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9:13:18

무공포탑-디세이블래스터


1. 개요2. 설명3.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상급 펜듈럼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無孔砲塔-ディセイブラスタ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무공포탑-디세이블래스터,
일어판 명칭=<ruby>無孔砲塔<rp>(</rp><rt>むこうほうとう</rt><rp>)</rp></ruby>-ディセイブラスター,
영어판명칭=Disablaster the Negation Fortress,
속성=빛, 종족=기계족, 레벨=5, 공격력=500, 수비력=2000, P스케일=5,
P효과1=①: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이 카드와 같은 세로열에서 발동한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다.,
효과1=①: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 세로열이 있을 경우\, 이 카드는 그 세로열인 자신 필드에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이 카드와 같은 세로열에서 발동한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3=③: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①의 몬스터 효과는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 세로열에 자신을 특수 소환하는 룰 효과. 기본적으로 조급한 토마와 비슷하지만, 해당 카드와는 달리 자괴 디메리트가 없는 상위호환이다. ②의 몬스터 효과와 연계할 수도 있겠지만, 상대 카드가 이미 있는 열에 특수 소환할 수는 없으니 상대를 직접 방해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주로 룰 특소를 살린 전개 요원이라는 감각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펜듈럼 효과와 ②의 몬스터 효과는 자신과 같은 세로열에서 발동한 카드의 효과를 무효화한다. 자기 카드의 효과 역시 무효화되니 운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펜듈럼 효과는 필연적으로 가장 오른쪽 아니면 왼쪽 자리를 차지하니 상황에 따라 상대의 움직임을 천천히 조여오기 쉽다. 몬스터 효과 쪽은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엑스트라 몬스터 존이 위치한 2번 또는 4번 세로열은 링크 소환 시에 발동하는 효과를 억제하기 유리하다. 펜듈럼 소환 중심의 덱을 상대한다면 양 효과 모두 잘 먹힐 것이다. 다만 발동한 효과만을 무효화하므로 지속 효과나 필드 위를 벗어나서 발동하는 효과는 무효화할 수 없다. 이를 역이용해 발동 효과가 디메리트인 카드, 특히 지속 효과가 좋은데 자체 유발 효과로 패로 되돌아가는 스피릿 몬스터를 필드에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쓸 수 있다.

③의 효과로 몬스터 존에서 파괴되어도 펜듈럼 존에 놓아 펜듈럼 효과를 쓸 수가 있다. 파괴 수단을 따지지 않아 자기가 파괴해도 좋고, 펜듈럼 효과로 끝자리에 위치한 상대 카드를 막는 콤보도 가능하다. 임의 효과라서 쓰든 안 쓰든 자유라는 것도 좋다.

펜듈럼 몬스터이지만 펜듈럼 덱에서는 No.67 파라다이스매셔 락 루트 등 특수한 경우가 아니라면 안 쓴다. 펜듈럼 덱 중 레벨 5라는 점을 유의미하게 살릴 법한 덱이 없고, 어지간한 펜듈럼 덱은 아모르파지처럼 너무 답이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 카드보다 더 테마에 어울리는 용병을 쓰던 자체 기믹을 쓰던 통상 소환권 1회만으로 개체 수 둘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비욘드 더 펜듈럼 등 펜듈럼 소환을 서포트하는 링크 몬스터는 전부 링크 마커를 이 카드의 세로줄 앞에 열기 때문에 펜듈럼 효과와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가 서로 충돌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이 카드를 제대로 사용하는 덱은 레벨 5 몬스터를 통해 엑시즈 소환을 노리는 순수 K9다. K9는 요쿨이 패에 잡히지 않은 상황에서는 상대가 패 트랩을 써 주지 않으면 선턴에 레벨 5 몬스터를 하나밖에 낼 수 없는데, 이 카드가 패에 잡혔다면 이 카드를 먼저 내고 K9 몬스터를 자체 효과로 릴리스를 하지 않고 통상 소환해 엑시즈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체인 블록을 만들지 않는 특수 소환이라 증식의 G를 체인하여 낼 수도 없으며, 마루챠미 후와로스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지속 효과 덕분에 후공 돌파에도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도 다른 특수 소환 가능한 5레벨 몬스터와 비교했을 때의 강점.

룰특소가 달린 빛 속성 기계족 5레벨 몬스터란 점에서 사이버 드래곤과 유사한 면이 있다. 같은 세로열을 무효화하는 효과 또한 사이버 드래곤 인피니티가 그려진 무한포영을 연상시키며 이름 또한 비슷한 구석이 있다. 이 카드가 공개된 3월 13일 후라게는 특이하게도 테마가 아니라 낱장, 그 중에서도 쿼터 센츄리 크로니클 재록 테마와 연동되는 낱장 카드가 여럿 공개되었는데, 이 카드 또한 택티컬 트라이 덱으로 재록되는 사이버 드래곤 테마를 의식한 카드로 보인다. 정작 사이버 드래곤 테마는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얼라이언스 인사이트에서의 간접 지원 이후 이 카드를 잘 안 쓰게 되었다. 용병을 사용한다 해도 상술한 K9와의 조합이 좀 더 강하기 때문.

카드명의 무공은 무효와 발음이 같은 말장난. 디세이블래스터는 Disable과 Blaster의 합성어로 보인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24-04-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JP026 | インフィニット・フォビドゥン [ INFINITE FORBIDDEN ]
2024-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EN026 | THE INFINITE FORBIDDEN
2024-07-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FO-KR026 | 인피니트 포비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