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11:39:05

므란티

1. 개요2. 2004년 제12호 태풍3. 2010년 제10호 태풍
3.1. 2010년 제10호 태풍 므란티 진로 경과3.2. 기록
4. 2016년 제14호 태풍
4.1. 경과4.2. 진로 경과

1. 개요

Meranti
'므란티'는 말레이시아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사라수를 뜻한다. 2004년에는 '머란티'로 쓰였으나, 이후 '므란티'로 정정되었다. 2016년 발생한 태풍이 중국과 대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혀 제명되었다. 이름은 목재로 사용되는 나무의 이름인 '냐토'로 대체되었다.
역대 "므란티" 태풍들의 최전성기 세력
연도/번호 중심기압(hPa) 1분풍속(㎧) 10분풍속(㎧) 최대직경(㎞)
2004년 제12호 960 46 39 740
2010년 제10호 985 33 28 300
2016년 제14호 890 87 62 850

2. 2004년 제12호 태풍

2004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수달 니다 콘손 찬투
디앤무* 민들레* 팅팅 곤파스
말로우 머란티 라나님 메기*
차바* 에어리 송다* 사리카 하이마
메아리* 망온 도카게 녹텐 무이파
므르복 난마돌 탈라스 노루
← 2003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05년 태풍 →}}}}}}}}}
2004년 태풍
제11호 말로우제12호 머란티 → 제13호 라나님
2004년 제12호 태풍 머란티
위성사진 파일:Meranti_2004-08-06.jpg
진로도 파일:Meranti_2004_track.png
활동 기간 2004년 8월 4일 21시 ~ 2004년 8월 9일 15시
영향 지역 -
태풍 등급 2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태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740km)
최저 기압 960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46m/s
10분 평균 39m/s

3. 2010년 제10호 태풍

2010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꼰선 찬투 뎬무* 민들레
곤파스* 남테운 말로* 므란티*
파나피 메기 차바
← 2009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1년 태풍 →
}}}}}}}}} ||
2010년 태풍
제9호 말로제10호 므란티 → 제11호 파나피
2010년 제10호 태풍 므란티
위성사진 파일:Meranti_2010-09-09.jpg
진로도 파일:Meranti_2010_track.png
활동 기간 2010년 9월 9일 3시 ~ 2010년 9월 10일 21시
영향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사키시마 제도, 본토[온][4]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전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광둥성, 화둥 지구[5]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주도[온], 본토[온][8]
태풍 등급 1등급[JTWC]
10분 등급 강한 열대폭풍[JMA]
태풍 크기 소형(직경 300km)
최저 기압 985hPa
최대 풍속 1분 평균 33m/s
10분 평균 28m/s
피해 사망자 3명
피해총액 1억 1,800만 달러[11]

므란티로 인해 2010년 9월 9일부터 12일까지 한반도에서 집중호우가 발생하였다.

3.1. 2010년 제10호 태풍 므란티 진로 경과

발표 시각 1분풍속 10분풍속 SSHS 등급 JMA 등급
9월 9일 9시 - 35kn 열대요란
9월 9일 15시 45kn 40kn 열대폭풍
9월 9일 21시 65kn 40kn 1등급
9월 10일 3시 65kn 45kn
9월 10일 9시 50kn 40kn 열대폭풍
9월 10일 15시 - 35kn 소멸
9월 10일 21시 소멸 및 감시 종료

3.2. 기록

순간최대풍속(m/s)
경상 의령 25.0 함양 12.1

4. 2016년 제14호 태풍

제명된 태풍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7
파카H
2001
와메이U
2002
차타안
2002
루사K
2002
봉선화N
2003
야냔U
2003
임부도
2003
매미KN
2004
수달S
2004
팅팅U
2004
라나님
2005
맛사K
2005
나비KSU
2005
룽왕
2006
짠쯔K
2006
빌리스
'''2006
[[사오마이#s-3|{{{#!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06
이오케H
2006
상산
2006
두리안
2009
모라꼿K
2009
켓사나
2009
파마
2010
파나피
2011
와시
2012
비센티U
2012
보파
'''2013
[[소나무(태풍)|{{{#!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13
우토르
2013
피토
2013
하이옌
2014
람마순
'''2015
[[사우델로르#s-4|{{{#!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15
무지개N
2015
곳푸
2015
멜로르
2016
므란티K
2016
사리카
2016
하이마
2016
녹텐
2017
하토
2017
카이탁
2017
덴빈
2018
룸비아K
2018
망쿳
2018
위투
2019
레끼마K
2019
파사이
'''2019
[[하기비스(2019년 태풍)|{{{#!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19
간무리
2019
판폰
2020
봉퐁
2020
린파
2020
몰라베
2020
고니S
2020
밤꼬
2021
꼰선
2021
곤파스
2021
라이
'''2022
[[말라카스(태풍)|{{{#!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22
메기S
2022
망온
2022
힌남노K
2022
노루S
2022
날개N
2023
독수리S
2023
도라H
2023
사올라
'''2023
[[하이쿠이#s-4|{{{#!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24
[[에위니아#s-6|{{{#!wiki style="letter-spacing: -1px"]]'''
2024
야기
2024
제비SU
2024
끄라톤
2024
짜미
2024
콩레이K
2024
도라지N
2024
마니
2024
우사기
K: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
H: 허리케인이 날짜변경선을 넘어오면서 태풍으로 편입된 것으로 허리케인 때의 이름이 붙어 있으나 제명이 된 태풍
S: 대한민국에서 제출한 이름
N: 북한에서 제출한 이름
U: 피해가 아닌 다른 이유로 제명된 태풍
}}}}}}}}}
태풍 명칭

2016년 태풍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네파탁 루핏 미리내 니다
꼰선 찬투 뎬무 민들레
곤파스 남테운* 말로 므란티* 라이
메기 차바* 에어리 송다
사리카 하이마 메아리 망온 도카게
녹텐
← 2015년 태풍 밑줄이 그어진 이름은 제명된 태풍이다.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은 이름 뒤에 * 표기. 2017년 태풍 →
}}}}}}}}} ||
2016년 태풍
제13호 말로제14호 므란티 → 제15호 라이
2016년 제14호 태풍 므란티
위성사진 파일:Meranti_2016-09-13.jpg
진로도 파일:Meranti_2016_track.png
활동 기간 2016년 9월 10일 15시 ~ 2016년 9월 15일 21시
영향 지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북마리아나 제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루손섬, 바타네스 제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사키시마 제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만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전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광둥성, 화둥 지구[1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제주도(온대), 전라도(온대)
태풍 등급 5등급[JTWC]
10분 등급 맹렬한 태풍[JMA]
태풍 크기 중형(직경 850㎞)
최저 기압 890hPa
순간최대풍속 110㎧[추정]
최대 풍속 1분 평균 87㎧[16]
10분 평균 62㎧
피해사망자 47명
피해총액 47억 9,000만 달러[17]

4.1. 경과

파일:external/2.bp.blogspot.com/Honeycam%2B2016-09-13%2B19-00-58.gif
최전성기 당시의 폭풍 스펙트럼. 연보라색(1분풍속 54m/s 이상)으로 표시되는 부분에서[18] 보듯 이 태풍의 위력을 짐작할 수 있다.

21세기 들어 중심기압이 800대로 떨어진 3번째 태풍이다.

UTC 기준 2016년 9월 13일 18시 15분(한국 시간 2016년 9월 14일 오전 3시 15분)에 바타네스 섬에서는 비공식적으로 879.73hPa이 실측되었다.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에서 일본 기상청 기준 남중국해 맹렬 등급을 달성했었으나 사후해석에서 하향되어서 최종적으로 달성하지는 못했다.

1분 풍속, 10분 풍속 둘다 최고등급이며 중심기압이 890 hPa로 매우 강력하였으나, 같은 해 남태평양 사이클론 윈스턴이 이미 884 hPa을 기록하면서[19] 최강의 열대성 저기압 타이틀을 얻지 못했다.

4.2. 진로 경과

발표 시기 1분 풍속 SSHS 등급
9월 9일 3시 20kn 열대요란
9월 9일 9시 25kn 열대저기압
9월 9일 15시 25kn
9월 9일 21시 25kn
9월 10일 3시 30kn
9월 10일 9시 35kn 열대폭풍
9월 10일 15시 40kn
9월 10일 21시 45kn
9월 11일 3시 50kn
9월 11일 9시 60kn
9월 11일 15시 75kn 1등급
9월 11일 21시 85kn 2등급
9월 12일 3시 100kn 3등급
9월 12일 9시 125kn 4등급
9월 12일 15시 135kn
9월 12일 21시 155kn 5등급
9월 13일 3시 155kn
9월 13일 9시 160kn
9월 13일 15시 165kn
9월 13일 21시 170kn
9월 14일 3시 165kn
9월 14일 9시 155kn
9월 14일 15시 125kn 4등급
9월 14일 21시 110kn 3등급
9월 15일 3시 85kn 2등급
9월 15일 9시 70kn 1등급
9월 15일 15시 40kn 열대폭풍
9월 15일 21시 20kn 열대저기압


[JTWC] [JMA] [온] 온대저기압으로 영향을 받았다.[4] 주부, 도호쿠[5] 푸젠성, 저장성, 장시성, 안후이성, 상하이시[온], 장쑤성[온][온] 온대저기압으로 영향을 받았다.[온] 온대저기압으로 영향을 받았다.[8]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강원도[JTWC] [JMA] [11] 2010 USD[12] 푸젠성, 장시성, 안후이성(온대), 저장성(온대), 장쑤성(온대), 상하이시(온대)[JTWC] [JMA] [추정] UTC 관측기준 바타네스 섬의 관측된 중심기압의 토대로 기록됨.[16] '하이옌'과 동급이다.[17] 2016 USD[18] 위성관측 기준이기에 실제 세력보다 약하게 표시되었다.[19] 이 저기압도 최성기 상태로 피지를 강타하면서 제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