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8:47:11

명지대학교/학부/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명지대학교/학부|명지대학교/학부]]

파일:명지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정보
인문캠퍼스 자연캠퍼스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연구소
이념과 상징 역사 총장
중앙도서관
(인문/자연)
박물관 명지학원
학생 정보
학사 제도 동아리 학내 언론
학생정보시스템
(MSI)
총학생회 학교생활
(주변상권)
학생 커뮤니티 교통
기숙사
기타 정보
부속 기관 사건 사고 출신 인물
명지전문대학 입시 산학협력단
미래교육원 체육부 미래정책센터
}}}}}}}}} ||

파일:명지나무.svg 명지대학교의 단과대학
공통
아너칼리지(전공자유대학) 방목기초교육대학 -
인문캠퍼스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
경영대학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 미래융합대학
자연캠퍼스
화학·생명과학대학 스마트시스템공과대학 반도체·ICT대학
스포츠·예술대학 건축대학 -

1.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
1.1. 응용소프트웨어전공1.2. 데이터사이언스전공1.3. 인공지능전공1.4.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

1.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

파일:명지나무_White.svg 명지대학교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
Colle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ftware Convergence
융합소프트웨어학부 응용소프트웨어전공
데이터사이언스전공
인공지능전공
-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
[ 펼치기 · 접기 ]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은 인문학적/논리적 소양과 과학기술 기반의 상상력을 갖춘 창의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2016학년도에 설립된 새로운 최첨단의 단과대학이다.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은 인문캠퍼스에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와 융합소프트웨어학부(응용소프트웨어 전공과 데이터 테크놀로지 전공)가 있고, 자연캠퍼스에 정보통신공학과가 있다. 디지털콘텐츠디자인 학과는 디지털 콘텐츠산업에 필요한 창의적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고, 융합소프트웨어학부는 소프트웨어 융합 시대에 걸맞도록 국제화된 감각과 인문학적 소양을 겸비한 전문 융합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18학년도부터 새롭게 편입된 정보통신공학과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정보통신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고자 하며, 특히 타학문과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노력중이다.
명지대학교의 정보대학이다. 기존의 ICT 융합대학의 인문캠퍼스 학과들에 인공지능전공을 신설하여 새롭게 개편하였다. 유병진 총장이 서울캠퍼스를 AI·SW 특성화 캠퍼스로 육성한다는 포부를 들어낸 만큼 명지전문대와 통합이 승인된다면 확대 개편될 예정이다.[1]

1.1. 응용소프트웨어전공

파일:명지나무_White.svg 응용소프트웨어전공 Software
현대 사회에서 정보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의 두뇌 역할을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통신(Communication) 등 컴퓨터 자체의 구동을 위한 기반(Platform) 소프트웨어와 은행, 게임, 로보트 등 기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Application) 소프트웨어로 나뉜다. 이중 응용 소프트웨어는 그 응용 영역에 따라 은행, 온라인 게임 등 고객들에게 집합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업용(Enterprise) 소프트웨어, 아래한글, 엑셀 등 개인용 컴퓨터에서 특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독립형(Standard) 소프트웨어, 로봇, 자동차 등 특정 하드웨어의 구동을 지원하기 위한 임베디드(Embedded) 소프트웨어로 세분화 된다.

본 학과는 응용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양성하며, 특히 기업용 응용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양성을 주 목표로 한다. 응용소프트웨어 전공에서는 1)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논리적 사고 및 비즈니스 모델링 역량을 키우고, 2) 산업체 연계를 통한 심도 있는 프로그래밍 실습 과정을 운영하며, 3) 소프트웨어 개발 ∙ 관리 ∙ 감리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교육한다. 이러한 역량을 갖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들은 공공기업, 정부, 은행, 증권 등 다양한 기업들의 전산실, 포털, 온라인 게임 등 분산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트 제공 기업,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용역 개발하는 정보기술 서비스 기업 등의 분야로 진출 할 수 있다.

1.2. 데이터사이언스전공

파일:명지나무_White.svg 데이터사이언스전공 Data Science
구글, 애플, 아마존 등의 글로벌 기업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 데이터는 더 이상 단순한 저장이나 검색의 대상에 머물러 있지 않다. 빅데이터 기술의 발달과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대중화, 소셜 네트워크,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등의 확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를 빠르게 생성,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표현하는 기술은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데이터테크롤로지는 하나의 전통적인 교과 과정으로 다루기 힘든 융합적인 학문 분야로서 컴퓨터공학, 통계학 등의 자연과학과 공학적 지식 외에도 경영학, 심리학 등의 다양한 인문학적 지식을 겸비한 인재를 필요로 한다.

본 전공은 인문과 IT 기술의 융합을 바탕으로 산업체 연계를 통한 체계적인 실습 과정과 실무위주의 프로젝트 기반 교육을 통하여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융합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본 전공의 졸업생들은 전문적인 데이터 분석 과학자, 데이터 전문 SW 개발자, 빅데이터 컴퓨팅 관리자 등의 역할로 전문 IT기업, 공공기업, 정부, 금융기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로 진출 가능하다.

1.3. 인공지능전공

파일:명지나무_White.svg 인공지능전공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전공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급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학, 통계학 등의 기초 교육과 함께 데이터 처리, 머신러닝, 딥러닝 등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며, 이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배양한다. 특히 인공지능 기술을 의료, 금융, 제조, 법률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하여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며, 창의적 사고와 실무 능력을 겸비한 전문가로 성장시킨다. 또한, 최신 인공지능 연구와 산업 동향을 반영한 교육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을 사회의 발전과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인공지능 전문가로 양성한다.

1.4.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

파일:명지나무_White.svg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 Digital Contents Design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는 디지털콘텐츠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신설되었습니다. 전통적인 콘텐츠와 새로운 디지털형식의 콘텐츠 산업이 정보통신기술산업과 접목되어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영역이 점차 확장되고 있는 오늘날, 정보통신기술(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과 문화기술(CT:CulturalTechnology)의 융합을 통한 다양한 주변 기술들을 새로운 산업으로 승화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일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디지털콘텐츠제작으로 구현할 수 있는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커뮤니케이션산업, 컴퓨터산업, 정보/콘텐츠산업의 경계가 무너지고 콘텐츠와 서비스영역의 융합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은 다양한 능력을 가진 인재를 필요로 합니다.

디지털콘텐츠디자인학과는 학생의 소질과 재능에 맞게 창의적 표현 능력과 ICT 및 CT구현기술 그리고 문화적 콘텐츠 응용능력을 고루 갖춘 인재를 육성하여 창조경제의 핵심인 디지털콘텐츠산업을 주도하는 리더를 키웁니다. 디자인콘텐츠디자인학과에서는 모바일 앱, 게임 등 디지털콘텐츠를 기획제작에 있어 사용자 중심의 사고 방식을 기르고, 사회문화와 소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발굴할 수 있는 식견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인문학적 교육이 이뤄집니다.

그리고 필수적인 ICT 및 CT구현을 위한 컴퓨터와 프로그래밍지식을 배우며, 창의적인 표현능력 배양을 위해 디자인 기획, 실기 등 다양한 감성교육이 이뤄집니다.

[1] 통합안에 따르면 단과대학 내에 AI빅데이터학부, AI응용시스템학부, 융합소프트웨어학부 3개 학부로 확대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