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파이트!! 뱅가드 D 스탠다드의 특수 라이드 라인 | |||||||||||
{{{#000 {{{#!folding [ 교체형 ] | ↔ | ↔ | |||||||||
졸가 | 오르피스트 | ||||||||||
↔ | ↔ | ||||||||||
리아논 | 드라주얼드 | ||||||||||
↔ | ↔ | ||||||||||
유스베르크 | 블루스 | ||||||||||
↔ | ↔ | ||||||||||
여마술사 | 바스티온 | ||||||||||
드레스업 |
{{{#000 {{{#!folding [ 강화형 ] | → | → | |||||||||
오버로드 | 팬텀 블래스터 | ||||||||||
→ | → | ||||||||||
타마유라 | 케이오스 | ||||||||||
→ | → | ||||||||||
에바 | 테그리아 | ||||||||||
→ | → | ||||||||||
로로와 | 아바가르다 | ||||||||||
→ | → | ||||||||||
리아논 | 그리포기라 | ||||||||||
→ | → |
| |||||||||
미츄 | 메일스트롬 | ||||||||||
그레이드 4 | |||||||||||
마스크스 | |||||||||||
운명자 |
1. 개요
| |
RRR | SEC |
| |
FFR | SR |
2. 효과
한글판 명칭 | 무한의 숙명왕 레비드라스・엠피레오 | |||||
일본판 명칭 | [ruby(無限, ruby=むげん)]の[ruby(宿命王, ruby=しゅくめいおう)] レヴィドラス・エンピレオ | |||||
영어판 명칭 | Destined King of Infinity, Levidras Empireo | |||||
노멀 유닛 | ||||||
그레이드 | 파워 | 실드 수치 | 국가 | 종족 | 크리티컬 | |
3(트윈 드라이브!!) | 13000 | - | 스토이케이아 | 포레스트 드래곤 | 1 | |
페르소나 라이드 | ||||||
【영속】【뱅가드 서클】 : 이 유닛은 「무한의 숙명자 레비드라스」로도 취급한다. 당신의 턴 중, 당신 소울의 「무한의 숙명자 레비드라스」 1장당, 이 유닛의 파워+5000하고, 그것들이 가진 【디바인 스킬】 전부를 얻는다. 【기동】【뱅가드 서클】【턴 1회】 : 【코스트】[【카운터 블래스트】(1) 또는 패에서 1장 소울에 놓음]으로, 어느 쪽의 리어가드 서클을 2개 선택하고, 무한인분 마커를 1개씩 놓는다. 이 코스트로 「레비드라스」를 포함하는 그레이드 3 이상을 놓았다면, 2개가 아닌 3개 선택한다. 【자동】【뱅가드 서클】: 당신의 무한인분 마커가 있는 리어가드 서클의, 어느 쪽의 유닛이, 어택 또는 부스트 했을 때, 그 배틀 중, 그 유닛의 파워를, +10000 또는 -10000 해도 된다. 상대 유닛의 파워를 -10000 했다면, 그 리어가드 서클에서 당신의 무한인분 마커를 1개 제외하고, 당신은 1장 드로우 한다. | ||||||
『무한히 지엽을 펼치는 세계. 내가 원하는 미래는 그곳에.』 |
3. 설명
천지각명에 수록된 무한의 숙명자 레비드라스의 강화 버전 카드.영속 능력으로 만민의 검 바스티온 어코드처럼 뱅가드일 때 원본으로 취급된다. 레비드라스는 바스티온과 달리 최신 카드라 지원 카드 대부분이 '레비드라스'로 지정하고 있어서 지원 범위보다는 원본을 거쳐도 페르소나 라이드가 발동된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소울의 레비드라스만큼 파워업하는 효과와 원본의 디바인 스킬을 계승받을 수 있다.
기동 능력으로 카운터 블래스트 혹은 패의 카드를 소울에 넣음으로서 리어가드 서클 2곳을 고르고 무한인분을 놓을 수 있다. 기존 레비드라스와 달리 상황에 따라 자신의 리어가드 서클에만 설치하는 것으로 공격 화력을 높히거나 반대로 상대 서클에만 놓는 것으로 방어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레비드라스를 놓아 효과를 발동했다면 무한인분 마커를 3개 설치해 첫 턴부터 디바인 스킬 없이도 무한인분 3개 시 능력을 해금할 수 있게 된다.
자동 능력은 원본도 갖고 있던 무한인분을 통한 파워 조절 능력.
레비드라스의 문제였던 마커 배분의 자유로움이나 뎀컷 등을 해결해주었기에 숙명결전 당시엔 애매하다고 평가받은 레비드라스가 기적의 운명왕 레자엘 비타와 어께를 나란히 하는 압도적 1티어 수준으로 부상하는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덕분에 2025년 4월에 제제대상이 되었으나 같이 제제받은 조정의 봉염 바브사가라 아크샤이아가 키 카드 중 하나인 벨로드가 제한 지정, 운명왕이 초고성능 범용 카드 세르가온과의 동시투입 금지라는 뼈아픈 제제를 받은 와중에 숙명왕은 자체적으로 소생이 되는 여용의 기사 샴네트가 2장 제한이라는 비교적 가벼운 제제를 받았다.[1]
한편 레비드라스의 디바인은 게임에 쇄기를 박는 용도에 가깝기에 라이드 라인으로 할지 메인 덱에만 넣을지 갈리는 경향이 있는 레자엘 비타와 달리 레비드라스는 핵심인 마커 분배 능력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구축이 숙명왕을 라이드 라인에 넣고 원본은 코스트용으로만 사용한다.
이름의 엠피레오(Empireo)라는 의미는 청화천(淸火天, Empyrean Heaven)은 고중세 유럽을 지배한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우주론에서 수정천구의 가장 높은 최고층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3.1. 설정
3.2. 애니메이션
숙명의 뜻을 총괄하는 왕이여, 영원한 빛으로 세계를 비춰라! 라이드! 무한의 숙명왕, 레비드라스 엠피레오!
아이카와 쿠온
애니에선 카드파이트!! 뱅가드 Divinez 시즌 2 11화에서부터 등장. 기적의 운명왕 레자엘 비타와 비슷하게 숙명자 6명 분의 디자인 포스가 모여 탄생한 카드로,[2] 시빌트와의 전초전에서 시빌트를 5데미지까지 몰아넣었으나 다음 시빌트의 턴에 라이드된 나찰의 3연속 공격에 의해 패배했다.아이카와 쿠온
디럭스편 오프닝에서 나왔는데 강화체가 있는 레자엘, 바르가, 드라주얼드, 브래그드마이어도 원본으로 나오는 와중에 혼자만 강화 버전인 이 카드가 나오는 걸로 보아 디럭스편부터는 현실에서처럼 라이드 덱에 원본 대신 넣은 것으로 추정되었고 실제로 그러했다.
현실에서의 강한 성능과 달리 상대가 주인공인 아키나와 최종보스인 시빌트와 카게츠여서 1승도 못하고 3연패를 찍었으나 디럭스 편 12화 라이카와의 파이트에서 드디어 1승을 했다.
디바인 스킬 발동 시 대사는 원본인 레비드라스와 동일하게 무한 각성.
4.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천지각명 | DZ-BT05/014 | RRR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5. 관련 카드
5.1. 무한의 숙명자 레비드라스
[1] 레자엘은 DZ시즌 초기부터 강덱 반열에 들어가 있었고 바브사가라는 강화받은 건 최근이지만 그 잠깐 사이에 환경을 지배할 정도로 과하게 강했던 것에 반해 숙명왕은 활약 기간이 길지 않았기에 이 정도로 그친 것으로 보인다.[2] 운명자쪽은 드래곤 엠파이어가 빠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