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990033> | 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여자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 | | | | |
가이아나 | 과들루프 | 과테말라 | 그레나다 | |
| | | | |
니카라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마르티니크 | |
| | | | |
멕시코 | 몬트세랫 | 미국 |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 |
| | | |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버뮤다 | 벨리즈 | |
| | | | |
보네르 | 생마르탱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
| | | |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신트마르턴 | 아루바 | |
| | | |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앵귈라 | 엘살바도르 | |
| | | |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온두라스 | 자메이카 | 캐나다 | |
| | | | |
케이맨 제도 | 코스타리카 | 쿠바 | 퀴라소 | |
| | | |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푸에르토리코 | |
| ||||
프랑스령 기아나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3768> | FIFA 여자 월드컵™ 우승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국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003768,#000> 미국 | 1991년, 1999년 2015년, 2019년 | ★★★★ 4회 | |
2 | | 노르웨이 | 1995년 | ★ 1회 | |
3 | | 독일 | 2003년, 2007년 | ★★ 2회 | |
4 | | 일본 | 2011년 | ★ 1회 | |
5 | | 스페인 | 2023년 | ★ 1회 |
|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United States women's national soccer team | |
정식 명칭 | United States women's national soccer team[1] |
FIFA 코드 | USA |
국가 협회 | 미국 축구 연맹 (USSF) |
대륙 연맹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CONCACAF) |
감독 | 엠마 헤이스 (Emma Hayes) |
주장 | 린지 히프스 (Lindsey Heaps) |
최다 출전 | 크리스틴 릴리 (Kristine Lilly) - 354경기 |
최다 득점 | 애비 웜백 (Abby Wambach) - 184골 |
첫 국제 경기 출전 | VS 이탈리아 (0:1 패), 이탈리아 예솔로 (1985년 8월 18일) |
최다 점수 차 승리 | VS 도미니카 공화국 (14:0 승), 캐나다 밴쿠버 (2012년 1월 20일) |
최다 점수 차 패배 | VS 브라질 (0:4 패), 중국 항저우 (2007년 9월 27일) |
월드컵 | 출전 9회 개근, |
올림픽 | 출전 7회 개근, |
W 챔피언십 | 출전 9회, |
FIFA 랭킹 | 2위 (2025년 8월 7일 기준 / #) |
FIFA 여자 월드컵 챔피언 | ||
첫 대회 우승 ◀ | ★(1991) | ▶ 노르웨이(1995) |
노르웨이(1995) ◀ | ★(1999) | ▶ 독일(2003) |
일본(2011) ◀ | ★(2015) | ▶ 미국(2019) |
미국(2015) ◀ | ★(2019) | ▶ 스페인(2023) |
FIFA 여자 월드컵 우승 횟수 | |
★★★★ | 미국 |
★★ | 독일 |
★ | 노르웨이 | 일본 | 스페인 |
유니폼 색상 | 홈[5] | 원정[6] |
상의 | 13 | |
하의 | 13 | 15 |
양말 |
1. 개요
1999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선정 올해의 스포츠우먼들 | ||||
| ||||
마크 맥과이어 새미 소사 | →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타이거 우즈 |
|
미국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그 기량과 위상은 세계적인 강호 수준으로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우승을 4번, 올림픽 축구 우승을 5번이나 차지했다. 그야말로 현재 여자 축구 대표팀의 최강국이다.
대한민국과의 전적은 15전 11승 4무로 우세다. 올림픽 축구만 했다 하면 미국 여자 대표팀이 가장 강력한 금메달 후보로 부상하고 있다. 대한민국과의 최근 맞대결은 2024년 6월 1일(현지시간) 미국 콜로라도주 커머스 시티에 있는 딕스 스포팅 굿스 파크에서 열린 평가전이었는데 이 경기는 엠마 헤이스의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데뷔전이었다. 경기에선 말로리 스완슨과 티어나 데이비슨의 멀티골을 앞세워서 4:0로 대한민국을 완파했다.
2.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c52033><tablebgcolor=#c52033>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85년 ~ 현재 | ||||
1대 2대 3대 4대 5대 | |||||
6대 7대 대행 8대 9대 | |||||
10대 대행 | |||||
현직 | |||||
11대 | |||||
3. 역대 전적
3.1. FIFA 여자 월드컵
-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1위
- 최고 성적: 4회 우승(1991년, 1999년, 2015년, 2019년)
- ★★★★②③③③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우승 | 1위 | 12 | 6 | 6 | 0 | 0 | 25 | 5 |
| <rowcolor=#fff> 4강 | 3위 | 13 | 6 | 4 | 1 | 1 | 15 | 5 |
| 우승 | 1위 | 16 | 6 | 5 | 1 | 0 | 18 | 3 |
| <rowcolor=#fff> 4강 | 3위 | 15 | 6 | 5 | 0 | 1 | 15 | 5 |
| <rowcolor=#fff> 4강 | 3위 | 13 | 6 | 4 | 1 | 1 | 12 | 7 |
| 준우승 | 2위 | 11 | 6 | 3 | 2 | 1 | 13 | 7 |
| 우승 | 1위 | 19 | 7 | 6 | 1 | 0 | 14 | 3 |
| 우승[7] | 1위 | 21 | 7 | 7 | 0 | 0 | 26 | 3 |
| 16강 | 9위 | 6 | 4 | 1 | 3 | 0 | 4 | 1 |
합계 | 본선진출 9회 / 우승 4회 | 126 | 50 | 40 | 6 | 4 | 142 | 39 |
3.2. 올림픽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금메달 | 1위 | 13 | 5 | 4 | 1 | 0 | 9 | 3 |
| 은메달 | 2위 | 10 | 5 | 3 | 1 | 1 | 9 | 5 |
| 금메달 | 1위 | 16 | 6 | 5 | 1 | 0 | 12 | 4 |
| 금메달 | 1위 | 15 | 6 | 5 | 0 | 1 | 12 | 5 |
| 금메달 | 1위 | 18 | 6 | 6 | 0 | 0 | 16 | 6 |
| 8강 | 5위 | 8 | 4 | 2 | 2 | 0 | 6 | 3 |
| <rowcolor=#fff> 동메달 | 3위 | 8 | 6 | 2 | 2 | 2 | 12 | 11 |
| 금메달 | 1위 | 12 | 6 | 6 | 0 | 0 | 12 | 2 |
합계 | 본선진출 8회 / 금메달 5회 | 88 | 39 | 28 | 7 | 4 | 75 | 36 |
3.3. CONCACAF W 챔피언십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우승 | 1위 | 15 | 5 | 5 | 0 | 0 | 49 | 0 |
| 우승 | 1위 | 9 | 3 | 3 | 0 | 0 | 13 | 0 |
| 우승 | 1위 | 12 | 4 | 4 | 0 | 0 | 36 | 1 |
| 불참 | ||||||||
| 우승 | 1위 | 13 | 5 | 4 | 1 | 0 | 24 | 1 |
| 우승 | 1위 | 15 | 5 | 5 | 0 | 0 | 24 | 1 |
| 우승 | 1위 | 6 | 2 | 2 | 0 | 0 | 4 | 1 |
| <rowcolor=#fff> 4강 | 3위 | 13 | 5 | 4 | 0 | 1 | 22 | 2 |
| 우승 | 1위 | 15 | 5 | 5 | 0 | 0 | 21 | 0 |
| 우승 | 1위 | 15 | 5 | 5 | 0 | 0 | 26 | 0 |
| 우승 | 1위 | 15 | 5 | 5 | 0 | 0 | 13 | 0 |
합계 | 본선진출 10회 / 우승 9회 | 44 | 42 | 1 | 1 | 232 | 6 |
4. 통계
4.1. 최다 득점자
순위 | 선수명 | 득점수 | 출장수 | 평균 득점 | 경력 |
1 | 애비 웜백 Abby Wambach | 184 | 256 | 0.718 | 2001~2015 |
2 | 미아 햄 Mia Hamm | 158 | 276 | 0.572 | 1987~2004 |
5. 관련 문서
[1] 영어: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위민스 내셔널 사커 팀[2] 1991, 1999, 2015, 2019[3] 1996, 2004, 2008, 2012, 2024[4] 1991, 1993, 1994, 2000, 2002, 2006, 2014[5] 빨강 줄무늬가 없는 흰색 유니폼으로 나오는 경우도 많다. 미국과 상대하는 팀은 자기들의 홈 유니폼을 입고 나오는 경우가 많다(흰색이나 노란색은 제외).[6] 보통 빨강, 검정, 파랑 계열 중에 결정된다.[7] 독일에 이어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두 번째로 연패(連覇) 달성.
분류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미국의 여자 축구
- 미국의 여자 스포츠 국가대표팀
- 북아메리카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1991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1995 FIFA 여자 월드컵 스웨덴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1999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03 FIFA 여자 월드컵 미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07 FIFA 여자 월드컵 중국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1 FIFA 여자 월드컵 독일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
-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본선 진출 국가대표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