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문명 5/Community Patch Project/등장 문명|문명 5/Community Patch Project/등장 문명]]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000>||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5px 0px;" {{{#!folding [관련 문서 열기 · 닫기] {{{#!wiki style="margin: 0 0 -10px;" | <colcolor=#373a3c><colbgcolor=#ffdd55>게 임 관 련 | <colbgcolor=#ffeeaa,#554400>문명과 외교 | 등장 문명 · 외교 · 도시국가 · 첩보 · 세계 의회 | |||||||||
유닛 | 개요, 기타 유닛 · 비전투 · 위인 · 육군 · 해군 · 공군 · 고유 유닛 · 진급 | |||||||||||
자원 · 건물 | 지형 · 자원 · 시설 · 건물 · 불가사의 · 자연경관 | |||||||||||
내정 | 기술 · 사회 정책 · 종교 · 문화와 관광 | }}}}}}}}}{{{#!wiki style="display:inline-flex; margin:5px 0px;" {{{#!folding [ 등장 문명 열기 · 닫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letter-spacing:-1px;" | 기본 지원 | 그리스 | 독일 | 러시아 | 로마 | 미국 | 송가이 | 시암 | 아라비아 | 아즈텍 |
영국 | 오스만 | 이로쿼이 | 이집트 | 파일:external/2dfcfdaf30953298d0a2dbc2d71cabb82bf757d3949f81b3375b6b911cf823db.png 인도 | 일본 | 중국 | 페르시아 | 프랑스 | ||||
DLC 추가 | 바빌론 | 몽골 | 스페인 | 잉카 | 폴리네시아 | 덴마크 | 한국 | |||||
신과 왕 | 네덜란드 | 마야 | 비잔틴 | 스웨덴 | 에티오피아 | 오스트리아 | 카르타고 | 켈트 | 훈족 | |||
멋진 신세계 | 모로코 | 베네치아 | 브라질 | 쇼숀 | 아시리아 | 인도네시아 | 줄루족 | 포르투갈 | 폴란드 | }}}}}}}}} |
| ||
바빌론 / 네부카드네자르 | ||
오, 강대한 고대 바빌론의 아버지, 위대한 네부카드네자르여, 하늘의 축복이 그대와 함께하기를! 사르곤이 약 5천년 전 바빌론을 건설했을 때만 해도 세상은 창조된 지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바빌로니아는 법전을 만드신 신성한 함무라비 왕 치하 기원전 18세기에 처음으로 제국을 이루었습니다. 비록 카시트인과 아시리아인에게 정복당했으나, 시련을 이겨낸 바빌로니아는 불사조와도 같이 파괴의 잿더미에서 솟아올라 수많은 적의 틈바구니에서 독립을 되찾았습니다. 바빌론은 고대 세계에서 진정한 예술과 학문의 중심지였습니다! 네부카드네자르여, 그대가 세상을 떠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바빌로니아 제국은 강대한 페르시아와 그리스에 정복당해, 기원전 141년에는 바빌론 시마저 파괴되었습니다. 위대한 네부카드네자르여, 바빌론이 정말 영원히 사라진 것입니까? 백성은 그대가 다시금 제국을 부활시키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도전을 받아들여 세월의 시련을 이겨낼 문명을 건설해 주시겠습니까? | ||
고유 속성 | ||
특성 | | 독창성 (Ingenuity) 문자 기술을 연구하면 위대한 과학자가 출현합니다. 위대한 과학자의 출현 속도 +50%. 건물에 골드를 투자하면 줄어드는 생산비용이 15% 더 많습니다.(불가사의는 7.5%)[1] |
고유 유닛 | 파일:external/www.dndjunkie.com/UNIT_BABYLONIAN_BOWMAN.png | 궁병 (Bowman) 궁수를 대체합니다. 전투력(6→8)과 원거리전투력(9→10)이 높습니다. 고유 승급: 사격술(Marksmanship)[2] |
고유 건물 | 바빌론 성벽 (Walls of Babylon) 성벽을 대체합니다. 과학·위대한 과학자 포인트 +3. 도시 전투력(6→8)과 HP(100→125)가 높습니다. 위대한 과학자의 일시불 과학 획득량 +5%. 나머지는 성벽과 같습니다. |
1. 개요
문명 5 Community Patch Project의 바빌론 문명. 4.20.2 버전 기준.위대한 과학자에 대부분 역량을 쏟는 문명이다. 과학자가 바닐라에 비해선 약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준수한 성능을 자랑한다. 초중반부터 수비에 탁월한 고유 요소를 둘이나 받고 후반에는 과학력을 앞서나갈 수 있다 보니 AI 승률은 상위권에 속한다.
강점
- 과학력: 바닐라 시절만큼 빠르진 않아도, 같은 체급이라면 여전히 기술력 측면에서 바빌론이 우위를 점한다.
- 생산력: 제아무리 돈이 많더라도 그걸로 깎을 수 있는 생산력은 한계가 있는데, 바빌론은 UA 덕에 남들이 범접할 수 없는 생산 강점을 갖고 있다.
- 초반 전투력: 간단한 조건으로 전투력이 크게 오르는 고유 유닛과 깡 방어 스탯이 높은 고유 건물을 가져 초반을 버티는 데 용이하다.
약점
- 느린 빌드업: 아카데미 수가 누적되지 않으면 위대한 과학자의 일시불 과학 수급력은 형편없다. 그 탓에 본격적으로 과학을 치고 나가기 위한 빌드업이 기존보다 훨씬 느려졌다.
- 과학자의 약한 영향력: 아카데미는 마야의 쿠나에 비해 많이 지을수도 없고 산출도 그렇게까지 세지 않다. 위대한 과학자도 아무리 빠르다 한들 간헐적으로 출현하다 보니 게임에 행사하는 영향력이 적은 편이다. 결국 결정적인 기술 격차는 과학자보단 체급에서 벌어지게 되어 있다.
2. 특성
무료 위대한 과학자는 그대로 문자 기술에서 등장하나, 문자 자체가 고대시대 후기에서 고전시대 초기로 미뤄져서 이전처럼 빠르게 보기는 힘들어졌다. 고대시대 기술들의 중요도 하나하나 또한 매우 늘어나서 이전처럼 다 무시하고 문자로 달리는 전략의 손해가 커졌다. 하다못해 목축업과 건설 정도는 찍는 것이 초반 진행에 훨씬 도움이 된다. 위대한 과학자의 특수능력도 이전보다 약해졌지만 아카데미는 여전히 초반에 꽤 도움이 된다.위대한 과학자의 출현 속도 증가 특성은 VP에서 간접적인 상향을 받았다. 우선은 공업계 위인 셋의 출현 포인트가 분리되어 과학자의 출현이 다른 두 위인의 출현을 방해하거나 방해받지 않게 되었다. 또한 위대한 과학자 포인트를 극초반부터 적립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도 큰 상향점이다. 지혜의 여신 종교관과 바빌론 성벽은 고대시대부터 확보 가능하며, 고전시대에도 궁정 점술가[3]와 도서관이 있어 과학자 슬롯을 다 활용하기가 힘들 지경이다. 마침 위대한 과학자의 특수능력도 제국에 아카데미 시설을 누적시킬수록 강해지도록 변경되었기 때문에, 바빌론만큼 과학자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문명이 없다.
또다른 특성은 골드를 투자할 때 일반 건물은 건설비용의 65%, 불가사의는 40%의 생산력을 채워주며, 산업 정책과 함께라면 일반 건물은 75%, 불가사의는 50%까지 증가한다. 16턴 걸릴 건물을 4턴으로 줄여주는 만큼 생산력과 턴수를 엄청나게 절약할 수 있다. 인프라 구축을 가속하고 불행을 빠르게 잡아주는 것도 좋고, 남는 생산력을 다른 산출로 돌려서 스노우볼을 굴리는 능력도 탁월하다.
과학자 특성으로 앞서나가는 기술력과의 시너지 또한 매우 뛰어나다. 세계 불가사의를 확보하기 위한 경쟁 요소인 기술력, 생산력(경제력), 문화력[4] 중에서 두 가지나 앞서기 때문에 바빌론은 불가사의 경쟁력이 매우 뛰어나다. 불가사의 독점 페널티로 건설에 필요한 생산력은 늘어나지만 투자 골드량은 증가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이 점이 훨씬 부각된다. 더불어 기술 거래 옵션을 켜놨다면 연구한 기술을 팔아 번 돈으로 건물과 불가사의 가속하고 남는 생산력으로 문화력과 과학을 보충하는 선순환을 굴리기 쉬워 산업시대 이후 폭발적인 성장력을 보여준다. 후반에는 사실상 골드가 남아도는 자원이 되기 때문에 건물을 25%, 불가사의를 50%만 건설해도 완성된다는 옵션을 패시브로 달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상태가 된다.
3. 궁병
바닐라에서처럼 궁수를 대체한다. 전투력 자체도 우수한 데다 부상당한 유닛[5]을 상대로 전투력을 +33%나 올려주는 사격술 승급을 가지고 있어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체급을 키우기 위해 초반부터 이 유닛으로 주변국을 찍어누르는 권위 플레이도 가능하다.4. 바빌론 성벽
과학자 전문가를 하나 고용한 수준의 위인 포인트와 과학을 무료로 제공한다. 본연의 성능 자체도 일반 성벽보다 우수하다. 조건도 전혀 따지지 않고 깡과학을 주는 주제에 하단 테크에서 해금되어 초반 군사력과 기술력을 동시에 잡게 해주는 강력한 건물이다.아울러 세계의회 프로젝트로 얻을 수 있는 국제 우주정거장처럼 위대한 과학자의 액티브 능력 또한 강화해주므로 후반의 포텐셜까지 잡게 해주는 알짜배기 건물이다.
5. 운영
어떤 고대시대 정책이든 소화한다. 전통은 장기적으로 위대한 과학자 출현을 크게 앞당기고, 권위는 궁병을 위시한 초반 세력 확장에 도움이 된다. 진보는 문자까지 빠르게 뚫어 아카데미를 확보한 뒤 스노우볼을 굴리기에 최적이다. 골드 수입이 크고 기술 연구 시마다 문화를 주는 점을 고려하면 진보가 대체로 가장 강력한 선택지로 꼽힌다.어느쪽을 가든 반드시 종교관으로 지혜의 여신을 선점하고 더 나아가 종교까지 창시할 필요가 있다. 바빌론은 지혜의 여신으로 위대한 과학자 포인트를 3 받기 때문에 스톤헨지나 유적으로 일찍 확보해주면 문자로 과학자를 받은지 얼마 안되어 하나가 더 출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이외 교리는 신성한 법도, 대성당, 이단심문 등의 골드 관련이나 금욕주의, 만딜스 등의 식량 관련으로 찍어주면 좋다.
전반적으론 위대한 과학자에 집착하기보단 또다른 UA의 활용에 더 치중하는 게 좋다. 아카데미와 위대한 과학자로 얻는 과학도 적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체급을 키우고 인프라를 빠르게 구축한 뒤 생산을 과학 산출로 치환하는 편이 기술력에 더 보탬이 된다. 그런 의미에서 산업시대 정책 또한 합리보단 산업이 낫다.
5.1. 잘 어울리는 선택 요소
- 지혜의 여신(종교관): 위대한 과학자 스노우볼을 빠르게 시작할 수 있게 해준다.
- 산업(정책): 골드 투자 시 생산비용 감소율을 더 높여주므로 UA와 시너지가 좋다.
6. 모드 추가 요소
6.1. 3rd and 4th UC
3/4 UC | ||
고유 유닛II | 사붐 키비툼 (Sabum Kibitum) 창병을 대체합니다. 전투력(12→13)이 높습니다. 고유 승급: 빠른 학습[6], 유산(Legacy)[7] | |
고유 건물 | 에테멘앙키 (E-temenanki) 국립 기념물을 대체합니다. 수도에만 건설할 수 있습니다. 식량·문화 +4, 신앙 +2. 기념비에 과학 +1. 성소에 식량 +2. 이 도시의 인구가 증가할 때마다 받는 일시불 문화(15→25)가 더 높습니다. 건물에 골드를 투자할 때마다 이 도시에서 과학·골드 수입의 15%만큼 일시불 과학·식량을 얻습니다. 나머지는 국립 기념물과 같습니다. |
사붐 키비툼은 바빌론 궁병과 합을 맞추는 보병 유닛이다. 일본의 사무라이처럼 경험치를 50% 더 얻으며, 레벨이 오를수록 영구적으로 전투력이 올라가는 승급을 갖고 있다. 두 승급 모두 업그레이드 해도 사라지지 않으니 길게 보고 육성하라는 의도로 보인다. 다만 병종부터가 소모성이 강한 보병이고, 일본처럼 내구도를 강화하는 승급은 따로 없어서 실전성은 떨어진다. 최소한 궁병과 함께 고전시대부터 공격적인 확장을 하는 데는 사용할 수 있다.
에테멘앙키는 건물에 골드를 투자할 때마다 수도와 기술 성장을 가속하는 강력한 고유 불가사의다. 수도가 성장할 때마다 받는 일시불 문화도 국립 기념물보다 많아서 다방면으로 성장이 빨라진다. 등장 시점도 꽤 이른 타이밍이라 스노우볼 굴리는 데 도움을 준다.
3/4 UC 바빌론은 좀 더 초반 스노우볼에 초점을 둔 특성요소들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UU는 등장 타이밍엔 큰 도움이 안되지만, 승급을 쌓을수록 남들보다 훨씬 강해지는, 다시 말해 멀리 보는 유닛이다. 에테멘앙키는 최초로 세계의 수도 타이틀을 얻은 바빌론의 위상을 보여주듯 강한 수도를 만드는 것에 도움을 준다. 원래부터도 강력했던 바빌론에 스노우볼 불가사의가 추가된 탓인지, 3/4 UC를 깔면 심심하면 초반부터 1, 2위를 달리는 바빌론을 볼 수 있을 것이다.
[1] 원래 건물은 골드 투자 시 생산비용의 50%, 불가사의는 25%를 때울 수 있는데, 이것이 각각 65%, 32.5%로 늘어난다. 불가사의는 문명 특성도 절반만 적용받아 15% 대신 7.5%만 깎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2] 체력을 잃은 유닛을 상대로 공격력 +33%[3] 전통 채택 시 수도 한정[4] VP에서는 세계 불가사의 건설을 위해 정책도 일정 수 이상 확보해야 한다.[5] 체력을 1이라도 잃은 유닛[6] 전투로 받는 경험치 +50%.[7] 원거리 방어력 +10%, 유닛 레벨이 2 오를 때마다 전투력 +8% (최대 12레벨까지). 12레벨을 달성하면 전투력 +50% 승급으로, 15레벨에 도달하면 전투력 +75% 승급으로 대체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