기가 마슈마론을 다시 수비로 되돌리지 않는 것으로 보면 대상이 된 몬스터는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게 하는 부가 효과가 있는 듯하다. 그렇게 된다면 수비봉인의 완벽한 상위호환인 미친 카드.
3.3.2.2. 사령의 봉인검
한글판 명칭 사령의 봉인검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死霊, ruby=しりょう)]の[ruby(封印剣, ruby=ふういんけん)]
영어판 명칭 Spirit Sword of Sealing
일반 마법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해 게임에서 제외한다.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가 묘지에 보내졌을 때, 이 효과로 제외한 몬스터를 원래의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3.3.2.3. 사찰상쇄
파일:counterbalance.jpg
한글판 명칭 사찰상쇄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死札相殺, ruby=しさつそうさい)]
영어판 명칭 Counterbalance
지속 마법
서로의 플레이어는, 각각의 턴 엔드 페이즈에 서로의 필드 위의 몬스터 및, 서로의 제외된 몬스터의 수만큼, 덱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바쿠라는 저주 효과를 얻어가지고 묘지가 없어진 것로 취급되어 유우기만 덱 파괴가 되었다.
3.3.2.4. 좁은 회랑
파일:narrow-corridor.jpg
한글판 명칭 좁은 회랑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狭, ruby=せま)]き[ruby(回廊, ruby=かいろう)]
영어판 명칭 Narrow Corridor
지속 함정
상대 플레이어는 배틀 페이즈 중, 2장으로밖에 공격 선언을 실행할 수 없다.

작중에서는 바쿠라가 2장 이상의 몬스터로 공격한 적이 없으니, 암흑의 문보다 발동가능한 타이밍도 한 턴 늦고 상대의 공격도 한 번 더 허용해 버리는 하위호환으로만 보여질 수 있으나, 마법 카드만 무효화, 파괴하는 카드에 대응가능하다는 것과 상대만 공격 횟수를 제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할 수 있다.

4. OCG 오리지널 지원

바쿠라가 사용한 카드들을 모티브로 한 카드들이 등장한 팩은 듀얼리스트 팩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이 존재한다.
  • 컨셉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위저 보드를 중심으로 하며 악마족 / 레벨 8 몬스터[10]
    •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 사령 조마의 리메이크 카드가 등장했다.

[1] 배틀 시티 편에서 사용된 오컬트 덱이 그러한 듯하며 왕의 기억 편에서 사용된 네크로 락 덱이 어둠의 바쿠라만의 오리지널 덱인 듯 하다.[2] 몇 턴 전 상태로 필드를 되돌려 놓아서 그동안 덱이나 패로 돌아가거나 묘지에 들어간 몬스터들도 재소환시키는 사기카드.[3] 작중에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죽은 자의 소생으로 다크 네크로피어를 소생시켜서 위저 보드를 무력화 시키려는 유우기의 전략을 눈치 챘을때 아직 자기 패엔 마법 해제의 카드가 없다고 말한 걸 봐서는 덱에 일단 들어가 있긴 한듯.[4]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발동 가능. 상대에게 5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준다.[5] 서로의 플레이어는 자신의 엔드 페이즈에 필드 위의 존재하는 몬스터의 숫자만큼 덱에서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6] 몬스터 1장을 제외한다. 제외된 몬스터의 주인의 필드에서 몬스터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제외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7] 정확히 말하자면, 듀얼할 때 쓴 게 아니라 페가수스의 천년 아이를 빼가기 전에 점을 친다면서 보여준 카드. 죽음을 피할 수 없는 미래라고 했다. 하지만 페가수스가 죽는 건 원작 한정.[8] 정확히 말하자면, 듀얼할 때 쓴 게 아니라 페가수스의 천년 아이를 빼가기 전에 점을 친다면서 보여준 카드. 페가수스의 현재의 진정한 목적, 즉 카이바 코퍼레이션을 빼앗아 듀얼링 시스템의 권리를 손에 넣어 자신이 제작한 신디아의 카드를 듀얼링 시스템으로 입체화시키는 것을 감추고 있었음을 나타냈다.[9] 정확히 말하자면, 듀얼할 때 쓴 게 아니라 페가수스의 천년 아이를 빼가기 전에 점을 친다면서 보여준 카드. 페가수스의 과거의 슬픈 사랑을 정확히 짚어냈다.[10] 다크 네크로피어를 의식한 것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