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3:29:59

목도리페커리

목도리페커리
Collared Peccary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ollared_peccary02_-_melbourne_zoo.jpg
학명 Tayassu tajacu
Linnaeus, 17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우제목(Artiodactyla)
페커리과(Tayassuidae)
목도리페커리속(Tayassuidae)
목도리페커리T. tajacu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서식지3. 먹이4. 천적5. 국내 보유 현황6. 매체

[clearfix]

1. 개요

우제목의 페커리과의 페커리의 한 종.

2. 서식지

아메리카 대륙에서 서식한다.

3. 먹이

먹이는 선인장, , 과일, 열매, 씨앗, 뿌리, , 녹색 식물, 및 곤충을 먹는다. 기회가 된다면 , , 물고기, 개구리, 도마뱀, 죽은 , 설치류도 먹는다.

4. 천적

천적은 재규어, 퓨마, 검정카이만, 아메리카악어, 오리노코악어. 그린아나콘다, 부채머리수리다.

5. 국내 보유 현황

한국에서는 서울동물원 남미관 야외 전시장에서 목도리페커리가 전시되었었다. 많이 반입해서인지 번식한 소식도 좀 있는 편이었으나 우결핵으로 인해 모두 죽어(...) 국내에서 소멸되었다.

우결핵이 한바탕 지나간 이후, 똑같이 남미관에서 살던 국내 유일 보유종이었지만 소멸되었던 큰개미핥기는 새로 도입되었고 아메리카맥도 도입이 확정되었지만, 목도리페커리는 도입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한다. 구제역과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위험때문에 도입이 포기된 것으로 여겨진다.

6. 매체

  • 플래닛 주 4주년 기념 업데이트로 사육 가능한 동물에 목도리페커리가 추가되었다. DLC가 없이도 사육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버전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버전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