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가오리과 River stingrays, freshwater stingrays | |
큰이빨담수가오리(Potamotrygon Henlei) | |
학명 | Potamotrygonidae (Garman, 1877)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연골어강(Chondrichthyes) |
아강 | 판새아강(Elasmobranchii) |
목 | 매가오리목(Myliobatiformes) |
과 | 민물가오리과(Potamotrygonidae) |
속 | |
|
1. 개요
민물가오리과(Potamotrygonidae)는 남아메리카의 아마존, 오리노코, 파라나 강 유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전종이 민물에 서식하는 가오리 과(family)이다.모든 구성원이 진화적으로 해수 환경을 완전히 벗어나 담수에 특화된 유일한 가오리 과이며, 바다나 기수에 서식하는 종은 존재하지 않는다[1].
2. 상세
전종 CITES로 관리된다.바다에 살던 가오리가 기수역에서 사냥하다가 지각변동을 비롯한 환경의 변화로 인해 갇히고 서서히 낮은 염도에 적응하면서 담수가오리로 분화하였다.
3. 생태
상어와 같은 다른 연골어류와 유사하게, 수컷은 배지느러미가 변형된 성기가 둘 달려있다. 새끼를 낳는 어류로, 임신하면 배~꼬리 윗쪽 부분이 불룩해지고, 새끼가 발달함에 따라 태동이 관찰된다.3.1. 독가시
블랙다이아몬드가오리의 교체된 독가시 |
독은 여러가지 단백독소의 혼합이다.[2] 아래는 독의 대표적인 성분이다.
- Hyaluronidase : 세포외기질의 히알루론산을 분해하여 독소의 확산을 촉진한다.
- Acid phosphatase : 세포 내외의 인산기를 제거한다.
- 5'-nucleotidase : 뉴클레오타이드를 분해한다.
- caseinolytic, gelatinolytic, elastinolytic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
독은 인간에게 치명적이진 않으나, 극심한 통증과 출혈, 궤양, 국부적 괴사를 유발한다.
4. 종류
4.1. 헬리오트리곤속
4.2. 파라트리곤속
4.3. 안테나가오리속
4.4. 민물가오리속
4.4.1. 싱구강가오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싱구강가오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싱구강가오리#|]][[싱구강가오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4.2. 남미담수가오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미담수가오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남미담수가오리#|]][[남미담수가오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5. 스티라쿠라속
5. 매체
- Fishing Clash에서 잡을수 있는 물고기다.
6. 같이보기
[1] Carvalho et al., Zootaxa, 2003[2]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488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