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00:18:15

뮌헨 서·미테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파일:독일 연방의회 로고.svg
선거구 제219구
Wahlkreis 219: München-West/Mitte
}}}
파일:Bundestagswahlkreis_219-2025.svg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246,546명 (2025)
상위 주 바이에른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뮌헨 중서부[1.1]
연방의원

슈테판 필징어


1. 개요

독일 바이에른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2021년 제20대까지는 선거구 번호 220번이었으나, 2025년 제21대부터 219번으로 변경되었다. 1949년에 뮌헨 서(München-West) 지역구로 출발했다가 2002년 제15대부터 이전에 뮌헨 미테(München-Mitte) 선거구에 속했던 중심가 지역 일부를 떼어와서 이름을 뮌헨 서·미테(München-West/Mitte)로 바꾸었다.

1949년부터 현재까지 지역구에서 4회를 제외하고[2] 기사련 후보가 지속적으로 당선되었다. 2020년대에 들어서는 녹색당이 급부상하여 기사련, 사민당과 함께 3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고, 녹색당은 2021년 제20대에서 비례대표 득표율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좌파당, AfD는 평균 정도이다.

특히 시내에 가까운 루트비히스포어슈타트-이자르포어슈타트(Ludwigsvorstadt-Isarvorstadt), 슈반탈러회에(Schwanthalerhöhe), 노이하우젠-뉨펜부르크(Neuhausen-Nymphenburg)에서 녹색당이 비례대표 1위를 차지했다. 반면 그밖의 외곽 지역으로 갈수록 기사련이 압도적으로 승리한다.

2. 역대 의원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바이에른 주장.svg 바이에른 제21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211구 212구 213구 214구 215구
슈테판 마이어 안드레아스 렌츠 크리스티안 모저 카트린 슈타플러 라인하르트 브란들
216구 217구 218구 219구 220구
한스 타이스 볼프강 슈테핑어 - 슈테판 필징어 플로리안 한
221구 222구 223구 224구 225구
다니엘라 루트비히 알렉산더 라트반 미하엘 키슬링 지크프리트 발히 알렉산더 도브린트
226구 227구 228구 229구 230구
토마스 에른들 플로리안 오스너 한스 콜러 귄터 바움가르트너 알로이스 라이너
231구 232구 233구 234구 235구
주자네 히얼 페터 아우머 마르티나 엥엘하르트-코프 알버트 루퍼레히트 토마스 질버호른
236구 237구 238구 239구 240구
질케 라우너트 요나스 가이슬러 하이코 하인 에미 초일너 아르투어 아우에른하머
241구 242구 243구 244구 245구
콘라트 쾨르너 토비아스 빙클러 - 미하엘 프리저 랄프 에델호이서
246구 247구 248구 249구 250구
안드레아 린트홀츠 도로테 배어 알렉산더 호프만 안야 바이스게르버 휠야 뒤버
251구 252구 253구 254구 255구
- 한스요어크 두르츠 울리히 랑에 알렉산더 엥엘하르트 플로리안 도른
256구 257구
메히트힐데 비트만 슈테판 슈트라케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슈테판 프로츠카 페터 뵈링어 라이너 로스푸스 게리트 후이 볼프강 빌레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만프레드 쉴러 토비아스 마티아스 페터카 게롤트 오텐 페터 펠저 카리나 쉬슬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토비아스 타이히 안드레아스 마이어 루카스 렘 라이몬트 샤이리히 베른트 슈만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비례 20
잉오 한 크리스토프 비르간 바스티안 트로이하이트 라인하르트 믹슬 라이너 그로스
비례 21 비례 22
라이너 크라프트 에르하르트 브루커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야밀라 섀퍼 안톤 호프라이터 클라우디아 로트 자샤 뮐러 리자 바둠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카를 배어 티나 빙클만 니클라스 바게너 마를레네 쇤베르거 레온 에커트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레베카 렌하르트 요하네스 바그너 빅토리아 브로사르트 슈테판 슈미트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아테스 귀르피나르 니콜레 골케 자라 폴라트 루크 호스 에블린 쇠츠
비례 6 비례 7
아론 발렌트 아그네스 콘라트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카르스텐 트래거 배어벨 코플러 요하네스 섀츨 아네테 크라메 제바스티안 롤로프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자비네 디트마 크리스토프 슈미트 카롤린 바그너 베른트 뤼첼 가브리엘라 하인리히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미하엘 슈로디 카르멘 베게 안드레아스 슈바르츠 하이케 호이바흐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
<rowcolor=#000> 뮌헨 서·미테
뮌헨 중서부[1.1]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로고.svg 슈테판 필징어 72,171 34.7% 1위 60,481 28.8% 1위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디터 야네첵 60,196 28.9% 2위 52,687 25.1% 2위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자이야 크노르-쾨닝 32,990 15.9% 3위 32,280 15.3% 3위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니콜레 골케 12,671 6.1% 4위 18,658 8.9% 5위


비례 당선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루카스 쾰러 10,324 5.0% 5위 12,529 6.0% 6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리하르트 판처 6,361 3.1% 6위 2,459 1.2% 9위


알렉산드라 랑 4,395 2.1% 7위 2,529 1.2% 8위
'''
Volt
'''
파비안 김러 3,687 1.8% 8위 1,233 0.6% 10위
'''
동물보호당
'''
필립 드라빈스키 2,248 1.1% 9위 859 0.4% 11위


제바스티안 쾨네 1,671 0.8% 10위 165 0.1% 15위
'''
독일 연합
'''
벤야민 트레페 654 0.3% 11위 - - -


레오니 리프 648 0.3% 12위 - - -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 - - - 18,815 8.9% 4위


- - - - 6,101 2.9% 7위


- - - - 744 0.4% 12위
'''
ÖDP
'''
- - - - 406 0.2% 13위
'''
dieBasis
'''
- - - - 171 0.1% 14위
'''
PdH
'''
- - - - 161 0.1% 16위
'''
BP
'''
- - - - 45 0.0% 17위
'''
MLPD
'''
유효표 208,016 210,323
무효표 2,754 447
총 투표수 210,770 210,770
투표율 85.5% 85.5%
결과


유지



획득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파일:바이에른 주장.svg 바이에른 제20대 연방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212구 213구 214구 215구 216구
슈테판 마이어 안드레아스 렌츠 에리히 이를슈토퍼 카트린 슈타플러 라인하르트 브란들
217구 218구 219구 220구 221구
베른하르트 로스 볼프강 슈테핑어 야밀라 섀퍼 슈테판 필징어 플로리안 한
222구 223구 224구 225구 226구
다니엘라 루트비히 알렉산더 라트반 미하엘 키슬링 페터 람자우어 알렉산더 도브린트
227구 228구 229구 230구 231구
토마스 에른들 플로리안 오스너 안드레아스 쇼이어 막스 슈트라우빙어 알로이스 라이너
232구 233구 234구 235구 236구
주자네 히얼 페터 아우머 마르티나 엥엘하르트-코프 알버트 루퍼레히트 토마스 질버호른
237구 238구 239구 240구 241구
질케 라우너트 요나스 가이슬러 한스-페터 프리드리히 에미 초일너 아르투어 아우에른하머
242구 243구 244구 245구 246구
슈테판 뮐러 토비아스 빙클러 제바스티안 브렘 미하엘 프리저 랄프 에델호이서
247구 248구 249구 250구 251구
안드레아 린트홀츠 도로테 배어 알렉산더 호프만 안야 바이스게르버 파울 레리더
252구 253구 254구 255구 256구
폴커 울리히 한스요어크 두르츠 울리히 랑에 알렉산더 엥엘하르트 메히트힐데 비트만
257구
슈테판 슈트라케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페터 뵈링어 코리나 미아츠가[1] 슈테판 프로츠카 페트르 뷔슈트론 마르틴 지혀트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요하네스 후버 볼프강 빌레 라이너 크라프트 게롤트 오텐 토비아스 마티아스 페터카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페터 펠저 게리트 후이 라이너 로스푸스
비례 14 비례 15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다니엘 푀스트 카티야 헤셀 카스텐 클라인 루카스 쾰러 슈테판 토매
비례 19 비례 20 비례 21 비례 22 비례 23
니콜레 바우어 울리히 레히테 잔드라 부벤도르퍼-리히트 앤드류 울만 막시밀리안 풍케-카이저
비례 24 비례 25 비례 26 비례 27
크리스티네 뤼트케 토마스 하커 무하나드 알-할락 닐스 그륀더
비례 28 비례 29 비례 30 비례 31 비례 32
클라우디아 로트 안톤 호프라이터 에킨 델리괴즈 디터 야네첵 마누엘라 로트만
비례 33 비례 34 비례 35 비례 36 비례 37
자샤 뮐러 에르하르트 그룬들 리자 바둠 슈테판 슈미트 자스키아 바이스하웁트
비례 38 비례 39 비례 40 비례 41 비례 42
카를 배어 테사 간저러 니클라스 바게너 마를레네 쇤베르거 요하네스 바그너
비례 43 비례 44 비례 45
티나 빙클만 레온 에커트 베아테 발터-로젠하이머
비례 46 비례 47 비례 48
니콜레 골케 주자네 페어쉴 아테스 귀르피나
비례 49
클라우스 에른스트
비례 50 비례 51 비례 52 비례 53 비례 54
울리 그뢰취 배어벨 코플러 카르스텐 트래거 아네테 크라메 제바스티안 롤로프
비례 55 비례 56 비례 57 비례 58 비례 59
리타 하글-켈 베른트 뤼첼 가브리엘라 하인리히 크리스토프 슈미트 클라우디나 타우젠트
비례 60 비례 61 비례 62 비례 63 비례 64
안드레아스 슈바르츠 안드레아스 슈바르츠 마리아네 쉬더 미하엘 슈로디 자비네 디트마어
비례 65 비례 66 비례 67 비례 68 비례 69
안드레아스 멜트레터 울리케 바어 요하네스 섀츨 마르티나 슈탐-피비히 요어크 뉘른베르거
비례 70 비례 71 비례 72 비례 73
카르멘 베게 마르쿠스 휨퍼 카롤린 바그너 얀 플롭너 }}}
}}}}}}
<rowcolor=#000> 뮌헨 서·미테
뮌헨 중서부[1.1]
후보 지역구 비례대표
정당 득표수 순위 득표율 득표수 득표율 순위
파일: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로고.svg 슈테판 필징어 53,311 27.0% 1위 45,540 23.0% 2위


파일:녹색당(독일) 로고(글자 하얀색).svg 디터 야네첵 53,174 26.9% 2위 54,303 27.5% 1위


비례 당선
파일:독일 사회민주당 로고(2021-2022).svg 자이야 크노르-쾨닝 39,182 19.9% 3위 37,513 19.0% 3위


파일:자유민주당(독일) 로고(2015).svg 루카스 쾰러 19,153 9.7% 4위 26,401 13.4% 4위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비례 당선
파일:독일을 위한 대안 로고.svg 파울 포돌라이 7,594 3.8% 5위 8,403 4.3% 5위


파일:좌파당(독일) 로고(하얀색).svg 니콜레 골케 6,975 3.5% 6위 8,219 4.2% 6위


비례 당선
안드레아스 슈타우펜빌 5,058 2.6% 7위 5,036 2.5% 7위


주자네 비트만 3,096 1.6% 8위 1,796 0.9% 9위
'''
동물보호당
'''
클라우디아 뢰델 3,059 1.6% 9위 2,655 1.3% 8위
'''
dieBasis
'''
조피 그리스바허 2,144 1.1% 10위 1,571 0.8% 10위
'''
Volt
'''
필립 드라빈스키 1,804 0.9% 11위 1,403 0.7% 11위


벤-자이드 사마니 1,557 0.8% 12위 1,353 0.7% 12위
'''
ÖDP
'''
피아 코이나키 391 0.2% 13위 187 0.1% 18위
'''
du.
'''
앙겔리카 젤프만 365 0.2% 14위 234 0.1% 16위
'''
V-Partei
'''
왼더-벤다트 된메즈 316 0.2% 15위 - - -


베르너 추제 72 0.0% 16위 - - -
'''
BüSo
'''
오스카 조머펠트 66 0.0% 17위 - - -


- - - - 1,161 0.6% 13위
'''
Todenhöfer
'''
- - - - 614 0.3% 14위


- - - - 394 0.2% 15위
'''
BP
'''
- - - - 196 0.1% 17위
'''
Die Humanisten
'''
- - - - 180 0.1% 19위
'''
UNABHÄNGIGE
'''
- - - - 158 0.1% 20위
'''
Gesundheitsforschung
'''
- - - - 83 0.0% 21위
'''
Bündnis C
'''
- - - - 52 0.0% 22위
'''
DKP
'''
- - - - 52 0.0% 22위
'''
LKR
'''
- - - - 46 0.0% 24위
'''
III. Weg
'''
- - - - 41 0.0% 25위
'''
III. Weg
'''
- - - - 34 0.0% 26위
'''
MLPD
'''
유효표 197,317 197,625
무효표 955 647
총 투표수 198,272 198,272
투표율 81.8% 81.8%
결과


유지



획득


[1.1] 알라흐-운터멘칭, 아우빙-로흐하우젠-랑비트, 라임, 루트비히스포어슈타트-이자르포어슈타트, 노이하우젠-뉨펜부르크, 파징-오버멘칭, 슈반탈러회에[2] 1949년 사민당 오토 그라프 당선, 1965년과 1969년 사민당 에르빈 폴거 당선, 1972년 사민당 만프레트 마르샬 당선[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