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6 19:05:54

무인기모함

군함의 함종별 분류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근대
협선 · 판옥선 · 거북선 · 해골선 · 안택선 · 세키부네 · 화공선 · 갤리선 · 드로몬 · 갤리온 · 전열함 · 건보트 · 철갑선
수상전투함
전함(전드레드노트급 전함 · 드레드노트급 · 슈퍼 드레드노트급 전함) · 순양전함 · 고속전함
순양함 · 정찰순양함 · 방호순양함 · 장갑순양함 · 경순양함 · 중순양함 · 대형순양함 · 중뇌장순양함 · 타격순양함 · 방공순양함
구축함 · 호위함 · 호위구축함 · 지휘구축함 · 선도구축함 · 유도탄구축함 · 유도탄호위함 · DDH
초계함 · 원양초계함 · 구잠함 · 구잠정 · 초계정
경비함 · 경비정
고속정 · 어뢰정 · 미사일 고속정
항공모함 및 상륙함
항공모함 · 호위항공모함 · 경항공모함 · 중형항공모함 · 헬리콥터 모함 · 수상기 모함 · 무인기모함 · 강습상륙함
강습상륙함(LHA · LHD · LPH) · 상륙수송선거함 · 상륙선거함 · 전차상륙함 · 중형상륙함
공기부양정 · LCU · LCM
잠수함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순항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공격 원자력 잠수함
잠수함 · 잠수정 · 잠수순양함
지원함
군수지원함 · 공작함 · 구조함 · 정보수집함 · 군용 병원선 · 원정이동기지선 · 지휘함 · 훈련함
기뢰전함
기뢰부설함 · 소해함
구축함모함 · 잠수함모함
무장상선 · 수송선 · 전시 동원 선박
기타 방공함 · 항공전함 · 항공순양함 · 잠수 항공모함 · 해방함 · 모니터함 · SDV }}}}}}}}}}}}}}}



파일:샤히드 베헤쉬티 2.jpg
샤히드 바게리급 무인기모함
파일:54234456656_4e1be5f021_k.jpg
076형 강습상륙함

1. 개요2. 현황3. 장래성4. 목록5. 창작물

1. 개요

무인기모함(無人機母艦/Drone Carrier)은 무인기를 주력으로 운용하는 항공모함이다. 아직 해군 무인기 작전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만큼, 무인기모함 역시 형태와 운용 방식이 정립되지 않았다.

한국 해군은 한국형 경항모 사업을 무인전력지휘통제함으로 변경해 추진중이다.

2. 현황

터키의 아나돌루급은 원래 다목적 강습상륙함으로 도입하여 F-35를 배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미국과의 외교적 갈등 끝에 JSF 사업에서 퇴출됨에 따라 원래 계획이 무산되었다. 그래서 운용할 만한 기체가 헬리콥터 밖에 없게되자 궁여지책으로 무인기모함으로 활용되었다.

이란의 무인기모함은 상륙함과 민간 상선을 개조한 것으로 최대 60여기에 달하는 무인기를 적절히 사용하면 인근 해역과 근방 약소국들의 내륙까지 영향력을 전개할 수 있다. 그래서 평시에는 항행의 자유를 명분으로 주변국 인근 해역을 순회하며 정치적 위신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자함방공능력이 사실상 없다보니 호위전력이 없으면 대함미사일을 탑재한 고속정에도 취약하다. 다만 정치적 위신은 매우 중요하며, 이란의 지정학적 위치상 함부로 건드렸다간 국제무역상의 주요 수로인 홍해 일대의 항행이 차단될 위험이 커서 함부로 손대기 쉽지 않다. 이란의 입장에서 효과적이었는지 이러한 개조 모함을 이미 2척을 보유했고 추가로 개조하고 있다.

포르투갈의 주앙 2세 함은 공식 분류가 무인기모함이 아닌 '다기능 해군 플랫폼'이며, 배수량 7천톤짜리 평갑판함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함이다. 길이 94m의 짧은 항공갑판에 소형 드론 발사용 캐터펄트를 설치하여 헬기와 무인기의 이착함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그래서 무인기용 격납고와 헬리콥터용 격납고가 구분되어 있다. 그외 소형 보트 4척을 적재하며 30톤급 크레인이나 42명의 과학자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과학 실험실, 필요시 병원선 역할을 할 수 있는 제한적인 설비, 차량 진입용 측면문까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를 갖춰 전투함 보다는 다목적함에 가깝다.

한국의 무인전력지휘통제함은 아직 제대로 정해진 게 거의 없지만 공개된 내용으로는 무인항공기보다는 무인수상함과 무인잠수정 등의 운용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제공권을 확보하기보다는 공군의 연안 제공권 하에서 수상 및 수중을 통제하는 목적으로 판단된다.

중국 해군은 신형 강습상륙함인 076형 강습상륙함에 고정익 UCAV를 탑재할 예정이다.

3. 장래성

항공모함은 지상발진 항공기가 도달하지 못하는 원양에서 항공력을 운용하는 함정이며, 그 중에서도 핵심 능력은 제공권 장악이다. 일단 제공권을 장악해야 항공력을 자유로이 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2025년 현재까지 무인항공기의 전투력은 저렴한 비용으로 지상 및 해상을 감시하고 타격하는 것에 특화되어 있으며, 각국에서 무인전투기를 연구 중이지만 기술적 및 비용상의 문제로 유인항공기보다 고성능을 얻기는 힘들다. 인간보다 싸고 가볍고 고성능인 비선형 컴퓨터가 아직 개발되지 못했기 때문. 미국조차 유인전투기를 보좌하는 보조전투기 역할로 개발하고 있으며, 처음부터 무인전투기를 도입하기는 어렵다고 무인 공중급유기를 먼저 내놓았다.

따라서 무인기모함으로는 적 항공모함에 맞서 원양에서 해상제공권을 겨루는 용도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해상항공력을 보유하지 못한 적 함대를 수색하여 일방적으로 공격하는 정도의 운용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무인기가 점차 대형화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1] 경항모처럼 최대한 넓은 항공갑판을 보유한 편이 향후의 발전성에 유리한지라, 외형과 크기 면에서도 경항공모함과 구분하기 힘들게 될 가능성이 높다. [2]

그 외에 수상/수중 무인기를 지원하는 능력을 갖추기도 하는데, 애초에 수상/수중 무인기들은 비행 시간에 한계가 있는 항공기에 비해 비교적 오래 활동할 수 있어서 굳이 해상에서 회수하고 정비, 보급하는 등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따라서 무인기모함 역시 무인항공기의 운용이 핵심적인 기능이다.

4. 목록

5. 창작물



[1] 육상에서 대량으로 활용되고 있는 멀티콥터형 소형 드론은 넓고 평시에도 해풍이 강하고 각종 악조건이 있는 바다에서는 쓰기 힘들다.[2] 또는 경항공모함이 무인기모함 역할을 겸하게 될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