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22:25:31

바쿠고 카츠키/능력/전투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바쿠고 카츠키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Katsuki_Bakugou_Portrait.png바쿠고 카츠키
관련 문서
}}}
작중 행적 · 평가 · 인간 관계 · 능력(전투력) · 폭파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2. 전투력
2.1. 첫등장 당시2.2. 인턴재개편2.3. 클러스터를 익힌 이후2.4. 전신폭파를 깨우친 후

1. 개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의 서브 주인공인 바쿠고 카츠키의 능력중 전투력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2. 전투력

파일:바쿠고 필살폭발.webp
올포원을 쓰러뜨리는 바쿠고
파일:바쿠고 최종버전 하우저.webp
올포원의 전인해방을 완전히 밀어버리는 하우저 임팩트
봉합할게, 아직 너의 화력이 필요하니 서둘러
보고 피했나?[1]
베스트 지니스트
왜 짜증이 나는 거지, OFA도 갖지 못한 일반인에게, 왜 내가 지금 초조해하고 있지?!
시가라키 토무라
뛰어난 개성[2]과 천재적인 전투 센스로 전투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었다. 모든 패러미터가 전투력과 크게 무관한 마지막 부분(협동성, 말투)을 제외하고는 전부 A이상이며 테크닉에서 가장 큰 강점을 보인다.[3]. 작중 묘사로도 어지간한 프로는 진작에 넘어섰으며 같은 1학년 학생들은 이미 체육제 시점에서 미도리야나 토도로키가 아닌 이상은 상대조차 안 될 정도로 차이가 났다. 그나마 이들과 비슷한 수준인 토코야미도 상성 때문에 바쿠고를 이기진 못한다.

화력 역시 폭파라는 개성답게 하늘에서 쏟아지는 돌무더기쯤은 한방에 정리가능하며 최대 출력은 올마이트급의 인물도 밀려날 정도로 훌륭한 편이며 이 조차도 기말고사 기준이고 훈련을 통해 화력이 더 강해지고 클러스터까지 익힌 현 시점에서는 바쿠고의 공격을 받고 무사히 끝날 빌런은 마스터피스 시가라키 정도가 아니면 없다. 최종장에서 내로라하는 히어로들이 모인 시가라키 담당 팀에서도 유일하게 시가라키의 손가락 증식을 자력으로 뚫어서 정면으로 다가갔고 지니스트역시, "아직 네 화력이 필요하다."면서 바쿠고 수준의 화력을 지닌 사람은 없다고 묘사된다. 그나마 아마자키가 있는대로 끌어모아 쏜 레이저가 비슷한 수준이며 이 조차도 아직 성장중이기에 졸업쯤에는 더 강해질 여지도 있다. 다만, 같은 1학년 최강자 라인인 미도리야와 토도로키와 비교하면 역시 뒤쳐지는 묘사가 많은데 자세한건 후술.

가장 많이 비교대상으로 언급되는건 당연히 토도로키 쇼토. 같은 서브주인공 포지션에 전투력도 비슷하다보니 굉장히 많이 비교된다.[4] 일명 바쇼논쟁. 원래는 토도로키에 비해 바쿠고가 밀렸으나 체육대회편을 기점으로 사실상 동급취급된다. 일단 현시점에서 작중언급등을 고려하면 화력은 크게 차이나는 수준은 아니나 그래도 토도로키가 확실히 우위, 기동성면에선 바쿠고가 확실히 우위로 평가되며 작가의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이 둘은 사실상 동급이라고 봐야한다. 다만 후술하듯이 전투력은 몰라도 활약면에선 최종결전편전까진 토도로키에게 확실히 밀리는 편이었다.

2.1. 첫등장 당시

파일:미도리야vs바쿠고.gif
미도리야 이즈쿠를 압도하는 바쿠고
파일:하우저 임팩트.gif
바쿠고의 하우저 임팩트
1대1로는 아직 도저히 이길 수 없어..!
미도리야 이즈쿠
정신적으론 미성숙한 시기이지만 전투력만큼은 프로히어로에 준한다고 평가받았으며 입학시험때 레스큐포인트없이 순수 빌런포인트만으로 입시생중 1위를 한 유에이 수석입학자다.

전투훈련 당시에도 미도리야를 거의 가지고 놀다시피 압도하였으며 이를 본 카미나리 덴키는 대놓고 이게 재능이냐며 말할 정도로 재능은 이미 A반내에서도 특출나게 뛰어난 편이었다.

다만 첫등장때부터 프로히어로 이상이라고 평가받은 토도로키 쇼토에 비해선 확실히 아래에 있었으며 본인도 토도로키의 능력을 보고 이길 수 있단 생각이 안들었다며 분해하였다. 허나 이후 체육대회 전에서 토도로키와의 결승전에서 밀리지않는 모습과 최대화력을 활용한 하우저 임팩트의 개발하며 체육대회 시점부턴 적어도 동급내지 근소 열위수준까진 따라온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면허시험 이후 8%까지 사용가능 해진 미도리야를 상대로 편법같은 것 없이 순수 본인의 힘으로 승리하며 다시한번 강함을 입증하였으며 이시점 순수 전투력으론 1학년내에서는 미도리야, 토도로키를 제외하면 견줄자가 없으며 유에이 전체를 놓고봐도 상위권이다.[5][6]

2.2. 인턴재개편

파일:월히미 바쿠고 하우저.webp
서펜터즈에게 승리하는 바쿠고
파일:6기 바쿠고 토무라.gif
시가라키 토무라를 공격하는 바쿠고
인턴재개편에 들어서며 엔데버의 가르침아래에 프로히어로 최상위권자리까지 올라섰다. 인턴재개편부터 미도리야, 토도로키와 함께 단순히 A반이나 유에이내에서 뿐만아니라 프로히어로 내에서도 손꼽히는 입지를 보여주었다. 실제로 월드 히어로즈 미션의 휴머라이즈의 트리거봄 사태 때 미도리야, 토도로키, 로디 소울과 함께 본거지에 침입할때 다른 프로히어로들도 이들을 막기는 커녕 믿고 맡길 정도이며[7] 서펜더즈를 상대로 승리하는 등 확실히 프로히어로내에서도 최상위까지 올라선것을 입증하였다.

다만, 같은 1학년 최강자 라인인 미도리야와 토도로키와 비교하면 역시 뒤쳐지는 묘사가 많은데 미도리야는 최종전 직전에서 30%출력에도 간신히 따라가는 수준이었고 토도로키의 경우엔 아예 처음부터 꾸준히 화력에서 밀린다는 묘사가 나왔다.[8] 따라서 이 둘과 비슷하거나 더 강한 화력을 지닌 시가라키, 다비, 올 포 원, 올마이트, 엔데버보단 역시 떨어진다.

결정적으로 작가가 처음부터 바쿠고의 성장 방향성은 전투력이 아닌 히어로로서의 마음가짐쪽에 초점을 둔 탓인지 초현실 해방군편까지 메인스토리에서는 줄곧 밀려나서 강력한 빌런에게는 크게 유효한 전적을 내지는 못한 편으로 본편에서 빅 딕터을 화력이 약한 편인 AP샷으로도 한방에 보내버리긴 했지만 현 시점에서 본편의 네임드 킬은 이걸로 끝이며 극장판에서도 두명의 히어로에서는 잡졸만 처리했고 히어로즈 라이징에서도 자력으로 쓰러뜨린 것은 최약체인 머미, 월드 히어로즈 미션에서는 서팬더즈를 상대로 쓰러뜨리긴 했지만 미도리야나 토도로키와 비교하면 가장 만신창이가 되었다.

2.3. 클러스터를 익힌 이후

파일:하우저 임펙트 클러스터1 .gif
토무라에게 작렬하는 하우저 임팩트 클러스터
전면전쟁편에서 클러스터를 익힌이후 화력면에서 더욱 강해졌으며 속도 역시 이전보다 더욱 향상된 모습을 보여준다.

전면전쟁 당시 토무라에게 치명상을 입은 상태에서도 클러스터를 통해 니어 하이엔드들을 날려버리는 화력을 보여주었으며 최종결전때도 미도리야 이즈쿠, 베스트 지니스트, 미르코, 엣지 쇼트, 유에이 3와 함께 시가라키 토무라를 막는 전력으로 선발되었으며 이 전력들중에서도 화력부분에선 지니스트의 언급을 통해 미도리야를 제외하면 가장 강할 정도다. 그나마 타마키가 있는대로 끌어모아 쏜 플라즈마 캐논이 비슷한 수준이며 이 조차도 아직 성장중이기에 졸업쯤에는 더 강해질 여지도 있다.[9] 본인은 최대화력으로도 그을리는게 최대라며 좌절했지만 앞서 언급한 타마키의 레이저조차 시가라키에게 아무 피해를 주지 못한 걸 보면 이정도로도 화력면에선 미도리야, 엔데버, 토도로키, 토코야미를 제외하면 히어로측에선 견줄자가 없다.

다만 이시점까진 위에서 언급한 미도리야, 토도로키보단 뒤떨어지는 모습이 나온다. 인턴재개편까지는 그래도 비벼볼만했던 미도리야는 이미 넘사벽으로 강해졌고 토도로키의 경우도 혁작열권 린을 익히며 화력면에서 바쿠고보다 더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었다.

2.4. 전신폭파를 깨우친 후[부활후]

파일:바쿠고 vs 올포원1.webp
올포원을 날려버리는 바쿠고
파일:바쿠고 전신폭파.gif
올포원의 속도를 따라잡는 전신폭파
어째서일까, 왠지 지금은 추월할 수 있을듯한 기분이 들어.[11]
본인의 평
다만 부활한 뒤로는 조금 상황이 달라졌는데 최종결전 편에서 시가라키 토무라와의 싸움에서 개성이 각성해서 급격한 성장을 이뤘다. 올 포 원에게서 위압감은 엔데버나 다크 쉐도우에 비해 부족하다는 평을 들었으나 스피드는 어려진 올 포 원과 호각 이상으로 따라잡는 모습을 보여주었다.[12] 여기에 공격력도 어디까지나 엔데버나 다크 쉐도우같은 경우와 비교해서 떨어진다는 거지 평타의 폭발이 건물 여럿을 뒤덮고 올포원에게 유효타를 내는 정도의 위력을 선보였다.[13]

종합적으로 히어로 측에선 화력은 엔데버나 미도리야, 토코야미, 쇼토에 비해서 처질 뿐이지 그 이외엔 따라올 자가 없을 정도로 그 바로 아래쯤에 위치하고 기동성은 이미 미도리야 이외엔 따라갈 수 있는 캐릭터는 없다.[14] 토코야미의 다크 쉐도우는 필드나 개성의 상성을 타고 엔데버와 쇼토는 전투지속력이 떨어지지만 이쪽은 반대로 타고난 전투센스와 딱히 상성이라 볼만 한 것이 없는 만능개성, 화력을 증폭시키는 클러스터와 그 부작용인 전신폭파로 인해서 몸이 버틸 수 있는 한 전투시간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강해지는 올라운더 타입의 히어로가 된 셈.[15]

다만 이는 최종결전 편 기준으로, 에필로그 시점에서는 손과 팔의 부상으로 오른손의 폭파가 불안정하게 나오고 이동자세도 바꾼 것을 고려하면 약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어로 랭킹 5위에 들어간 이력을 보면 오히려 대단하다고도 할 수 있다. 에필로그의 시점에선 구 NO.1 히어로 엔데버 보다 높은 전투력을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16]
[1] 전성기 올마이트와 동등한 신체능력을 가진 시가라키 토무라의 주먹을 피한 바쿠고를 보고 말한 대사.[2] 쇼토의 개성이 비교불가능할 수준으로 뛰어나서 그렇지 바쿠고의 개성도 뛰어나다고 칭송받고 있었다.[3] 다만 나히아의 패러미터는 일관성이 없어서 어느 정도는 걸러 들어야 한다. 그 예시로 다비, 오버홀 등이 있는데 이들의 화력 혹은 속도 위주의 테크닉에서 실제 활약상 이상의 평가를 받았다.[4] 인턴재개편시점까지 미도리야 이즈쿠도 이들과 동급취급 받았지만[17] 최종결전편에 들어서며 넘사벽으로 강해진지라 비교대상에서 제외되었다.[5] 미도리야의 원포올 8%가 프로히어로 5명을 상처하나 입히지 않고 재압가능한 러브러버 강화 젠틀 크리미널과의 힘싸움에서도 밀리지 않고 결국 승리한걸 고려하면 이시점에 이미 바쿠고는 어지간한 프로히어로 이상의 강자다. 물론 젠틀과 싸울때 미도리야는 한정 20%에 풍압공격까지 습득하며 바쿠고와 싸울때보다 더 강해지긴 했지만.[6] 다만 8%의 미도리야를 상대로 정말 간발에 차로 이겼으며 이후 그 8%의 미도리야가 토도로키를 제외한 A반 전원과 함께 덤볐음에도 토오가타 밀리오에게 다 털린것을 생각하면 아직까진 유에이 빅3 및 최상위권 프로히어로들에겐 한참 못미친다.[7] 간과하면 안되는게 이들의 신분은 여전히 학생이다. 당장 이전에는 학생들끼리 나설땐 주변 프로들은 걱정부터 하였으나 지금은 학생신분으로도 트리거 봄에 해제키를 본부에 침입하여 직접 꽃는 막중한 임무를 프로들이 믿고 맡길정도로 성장하였다는 것.[8] 전투 훈련에서 토도로키의 개성을 보고 이기지 못할 것이라 확신했고 체육제에서도 바쿠고는 최대 출력이 경기장 밖으로 여파가 좀 보일 수준에 해설하던 마이크와 아이자와의 예측범위 내였는지 크게 놀라는 묘사는 없으나 토도리키의 얼음장벽은 아예 경기장의 반절을 덮어버렸고 아이자와와 마이크는 아예 할 말을 잃은 채로 경악했다. 최종장에서 클러스터를 익혔음에도 묘사를 보면 혁작열권 린을 익힌 토도로키보다 화력이 약하며 본인도 이를 인지해서인지 토도로키에게 우위라고 선언한 것은 화력이 아니라 전투 지속력이다.[9] 애초에 타마키의 경우 네지레의 파동까지 포함하여 개성으로 재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쥐어짜낸 일회용 기술인 반면, 바쿠고의 경우에는 순수 본인의 힘인데다가 남발은 못하더라도 최소 2회이상은 연속으로 날리는 것이 가능하다.[부활후] [11] 시가라키와 싸웠을 때 치명상을 입기 직전 자신이 나날이 성장하여 강해지는 이즈쿠를 아직 따라잡을 수 있을지에 대한 독백을 했는데, 부활 이후 이 발언과 함께 실제로 올포원과 맞붙으면서 히어로측 극상위권의 강자임을 인증했다.[12] 미도리야가 걸어준 변속은 어디까지나 바쿠고에게 부담이 덜 가도록 토시에 걸어준 것이었고 올마이트를 구하고 착지를 했을 땐, 이미 벗어던진 토시만 따로 날아가는 장면이 나온다. 여기에 엣지 쇼트도 전투중 시가라키를 농락하던 스피드를 보였다면서 바쿠고 자체가 어마어마하게 빨라졌음을 인증했다.[13] 다만 이때의 올 포 원은 어린 아이 수준으로 되감아지고 부정적인 감정에 휘말려 개성의 통제권도 약해진, 즉 전투력이 떨어질대로 떨어진 상태였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14] 과거 인물들까지 포함해도 올마이트정도가 최대이다.[15] 현재 히어로측의 최강자가 미도리야이고, 그와 비슷한 위치에 no.1 엔데버가 위치해 있다고 하면 부활 뒤의 바쿠고, 쇼토, 토코야미가 바로 그 아래에 위치해 있다고 볼 수 있다.[16] 또한 작가 본인이 직접 에필로그시점에서 바쿠고는 현 No.1인 밀리오 이상의 실력을 가지고 있다고도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