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23:34:22

미즈 팩맨(게임)


파일:팩맨 시리즈 로고.svg
팩맨 시리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직계 시리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케이드 및 PC
<colcolor=#0f0f0f,#ddd> 팩맨(1980) <colcolor=#0f0f0f,#ddd> 슈퍼 팩맨(1982) <colcolor=#0f0f0f,#ddd> 팩 & 팔(1983)
팩 랜드(1994) 팩 매니아(1987) 팩맨: 어드벤처 인 타임(2000)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2007)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 DX(2010) 팩맨 배틀로얄(2011)
팩맨 챔피언쉽 에디션 2(2016) 팩맨 배틀로얄 챔피언쉽(2022)
콘솔
팩 어택(1993) 헬로! 팩맨(1994) 팩 인 타임(1995)
팩맨 월드 20th Anniversary(1999) 미즈 팩맨 메이즈 매드니스(2000) 팩맨 월드 2(2002)
팩맨 피버(2002) 팩맨 vs.(2003) 팩맨 월드 3(2005)
팩맨 핀볼 어드밴스(2005) 팩픽스(2005/국내 출시 2007) 팩큰볼(2005/국내 출시 2007)
팩맨 파티(2010)
팩맨 파티 3D
Pac-Man and the Ghostly Adventures(2013) Pac-Man and the Ghostly Adventures 2(2014)
PAC-MAN 99(2021) 팩맨 월드 Re-PAC(2022) PAC-MAN Mega Tunnel Battle: CHOMP CHAMPS(2024)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미드웨이 제작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f0f0f,#ddd> 미즈 팩맨(1981) <colcolor=#0f0f0f,#ddd> 팩맨 플러스(1982) <colcolor=#0f0f0f,#ddd> 베이비 팩맨(1982)
주니어 팩맨(1983) 팩맨 교수(1983)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기타 작품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f0f0f,#ddd> 팩맨(2013) <colcolor=#0f0f0f,#ddd> 팩맨 256(2015) <colcolor=#0f0f0f,#ddd> 팩큰점프
팩맨 포토 슈퍼 팩맨 디럭스 팩맨 SP
팩맨 핀볼 팩맨 핀볼 2 팩맨 파티 로얄
팩맨 팝! 팩 챱! 팩 체인
팩맨 파티 메치 세상에서 가장 큰 팩맨 세계 최대 규모의 팩맨
팩맨 커뮤니티 팩맨 컬렉션 팩맨 뮤지엄
팩맨 뮤지엄+ 쉐도우 라비린스(2025)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개발 취소 및 서비스 종료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f0f0f,#ddd> 팩맨 고스트 존 <colcolor=#0f0f0f,#ddd> 미즈 팩맨 머지 매드니스 2 <colcolor=#0f0f0f,#ddd> 슈퍼 팩맨 핀볼
팩맨 리믹스 팩맨 월드 팩맨 대시!
팩맨 GEO 팩맨 프렌즈 팩맨 몬스터즈
팩맨 카트 랠리 팩맨 바운스 팩맨 S
팩맨 메가 터널 배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애니메이션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f0f0f,#ddd> 팩맨(1982~1983) <colcolor=#0f0f0f,#ddd> 팩맨과 유령의 모험(2013~2015) <colcolor=#0f0f0f,#ddd> 시크릿 레벨 에피소드 6 - 팩맨: 순환(쉐도우 라비린스 프리퀄)
}}}}}}}}} ||
등장인물 · 크로스오버 ·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
* 개별 문서가 없는 작품들은 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특징

1. 개요

파일:미즈팩맨.png
팩맨의 후속작. 남코 본사에서 개발된 것이 아닌 미국에서 개발되어 당시 해외에서의 판매 권리를 가지고 있던 미드웨이에서 발매한 작품이지만, 엄연히 남코 공인 하에 개발된 공식 후속작이며 게임의 저작권 역시 남코가 가지고 있다.

본래 이 작품은 General Computer Corporation(이하 GCC)라는 개발 팀이 만든 팩맨의 비공식 스피드업 키트 'Crazy Otto'로 시작했다. 게임 패턴에 한계가 있던 기존 팩맨의 단점을 개선해주는 작품이었지만 원 제작자의 허락 없이 멋대로 개조해서 만든 비공식 키트였기 때문에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었는데, 실제로 이들은 이전에 만들었던 '미사일 커맨드'의 비공식 스피드업 키트 때문에 아타리와 법적 분쟁에 휘말린 경험을 한 적이 있었다. 그래서 GCC는 팩맨의 스피드업 키트를 가지고 당시 팩맨의 미국에서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던 미드웨이와 먼저 접촉하는 길을 택했다.[1]

'Crazy Otto'를 본 미드웨이는 GCC와 정식으로 계약해 'Super Pac-Man'이라는 이름의 팩맨의 정식 속편으로서 개발을 추진하게 된다. 이렇게 미국에서 독자적으로 팩맨의 속편을 개발하기로 했다는 소식은 원작을 개발한 남코에게도 전해졌고 남코는 이를 승인했으며, 남코 측에서 주인공 캐릭터를 여성 팩맨으로 변경하는 것을 제안한 결과 만들어진 결과물이 미즈 팩맨이다. 이러한 개발 과정을 거친 탓에 미즈 팩맨의 롬 내부에는 개발 도중의 제목들이었던 'Crazy Otto'와 'Super Pac-Man'과 관련된 텍스트들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개발 당시의 가제 슈퍼 팩맨은 이후 남코 측에서 또 다른 속편에 실제로 사용하게 되었다.

팩맨의 공식 속편이며 저작권도 원작을 개발한 남코의 후신인 반다이 남코 홀딩스 측에서 소유하고 있기는 하지만, 게임의 실질적인 개발을 남코에서 하지 않은 탓에 2000년대 이후 미즈 팩맨 문서에 설명된 것과 같은 저작권 분쟁에 휘말리게 되었다. 이 저작권 분쟁의 영향으로 본 작품이 복각되거나 미즈 팩맨 캐릭터가 등장하는 사례가 눈에 띄게 줄어들게 된 비운의 작품이다.

2. 특징

전체적으로 팩맨의 패턴을 다양화시켜 유저들이 쉽게 패턴을 파악해 마스터하지 못하게 하는 방향으로 개조하는 파워업 키트로서 시작한 만큼, 아래와 같은 차이점이 있다.
  • 4가지 다양한 미로가 사용된다.
  • 주황색 유령의 이름은 "클라이드"(Clyde)에서 "수"(Sue)로 바뀌었다.
  • 유령들의 "분산" 모드는 한 번만 사용되는데, 잉키와 수는 패턴을 그대로 유지하지만[2] 블링키와 핑키는 랜덤한 곳을 찾는다.
  • 보너스 과일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터널에서 튀어나와 미로를 돌아다닌다. 시간이 지나면 다시 터널로 사라진다.
  • 4레벨부터 터널은 유령의 속도를 늦추지 않는다.
  • 보너스 과일의 패턴이 달라졌다. 레벨 순서대로 체리, 딸기, 오렌지, 프레첼, 사과, 배, 바나나. 이후에는 랜덤.
  • 컷신들이 달라졌다. 첫번째 컷신은 팩맨과 미즈 팩맨이 유령을 도망다니다가 만나는 장면, 두번째는 팩맨과 미즈 팩맨이 서로 쫓아가는 장면, 세번째는 새가 날아와 아들을 놓아줘 팩맨이 입양시키는 장면이다.
  • 음악과 효과음도 새로 만들었다. 단 몇몇 효과음[3]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1] GCC는 당시의 비디오 게임의 저작권 개념이 명확하지 않았던 덕분에 아타리에게 패배하지는 않았고, 오히려 아타리와 정식으로 계약을 하게 되는 결말을 맞이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Crazy Otto는 처음부터 자신들이 법적으로 불리할 만한 요소들을 최소화하고 자신들이 먼저 미드웨이를 찔러보게 된 것이다.[2] Retro Game Mechanics Explained의 분석에 따라 잉키와 수의 분산 모드 움직임도 개발되려고 했지만 변경되지 못했다고 발견했다. 개발자 스티브 골슨(Steve Golson)은 실수라고 해명했다.[3] 코인 삽입, 보너스 과일 먹기, 보너스 목숨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