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00:22:15

미즈노 렌타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CCD7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ECCD7A>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미즈노 렌타로 아리요시 주이치 시모오카 주지
<rowcolor=#ECCD7A>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유아사 구라헤이 이케가미 시로 고다마 히데오 이마이다 기요노리
<rowcolor=#ECCD7A> 제9대 제10대 제11대
오노 로쿠이치로 다나카 다케오 엔도 류사쿠
<nopad> ※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이 중추원 의장을 예겸
조선총독 ·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조선총독부 중추원 (의장 · 부의장 · 간부) }}}}}}}}}}}}}}}
조선총독부 제2대 정무총감
미즈노 렌타로
水野 錬太郎 | Mizuno Rentarō
파일:미즈노 렌타로.png
<colbgcolor=#062861><colcolor=#ECCD7A> 출생 1868년 2월 3일
사망 1949년 11월 25일
위계 정3위
훈등 훈1등
1. 개요2. 생애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일본의 내무관료이자 정치인. 내무대신,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문부대신, 귀족원 의원 등 요직을 역임하였다.

2. 생애

아키타 번의 번사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키타 중학교(현재 아키타 현립 아키타 고등학교), 제일고등중학교를 거쳐 도쿄제국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내무성에 들어갔다. 1895년 을미사변에 가담하였다.

1919년, 수상이었던 하라 다카시가 미즈노에게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자리를 권유한다. 정무총감이라면 조선총독부의 2인자 자리로 조선의 입법, 사법, 행정을 총괄하는 직책이긴 하지만 어디까지나 차관급이었다. 대신을 지낸 그로서는 좌천이라고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밖에는 적임자가 없었던지, 하라 수상의 삼고초려 끝에 그는 정무총감 자리를 승낙하였다. 노부모의 허락, 조직과 인사에 간여하지 말 것, 예산을 마음대로 줄 것이라는 조건을 걸어서. 그렇게 그는 1919년 9월 2일, 조선 경성역에 도착했다. 바로 그날, 미즈노는 강우규의 폭탄 투척을 경험했다. 사이토 마코토 총독을 겨냥한 이 의거는 수행원과 호위 경찰, 기자들을 죽이거나 다치게 하는 데 그쳤지만, 3.1 운동의 여운이 남아있던 당시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

놀랍게도, 이런 일을 겪었음에도 미즈노는 그날 당일부터 야근모드로 들어가 비상근무를 섰다고 한다. 그렇게 그는 1920년대 일제의 조선 통치를 2년 10개월간 전면에서 지휘했다. 그는 어떤 일을 할 때 꼼꼼히 살폈고 꽤나 열정적이었다. 한 예로 조선에 있으면서 한학자를 초빙해 주3회 조선어 과외를 받았고, 다섯 달 만에 조선어로 연설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갓을 쓰고 두루마기를 입은 채 찍은 사진도 남아있다.

하지만 그를 당시의 조선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했는지는 1920년 4월 20일 동아일보의 다음 기사가 잘 보여준다.
정무총감 수야련태랑(미즈노 렌타로) 씨는 조선에 드러온 후에 조선사람 선생을 청하야 조선말을 공부하얏는데 요사이는 공부가 어지간히 느러서 "진지잡으솟스무니까"를 다 게되얏디나 / 그것은 제법이지만은 "요보"라는 개소리는 행혀나 배호지 마랏스면 엇더할는지 그것도 진정 배우고십흐면 억지로 말나는것은아니지만은 ...

사이토 총독 바로 아래에서 충실히 조선통치 업무에 전념하면서 하라 총리와 담판을 벌여 조선에 대한 국고보조금을 늘렸고 2000만엔 공채 발행도 승인받았다. 사이토 휘하에서 보좌를 하면서 산미증식계획 입안과 한국사 왜곡, 식민 교육 정책과 언론 정책등 식민지 조선에서 부정적인 정책을 입안하면서 문화통치의 교활함과 이면성을 잘 보여주었다. 미즈노는 1922년 다시 내무대신으로 영전해 조선을 떠났고, 다음해 관동 대지진을 겪으며 조선인 학살을 지시했다. 그 내용을 보면 미즈노는
비탄과 패닉에 빠진 인민들이 정부에 대한 분노를 폭발하기 전에 터트릴 다른 곳을 마련해 줘야 할 것이야.

그래서 내무부는 전국의 지방장관과 총독부 등에 전문을 보냈는데 내용을 보면
도쿄 부근의 진재를 이용해 조선인이 각지에서 방화하는 등 불령한 목적을 이루려고 하여 현재 도쿄 시내에는 폭탄을 소지하고 석유를 뿌리는 자가 있다... 조선인의 행동에 대하여서는 엄밀한 단속을 가해주기 바란다.

그래서 관동대학살에 대한 비극이 시작되었다.

여러 모로 한국과는 악연이라고밖에 할 수 없는 인물인 셈이다.

1924년, 기요우라 게이고 내각이 성립 하면 다시 내무대신이 되어 제도 부흥원 총재 도 겸임했다.

1927년, 다나카 기이치 내각에서, 다카하시 고레키요가 대장대신에서 사임한 후, 미츠치 추조가 전임하였고 그 후 미즈노가 문부대신에 붙었다. 미즈노는 반대해 자신은 사임한다고 했다. 이 일이 세상에 알려졌다. 미즈노는 쇼와 천황에게 찬양해, 총리에 대해 사표를 내려 건네는 것 정말로 공포에 참아야 한다 취지를 말씀드렸다. 미즈노는 칙설 강하에 따라 유임 했다.

다나카 내각의 총사직 후, 미즈노는 대신이 되지는 않았지만, 대일본 음악 저작권 협회 회장 , 대일본 흥아 동맹 부총재, 대 일본 산업 보국회 고문 등 많은 직책에 겸임했다. 1945년 12월 2일 GHQ는 미즈노가 대일본 흥아동맹 부총재, 익찬 정치회 고문 이 된 것 등을 이유로 체포 명령을 내렸다. 미즈노는 병환 중이 었기 때문에 수감되지 않았지만 1947년 9월 1일에 감시가 풀렸다. 그리고 2년 후 미즈노 렌타로는 8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여담

1899년 일본 최초로 <저작권법著作權法>을 발의한 인물이 바로 당시 내무성 관료였던 미즈노 렌타로였다.

'저작권'이라는 한자 단어를 처음 쓴 것도 그라는 설이 있는데 확실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1922년 처음 거행된 조선미술전람회(이른바 선전鮮展)도 미즈노 회고에 따르면 정치에 열을 올리는 조선 사람들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볼거리를 만들어주고자 한 그의 작품이었다.

어쨌건 그런 사람이었던 미즈노 렌타로, 그의 글씨를 얼마 전 처음 보게 되었다. 당연하지만 표구도 일본식이고 글씨도 일본풍이다. 아주 잘 썼다는 느낌은 아니지만 필력이 상당하고 획에 망설임이 덜하다. 그의 성격이 그랬던 모양이다. 비백飛白이 많은데 이 무렵 일본 글씨 중에 뻣뻣한 붓을 써서 획에 끌린 기가 있는 것이 적지 않다. 끝에는 향당학인새香堂學人鈢라고 낙관했는데, 그의 행적을 생각해보면 참 역설적인 호 아닌가.

글의 내용은 양웅(揚雄, BC 53~AD 18)이 지은 <법언法言>의 한 대목이다.

#
몸을 닦아 활을 삼고, 생각을 바로잡아 화살을 삼으며, 뜻을 세워 과녁을 삼아 겨냥한 뒤 쏜다면, 쏘는 족족 반드시 명중하리라.
修身以爲弓 矯思以爲矢 立義以爲的 奠而後發 發必中矣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000,#e5e5e5
문부경 (1869~1885)
초대·7대
오키 다카토
2대
기도 다카요시
-
타나카 후지마로
3대
사이고 주도
4대
테라지마 무네노리
5대
고노 도가마
6대
후쿠오카 다카치카
초대·7대
오키 타카토
전전 문부대신 (1885~1947)
초대
모리 아리노리
임시대리
오야마 이와오
2대
에노모토 다케아키
3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4대
오키 타카토
5대
고노 토가마
6대
이노우에 가오루
임시대리
요시카와 아키마사
7·10대·임시대리
사이온지 긴모치
8대
하치스카 모치아키
9대
하마오 아라타
7·10대·임시대리
사이온지 긴모치
11대
토야마 마사카즈
12대
오자키 유키오
13·31대
이누카이 쓰요시
14대
가바야마 스케노리
15대
마츠다 마사히사
16대
키쿠치 다이로쿠
17대
고다마 겐타로
18대
쿠보타 유즈루
19대
가쓰라 다로
7·10대·임시대리
사이온지 긴모치
20대·임시대리
마키노 노부아키
21대
코마츠바라 에이타로
22대
하세바 스미타카
20대·임시대리
마키노 노부아키
23대
시바타 카몬
24대
오쿠다 요시토
25대
오오카 이쿠조
26대
이치키 키토쿠로
27대
타카다 사나에
28·34대
오카다 료헤이
29대
나카하시 토쿠고로
30대
카마타 에이키치
13·31대
이누카이 쓰요시
32대
오카노 케이지로
33대
에기 카즈유키
28·34대
오카다 료헤이
35대
미츠치 추조
36대
미즈노 렌타로
37대
쇼다 카즈에
38대
코바시 이치타
39대
타나카 류조
40대
하토야마 이치로
41대
사이토 마코토
42대
마츠다 겐지
43대
카와사키 타쿠키치
44대
우시오 후사노스케
45대
히라오 하치사부로
46대
하야시 센주로
47대
야스이 에이지
48대
기도 고이치
49대
아라키 사다오
50대
카와라다 카키치
51대
마츠우라 시게지로
52대
하시다 쿠니히코
52대
하시다 쿠니히코
53대
도조 히데키
54대
오카베 나가카게
55대
니노미야 하루시게
56대
코다마 히데오
57대
오타 코조
58대
마츠무라 켄조
59대
마에다 타몬
60대
아베 요시시게
61대
타나카 코타로
전후 문부대신 (1947~2001)
62대
타카하시 세이이치로
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63-64대
모리토 타츠오
임시대리
요시다 시게루
65대
시모조 야스마로
66대
타카세 소타로
67대
아마노 테이유
68-69대
오카노 키요히데
70대
오다치 시게오
71대
안도 마사즈미
72대
마츠무라 켄조
73대
키요세 이치로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74-75대
나다오 히로키치
74-75대
나다오 히로키치
76대
마츠나가 도
77대
나다오 히로키치
78대
하시모토 료고
79대
마츠다 타케치요
80-81대
아라키 마스오
82-83대
나다오 히로키치
84-85대
아이치 기이치
86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87대
아리타 기이치
88-89대
겐노키 도시히로
90대
나다오 히로키치
91-92대
사카타 미치타
93대
타카미 사부로
94대
이나바 오사무
95대
오쿠노 세이스케
96대
미하라 아사오
97대
나가이 미치오
98대
가이후 도시키
99대
스나다 시게타미
100대
나이토 타카사부로
임시대리
오히라 마사요시
101대
다니가키 센이치
102대
다나카 타츠오
103대
오가와 헤이지
104대
세토야마 미츠오
105대
모리 요시로
106대
마츠나가 히카루
107대
가이후 도시키
108대
후지오 마사유키
109대
시오카와 마사주로
110대
나카지마 겐타로
111-112대
니시오카 다케오
111-112대
니시오카 다케오
113대
이시바시 카즈야
114대
호리 고스케
115대
이노우에 유타카
116대
하토야마 구니오
117대
모리야마 마유미
118-119대
아카마쓰 료코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118-119대
아카마쓰 료코
120대
요사노 가오루
121대
시마무라 요시노부
122대
오쿠다 미키오
123대
코스기 타카시
124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125대
아리마 아키토
126·127대
나카소네 히로후미
128대
오시마 다다모리
129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과학기술청장관(1956년~2001년)
초대
쇼리키 마츠타로
임시대리
이시바시 단잔
2·3대
우다 고이치
4대
쇼리키 마츠타로
5대
미키 다케오
임시대리·6대
타카사키 타츠노스케
7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8대
아라키 마스오
9대
이케다 마사노스케
10대
미키 다케오
11대
곤도 츠루요
12·13대
사토 에이사쿠
임시대리
이케다 하야토
14·15대
아이치 기이치
16대
우에하라 쇼키치
17대
아리타 기이치
18·19대
니카이도 스스무
20대
나메지마 나오키
21대
기우치 시로
22대
니시다 신이치
23대
히라이즈미 와타루
21·24대
기우치 시로
25대
나카소네 야스히로
26대
마에다 카즈오
27대
모리야마 킨지
28대
아다치 도쿠로
29대
사사키 요시타케
30대
마에다 마사오
31대
우노 소스케
32대
쿠마가이 타이사부로
33대
가네코 이와조
34대
오사다 유지
35대
나카가와 이치로
36대
야스다 타카아키
37대
이즈루키 미치유키
38대
타케우치 레이치
39대
고노 요헤이
40대
미쓰바야시 야타로
41대
이토 소이치로
42대
미야자키 기이치
43대
나카무라 기시로
44대
사이토 에이사부로
45대
오시마 토모지
46대
산토 아키코
47대
타니가와 칸조
48대
나카지마 마모루
임시대리
미야자와 기이치
49대
와타나베 쇼이치
50대
에다 사쓰키
임시대리
하타 쓰토무
51대
오미 미키오
52대
다나카 마키코
53대
우라노 야스오키
54대
나카가와 히데나오
55대
지카오카 리이치로
56대
다니가키 사다카즈
57대
타케야마 유타카
58대
아리마 아키토
59·60대
나카소네 히로후미
61대
오시마 다다모리
62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문부과학대신 (2001년~)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2대
도야마 아쓰코
3·4대
가와무라 다케오
5·6대
나카야마 나리아키
{{{#!wiki style="margin: -16px -11px" }}}
7대
고사카 겐지
8대
이부키 분메이
9대
도카이 기사부로
10대
스즈키 무네오
11대
시오노야 류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2·13대
가와바타 다쓰오
14대
다카키 요시아키
15대
나카가와 마사하루
16대
히라노 히로후미
{{{#!wiki style="margin: -16px -11px" }}}
17대
다나카 마키코
18·19대
시모무라 하쿠분
20대
하세 히로시
21대
마쓰노 히로카즈
22·23대
하야시 요시마사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4대
시바야마 마사히코
25·26대
하기우다 고이치
27·28대
스에마쓰 신스케
29대
나가오카 게이코
{{{#!wiki style="margin: -16px -11px" }}}
30대
모리야마 마사히토
31·32대
아베 토시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FFF> 내무경 (1873년~1885년)
초대
오쿠보 도시미치
제2대
기도 다카요시
제3대
오쿠보 도시미치
제4대
이토 히로부미
제5대
오쿠보 도시미치
제6대
이토 히로부미
제7대
마쓰카타 마사요시
제8대
야마다 아키요시
제9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rowcolor=#FFFFFF> 내무대신 (1885년~1947년)
초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제임시대리
마쓰카타 마사요시
초대
야마가타 아리토모
제2대
사이고 주도
제3대
시나가와 야지로
제4대
소에지마 다네오미
5대
마쓰카타 마사요시
제6대
고노 도가마
제7대
이노우에 가오루
제8대
노무랴 야스시
제9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제10대
이타가키 다이스케
제11대
가바야마 스케노리
제12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제13대
이타가키 다이스케
제14대
사이고 주도
제15대
스에마쓰 겐초
제16대
우츠미 타다카츠
제17대
고다마 겐타로
제18대
가쓰라 다로
제19대
요시카와 아키마사
제20대
기요우라 게이고
제21대
하라 다카시
제22대
히라타 도스케
제23대
하라 다카시
제24대
오우라 가네타케
제25대
하라 다카시
제26대
오쿠마 시게노부
제27대
오우라 가네타케
제28대
오쿠마 시게노부
제29대
이치키 기토쿠로
제30대
고토 신페이
제31대
미즈노 렌타로
제32대
도코나미 다케지로
제33대
미즈노 렌타로
제34대
고토 신페이
제35대
미즈노 렌타로
제36대
와카쓰키 레이지로
제37대
하마구치 오사치
제38대
스즈키 기사부로
제39대
다나카 기이치
제40대
모치즈키 게이스케
41대
아다치 겐조
제42대
나카하시 토쿠고로
제43대
이누카이 쓰요시
제44대
스즈키 기사부로
제45대
야마모토 타츠오
제46대
고토 후미오
제47대
우시오 시게노스케
제48대
카와라다 카키치
제49대
바바 에이이치
제50대
스에츠구 노부마사
제51대
기도 고이치
제52대
오하라 나오시
제53대
코다마 히데오
제54대
야스이 에이지
제55대
히라누마 기이치로
제56대
타나베 하루미치
제57대
도조 히데키
제58대
우자와 미치오
제59대
안도 기사부로
제60대
오다치 시게오
제61대
아베 겐키
제62대
야마자키 이와오
제63대
호리키리 젠지로
제64대
미츠치 추조
제65대
오무라 세이이치
제66대
우에하라 에츠지로
제임시대리
가타야마 데쓰
제67대
키무라 코자에몬
폐지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bgcolor=#504C4B>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신기사무총독 신기사무국독
#!if 수장="style=\"margin: -4px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대행="style=\"margin: -4px -10px; font: .92589em/.92589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카히토 친왕]]
#!wiki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카히토 친왕]]
#!wiki 
[[시라카와 스케노리]]
#!wiki 
[[시라카와 스케노리]]
#!wiki 
[[나카야마 다다야스]]
#!wiki 
[[고노에 다다후사]]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신기관지사
#!wiki 
[[다카츠카사 스케히로]]
#!wiki 
[[고노에 다다후사]]
#!wiki 
[[나카야마 다다야스]]
신기백
#!wiki 
[[나카야마 다다야스]]
#!wiki 
[[산조 사네토미]]
신기경
#!wiki 
공석
교부경
#!wiki 
[[오기마치산조 사네나루|사가 사네나루]]
#!wiki 
[[오키 다카토]]
#!wiki 
공석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사국장
#!wiki 
[[아다치 마사나]]
#!wiki 
[[사쿠라이 요시타카]]
#!wiki 
[[마루오카 간지]]
#!wiki 
[[구니시게 마사부미]]
#!wiki 
[[아베 히로시(정치인)|아베 히로시]]
#!wiki 
[[야스히로 반이치로]]
#!wiki 
[[구메 긴야]]
#!wiki 
[[시바 준로쿠로]]
#!wiki 
대행
#!wiki 
대행
#!wiki 
대행
#!wiki 
[[야스히로 반이치로]]
#!wiki 
[[오타니 야스시]]
#!wiki 
[[미즈노 렌타로]]
#!wiki 
[[구메 긴야]]
신사국장
#!wiki 
[[리노이에 유지]]
#!wiki 
[[사쿠라이 쓰토무]]
#!wiki 
[[시라니 다케시]]
#!wiki 
[[미즈노 렌타로]]
#!wiki 
[[이노우에 도모이치]]
#!wiki 
[[시바 준로쿠로]]
#!wiki 
[[쓰카모토 세이지]]
#!wiki 
[[야마다 준지로]]
#!wiki 
대행
#!wiki 
[[야마다 준지로]]
#!wiki 
[[오미하라 시게요시]]
#!wiki 
[[사가미 신이치]]
#!wiki 
[[마쓰모토 가쿠]]
#!wiki 
[[아카기 도모하루]]
#!wiki 
[[오미하라 시게요시]]
#!wiki 
[[요시다 시게루(1885)|요시다 시게루]]
#!wiki 
[[이케다 기요시]]
#!wiki 
[[이시다 가오루]]
#!wiki 
[[다치 데쓰지]]
#!wiki 
[[고다마 규이치]]
#!wiki 
[[나카노 요키치로]]
#!wiki 
[[이누마 가즈미]]
신기원 총재
#!wiki 
[[야스이 에이지]]
<bgcolor=#504C4B> 율령제 신기백 · 부흥 신기관 · 신사본청 총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