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8 17:18:31

매지컬 배틀 아레나


파일:attachment/d0032508_48b93a4b83844.jpg

파일:external/pds.exblog.jp/c0145910_19402688.jpg

아니 뭐 이상한게 있는데.... 혼자 굴욕적이게 찍힌 이 처자도 압권이다...

동영상

1. 개요2. 시스템
2.1. 커맨드2.2. 모드
3. 캐릭터
3.1. 원거리 포격형
3.1.1. 타카마치 나노하3.1.2. 호시소라 사라라3.1.3. 노웰 디아스타시스3.1.4. 가제트 드론 1타입3.1.5. 타카마치 나노하 Ver. StS
3.2. 중거리 만능형
3.2.1. 페이트 테스타로사3.2.2. 리나 인버스3.2.3. 서펜트의 나가3.2.4. 페이트 테스타로사 하라오운3.2.5. 마법기사
3.3. 근거리 격투형
3.3.1. 키노모토 사쿠라3.3.2. 호시소라 키라라3.3.3. 루루 제라드3.3.4. 비타
3.4. 원거리 특수형
3.4.1. 쿠쿠리3.4.2. 야가미 하야테
3.5. 근거리 특수형
3.5.1. 북북노인
3.6. 무거리 섬멸형
3.6.1. 금색의 마왕

1. 개요

비상시스템(현재는 영역ZERO가 개발을 맡음)에서 제작한 동인게임. 3D로 이루어져 있으며 액션 게임.

공중전판 건담 vs 시리즈를 보는듯한 전투가 특징이다.

기본적인 스토리는 갑자기 시공의 균열에 의해서 이세계로 끌려들어가게 되는데 그곳에서 나오려면 힘을 보여달라는 목소리에 의해서 세계의 진실을 파헤치는 이야기다.

이것만 보면 그냥 평범한 동인게임이지만, 여러 가지 작품의 캐릭터가 등장하며 간판급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타격감과 손맛이 괜찮아서 국내에서도 넷플이 꽤나 활성화되었었다.

추후 동방 스카이 아레나라는 이것과 시스템이 비슷한 게임을 현재 담당하는 영역ZERO가 내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그리고 2014년 1월 19일 후속작인 마법소녀 VS 환상향 매지컬 배틀 아레나 NEXT 魔法少女VS幻想郷-MBANEXT의 데모판이 공개되었다. 공개된 캐릭터는 하쿠레이 레이무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Fate/kaleid liner 프리즈마☆이리야). 나노하가 추가되면 깡패무녀vs하얀마왕 이 지옥 같은 동네를 빠져나가야 합니다! 동영상 1분 51초부터 보면 추가예정으로 보이는 캐릭터들의 실루엣이 나온다. 순서에 따라 쓰자면 키리사메 마리사, 키노모토 사쿠라, 콘파쿠 요우무, 미유 에델펠트, 토요사토미미노 미코.[1]

최신작인 NEXT에서는 아멜리아 윌 테슬라 세이룬도 등장한다. 사용 필살기는 라 틸트평화주의자 크러시. 리나는 기가 슬레이브(EVOLUTION-R 버전)가 추가됐으며 나노하는 극장판 A's 시공 기준.

2. 시스템

2.1. 커맨드

D(타겟변경) : 적이 여러 명일 때 원하는 타겟을 변경하는 키이다. 오랫 동안 누르면 프리타겟이 되는데 잘 사용하면 유용한 경우[2]도 있으나 워낙에 오랫동안 키를 눌러야 해서,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할 일은 없다. 원거리 캐릭터의 경우 Z(원거리공격) 충전 중 D를 누르는 것으로 멀티 타겟으로 충전 마력탄을 발사하는 것이 가능.

Q(고도저하) / W(고도상승) : 활공의 높낮이를 변경한다. 단일로 사용하면 잉여로울 수 있으나 거진 통상대쉬와 함께 지속적으로 누르게 되는 키.

A(근접공격, 근접넉백공격) : 근접 기본 공격을 가한다. 캐릭터 별로 공격 횟수와 공격 속도가 제각각이다. 모으기를 하면 넉백판정이 있는 공격을 하고, 넉백 공격은 위, 아래 방향키를 혼합하여 적을 위, 아래로 넉백시킬 수 있다. 또한 원거리 캐릭터를 제외한 캐릭터들은 기본공격 막타를 캔슬하고 모으기가 가능하다. 그런데 이 모으기도 발동시키지 않고 캔슬할 수 있어서, 이를 응용하면 근접평타의 후딜을 없애고 스킬로 확정연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매지컬 배틀 아레나의 핵심 커맨드로 이것 하나가 원거리 캐릭터와 비 원거리 캐릭터의 운용법이 갈려버렸다.

A + Z(가드 브레이크 어택) : 원거리 캐릭터 발동 불가능. 가드 브레이크 성능이 있는 근접 공격을 한다. 가드 브레이크 하라고 줬지만 준수한 발동속도에 대미지가 쓸만하고 콤보 도중에 섞으면 콤보의 총 딜량을 높일 수 있어서 중,근거리 캐릭터의 밥줄이 되었다.

Z(원거리공격, 원거리중경직공격, 원거리가드브레이크) : 마력탄을 날려서 원거리에서 견제한다. 캐릭터 별로 공격 횟수와 공격 속도, 유도력 등이 제각각이다. 원거리 캐릭터 한정으로 모으기가 가능하며, 모으기를 하면 중경직을 주는 마력탄을 발사한다. 모으기를 끝내지 않고 끝까지 모으면 초록색 마력광이 붙은 마력탄이 발사되며 해당 마력탄은 부스트 가드를 파괴할 수 있는 가드 브레이크의 성능을 지닌다.

X(가드, 마력스톡) : 정면으로 마력진을 펼쳐서 적의 공격을 막는다. 가드브레이크가 없으면 무난하게 방어가 가능하며, 일부 공격은 가드브레이크되어 경직만 당하고 대미지를 입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가드가 아예 불가능한 공격도 있다. 근접 공격은 타이밍에 맞춰 가드할 경우 카운터 가드가 발동하여 적을 강경직시킨다. 참고로 캐릭터 별로 마법진의 크기가 달라서 성능이 묘하게 다르다. 이동+모으기 전용 스킬은 캐스팅이 완료되면 X키를 누르는 것으로 마력 스톡이 가능하다. 캐스팅을 일정시간동안 저장해 뒀다가 다른 통상행동을 하다가도 캐스팅 없이 바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X(적의 앞으로 텔레포트) / ↓+X(적의 뒤로 텔레포트) : 적과 근접한 상태일 때, 커맨드에 맞는 방향으로 텔레포트하여 적과 초근접 상태가 된다. 사용하면 순간적으로 무적이 부여되고 마력 소모량이 별로 크지 않아서 연타해서 사용하면 사기적인 성능을 보여준다.

XX(부스트 가드) : 전방위로 마력장을 펼쳐서 적의 공격을 방어한다. 통상 가드보다 성능이 우월해서 어지간한 스킬은 경직조차 당하지 않고, 일부 필살기도 막는 것이 가능하고 부스트 대쉬 어택을 카운터 가드 할 수 있는 등 여러모로 사기. 다만 마력 소모가 말도 안되게 심한게 단점.

X + C(마력 스파크) : 피격 도중에도 사용이 가능한 마력 스파크 공격을 한다. 마력 부스트 게이지와 마력을 일정 소모하여 순간적으로 무적이 되고 근접한 적들에게 중경직과 약간의 피해를 입힌다. 피격 도중 사용 가능해서 마력 부스트를 소모하는 리스크가 있음에도 은근히 자주 발동할 수 있어서 게임 모드에서 피격 중 발동 가능여부를 ON/OFF 설정이 가능하다. OFF로 설정해도 나름 쓸만한데, 적에게 중경직을 주는 기술 중
딜레이가 가장 짧기 때문. 그리고 발동속도가 빨라서 피하기도 힘들다.[3]
C(대쉬, 스텝, 경직해제) : 기본적인 커맨드는 방향키와 같이 입력하여 통상 이동을 가능케하며, 그 외에도 넉백이나 카운터 가드에 의해 경직된 직후, 타이밍을 잘 맞춰 누르면 경직을 해제하는 기능이 있다. 적과 근접한 상태일 때 방향키와 함께 누르면 해당 방향으로 스텝하여 날아간다.

CC(부스트 대쉬) : 초고속 대쉬를 시전. 방향키와 함께 누르면 해당 방향으로 시전되며, 방향키 없이 시전하면 타겟의 방향으로 대쉬한다. 대쉬 중 방향키를 두번 연타하는 것으로 방향을 꺾어 대쉬하는 것이 가능하다.

CCA(부스트 대쉬 어택) : 방향키 없이 부스트 대쉬 중 A키를 추가입력하면 타겟을 향해 중경직이 있는 근접 공격을 한다. 판정이 좋기 때문에 텔레포트 외의 방법으로 회피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이외의 방법으로는 반격기를 사용하거나 특수 커맨드로 반격해야한다.

S : 제자리에서 단독 사용 시 마력 회복 커맨드이며, 다른 키와 조합하여 후술될 커맨드로 사용된다.
S + A(스킬1) : 원거리 캐릭터는 일반적으로 다중 유도마력탄, 근거리 캐릭터는 일반적으로 돌진형 잡기가 할당된다.
S + Z(스킬2) : 거의 대부분의 캐릭터에 원거리형 스킬이 할당된다.
S + X(스킬3) : 보조 스킬이 들어오는 경우가 많으며, 방어형 스킬, 흡수형 스킬, 반격형 스킬, 군중제어형 스킬, 무거리형 스킬 등 다양한 전투 보조수단이 될 스킬들이 할당된다.
S + C(마력 부스트) : 빨간색의 부스트 게이지가 전부 찼을 때 사용하면, 마력 부스트 모션을 취하며 해당 시간 동안 무적이 된다. 모션이 끝나면 게이지가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게이지가 전부 닳으면 마력 부스트가 종료된다. 마력 부스트 동안에는 캐릭터가 대폭 강화되는데, 이동속도, 공격속도, 근접공격 횟수, 원거리 공격 횟수가 증가하고 스킬 쿨타임이 감소하며 마력이 무한이 된다. 그리고 부스트 게이지가 끝나기 전에, 후술할 필살기 커맨드를 입력하면 남은 마력 부스트 게이지를 모두 소모하고 필살기 발동이 가능하다.
S + C + A(오의1) : 마력 부스트 발동 시 상시 사용 가능한 필살기로, 사용하면 오랫 동안 캐스팅이 필요한 각자의 필살기를 발동. 캐스팅 중에는 HP제한이 있는 배리어[4]에 의해 보호받는다. 캐릭터 별로 성능이 제각각인데 최종버전인 1.70+ 기준 쓸만한 필살기를 가진 캐릭터가 거의 없고, 배리어 제한도 거의 대부분의 캐릭터가 낭낭하게 부술 수 있거나 아예 역관광이 가능한 경우[5]도 많아 넷플 시에는 사실상 봉인기다.
S + C + Z(오의2) : 마력 부스트 발동 + 남은 HP가 1줄(빨간색) 일 때만 사용 가능한 필살기로, 오의1과 달리 기본적으로 적을 묶는 마력탄[6] 하나를 발사한다. 마력탄에 피격된 적은 홀딩되고 이후 오의1처럼 캐스팅을 시작, 캐스팅이 완료되면 적은 필살기에 직격당하여 전 캐릭터 동일 400의 피해(3칸)를 입힌다. 발동 조건이 까다롭지만 일부 캐릭터는 시전 속도가 빨라서 확정 콤보가 가능한 경우도 있고 적어도 대부분의 SCA 보다는 유용하다.

2.2. 모드

파일:attachment/d0009256_495cda5425d48.jpg

스토리모드, 대전모드, 연습모드, 미션, 서바이벌, 넷플레이가 가능하다.

3. 캐릭터

캐릭터 타입에 따라 원거리 포격형, 중거리 만능형, 근거리 격투형, 원거리 특수형, 근거리 특수형, 무거리 섬멸형으로 분류된다.

최종 버전인 1.70+ 기준으로 총 18개의 캐릭터가 존재한다.

타입 별로 원거리/근거리 기본 공격 횟수와 이동속도, 마력 소모량, 일부 공용기의 공격력 등이 다르긴 한데, 중요한 스텟인 이동속도와 마력 소모량은 차이가 체감이 잘 안 돼서 타입별로 상성을 만들어낼 정도는 안된다.

3.1. 원거리 포격형

원거리 포격형은 A차지 사용 불가능, A+Z 사용 불가능 등으로 인해 근접 콤보가 단순하고 약한 것이 단점이지만, Z평타의 유도력이 높고 Z차지 사용가능, 이동하며 Z 사용 가능[7]등 Z평타 쪽에 기믹이 쏠려있고 스킬셋도 원거리 위주, 빠른 발동, 높은 유도력과 직관성 덕분에 적과 거리를 벌려가며 원거리에서 쉴 틈 없이 견제를 할 수 있는 타입이다. 즉, 콤보 대미지는 그리 높지 않아도 기회잡기가 쉬운 타입이라고 볼 수 있다.
  • 물리 통상기 : 3콤보. 마력 개방시 5콤보. 첫타는 빠르지만 두번째부터 느리다.

거의 체감되지 않는 사항이지만 기본 이동속도가 느린 대신 마력 소모가 가장 적다.

3.1.1. 타카마치 나노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매지컬 배틀 아레나/타카마치 나노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매지컬 배틀 아레나/타카마치 나노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매지컬 배틀 아레나/타카마치 나노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호시소라 사라라

파일:external/i86.photobucket.com/cha02_1.jpg

비상 시스템의 자체제작 게임인 19금 야겜 마법소녀 키라라와 사라라(OP)에서 출전. 이 작품 때문에 마법소녀 키라라와 사라라는 권리가 꼬여서(매지컬 배틀 아레나의 권리를 영역ZERO에 넘겨주면서 동시에 키라라와 사라라의 권리도 함께...)제작이 중단되어 버렸다(...).

변신 전 사라라는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타카마치 나노하와 닮았다.

사용하는 무기는 테이레웨인 안 토스.
  • 마력기술 1:퓨론 전개
자신의 주위에 테이레웨인에 장비 되어있는 퓨론을 전개한다. 마력기술 트리거+통상 공격 키(S A)로 상대를 향해 발사한다. 연속 2회 입력으로 전퓨론을 일제히 발사.
  • 마력기술 2:창월의 광망(루나·블래스터) ※GB※모으기 가능
다단 히트의 원거리 빔을 발사. 모으면 사정거리, 위력증가. (단 제로 거리에서 발사 하는 경우 안맞으니 주의! )
  • 마력기술 3:별의 숨결 ※모으기 전용
마력기술을 포함한 정면에서의 공격을 모두 가드한뒤, 그 위력의 반을 자신의 체력으로 변환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1:창월의 광륜탄(루나·플레어) ※GB
전방으로 강력한 빔을 발한다. 거기에 빔의 끝부분으로부터 무수한 화살이 확산되어 상대방에게 쏟아진다.
  • 마력 버스트 기술 2:영원의 정(링크) ~ 열광창월광륜탄
키라라가 발한 열광의 충격을 퓨론으로 받아, 거기에 창월의 광륜탄의 위력을 추가해 발하는 협동기.

3.1.3. 노웰 디아스타시스

파일:external/yaonicomic.com/shdnpfrns.jpg

루루와 마찬가지로 오리지날 캐릭터로 스토리 모드의 최종보스.

원거리 포격형 캐릭터.

사용하는 무기는 퀴리 오크 레이스.
  • 마력기술 1:그라비티 마인 ※모으기 가능
자신의 주위에 마력탄을 전개한다. 마력기술 트리거+통상 공격 키(S A)로 상대방을 향해 발사한다. 연속 2회 입력으로 전탄을 일제히 발사.
  • 마력기술 2:디 메이 션·스웰 ※GB※모으기 가능
다단 히트의 원거리 빔을 발사. 모으면 사정거리, 위력증가.
  • 마력기술 3:디스토션 바인드 ※모으기 전용
마법진으로 상대를 구속해, 움직임을 봉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1:디 메이 션·브레이커 ※GB
상공의 4개소로부터 거대한 빔을 하부로 향해 발사, 대폭발시켜 단숨에 적을 섬멸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2:디 메이 션·미라쥬
차원을 이동하면서 상대를 여러 차례 베어 찢는다. 자신도 다소의 데미지를 받는다.

3.1.4. 가제트 드론 1타입

파일:external/i226.photobucket.com/gajet.jpg

리리컬 팩에서 추가된 캐릭터다.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StrikerS에 나오는 그 가제트 드론이다(...).

원거리 포격형 캐릭터.

사용하는 무기는 없음.
  • 마력기술 1 : 코드 바인드
상대에게 돌진하여 전선(기계의 손)으로 상대를 끌어안고서 조른다.
  • 마력기술 2 : 레이저 ※GB※모으기가능
다단 히트의 원거리 빔을 발사. 모으면 사정거리, 위력증가.
  • 마력기술 3 : 없음
  • 마력 버스트 기술 1 : 없음
  • 마력 버스트 기술 2 : 없음

3.1.5. 타카마치 나노하 Ver. StS

파일:external/i226.photobucket.com/nanohasts.jpg

리리컬 팩에서 추가된 캐릭터다.

사용 무기: 레이징 하트·엑셀리온
  • 마력 기술 1 : A.C.S 드라이브
엑셀리온 모드를 전개해, 상대를 꿰뚫어 버린다.
  • 마력 기술 2 : 디바인 버스터·익스텐션 ※GB
다단 히트의 원거리 빔을 발사. 원래의 타카마치 나노하(기본 캐릭터)의 디바인 버스터와는 달리 기를 모을 수 없다.
디바인 버스터·익스텐션(마력기술 2)의 공격력을 올려준다.(총 3단계 까지 있고, 단계가 높아질수록 데미지가 커진다. 단, 쓸 때 마다 체력이 급격히 줄어든다.)
자신을 블래스터 3 상태가 아닌경우 블래스터 3상태로 만든 후에 스타라이트 브레이커를 5군데에서(나노하 자신이 쓰는 것 포함) 포격한다. 폭발 범위가 매우 넓다.
상대를 바인드로 묶어 직접적인 포격(크로스 파이어)을 2번 가한다.

3.2. 중거리 만능형

중거리 만능형 이라는 이름 답게, 근거리 캐릭터의 기믹을 전부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원거리 견제도 나름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원거리 포격형의 아이덴티티인 Z차지가 불가능하고 이동하며 Z 발사가 불가능한 것을 제외하면 모든 기믹을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원거리 포격형과 근거리 격투형은 스킬셋이 기본적으로 정해져있는데 반해 중거리 만능형은 분류 내에서는 딱히 이렇다할 틀이 없다. 캐릭터들 개성이 강한 편. 운용자 실력에 따라 사기캐릭터가 될 수도, 잉여 캐릭터가 될 수도 있는 분류이다.

거의 체감되지 않는 사항이지만, 타입별로 이동속도와 마력소모가 다른데 중거리 만능형은 이 스텟이 평균치이다.

3.2.1. 페이트 테스타로사

사용하는 무기는 바르디슈 어설트.

전체적으로 빠른 발동속도를 지닌 평타와 기술들을 지녔으며 기동력도 높다. 소닉폼이라는 능력변화 기술이 있기때문에 패턴을 다양화 할수 있는것도 장점.
  • 물리 통상기 : 5콤보. 첫타 발동이 느리지만 그다음부터는 빠르다. 소닉폼이나 각성시 7콤보. 소닉폼+각성시 10콤보.
  • 사격 통상기 : 3콤보. 마력 개방시 5콤보. 묘하게 명중률이 낮다. 소닉폼 시에는 1콤보, 소닉폼+각성시는 3콤보이다. 포톤 랜서
  • 마력기술 1 : 플라즈마 랜서(차지 가능)

플라즈마 랜서! 파이어! 턴!

8-16 히트. 위력 48-96. 차지 3초. 쿨타임 3초(소닉폼시 3.5초)

복수의 마력탄을 대상에게 발사한다. 기본 8발 차지시 16발. 발사후 키 입력을 함으로써 궤도를 수정할수 있다(최대2회). 궤도수정을 안하면 명중률은 낮다. 코스트에 비해서 데미지가 좋은편이고 궤도만 잘 수정할수 있으면 든든한 견제기가 된다.
  • 마력기술 2 : 하켄 세이버(차지가능)

하켄 세이버!

1히트. 위력 53. 차지 3초. 쿨타임 3.5초(소닉폼시 3초)

빠르게 쓸수있는 폭발형 기술. 차지시 사정거리가 늘어난다. 기본적으로 유도형이며 폭발형이기때문에 가드를 부술수 있다. 근접에서도 쓰기 편하며 소닉폼시 쿨타임이 줄어들어 주력이 소닉폼이라면 꽤나 강력한 기술. 일단 가드로써 막을수는 있지만 경직을 줄수있기에 잘 안보이는곳에서 쏴주는게 최고.
  • 마력기술 3 : 소닉폼

배리어 자켓 소닉 폼

쿨타임 10초(소닉폼시 4.5초)

마력기술 장전속도 변화, 물리 공격기 변화, 이동속도 증가, 가드시 마나소모 2배증가. 말그대로 근접 캐릭터로 바꾸는 기술. 지속시간은 무제한이기때문에 원하는대로 패턴을 만들어가면서 싸우면 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1 : 플라즈마 잔버 브레이커

뇌전 일섬! 플라즈마 잔버!! 브레이커!!

위력 225. 영창시간 5.5초 . 배리어 내구도 120.

스타 라이트 브레이커와 거의 같은 기술. 다만 폭발범위가 이쪽이 좀더 넓고 영창시간이나 배리어 내구도 쪽이 이득. 같은 느낌으로 쓰면 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2 : 제트 잔버

공격해 뇌신! 제트잔버

위력 300

목표에게 바인드를 걸고 일도양단 하는 기술. 바인드의 사정거리는 차지 하켄 슬래시보다 조금 짧다.

마력 개방시 대사 : 잔버폼 드라이브 이그니션

가드 대사 : 라운드 실드

차지 물리 공격 대사 : 하켄 슬래시

순간이동 대사 : 소닉 무브

3.2.2. 리나 인버스

슬레이어즈리나 인버스다.

사용하는 무기는 숏 소드.
폭발 효과가 있는 화구를 내던진다. 착탄전에 마력기술 트리거+통상 공격 키(S A) 재입력으로 도중에 폭발시키는 것이 가능.
가브의 힘을 담은 화룡을 발사한다.
  • 마력기술 3:빙굴조(반·레일) ※GB※모으기 전용
근접기술. 상대를 얼게 해 잠시 동안 움직임을 봉한다.
폭발 효과가 있는 포격 마법. 발동까지의 시간이 긴 반면, 폭발 범위는 지극히 넓다.
어둠의 칼날을 낳아, 상대를 베어 찢는다.

3.2.3. 서펜트의 나가

슬레이어즈서펜트의 나가다.

사용하는 무기는 롱 소드.
얼음의 덩어리를 내던져 히트 한 상대를 중심으로, 주위의 공간을 단번에 동결시킨다.
사정이 짧은 분탄속의 빠른 빔계 마법.
무거리 공격, 상대의 발밑에 마법진을 그려 위에서 번개를 쏟아지게 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1:석 황주(메가=브라이마) ※GB
거대한 골렘을 만들어내 상대를 공격시킨다. 여담이지만 소환마법에 적성은 뛰어난데 뭔가 나사 풀려서 제어를 안한다는 원작설정을 반영한 탓에, 골렘이 제멋대로 움직이다가 나가를 밟는다.(...)
  • 마력 버스트 기술 2:큰 웃음
상대의 목전에서 계속 오로지 웃는다.

3.2.4. 페이트 테스타로사 하라오운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 StrikerS 버전 페이트다.

3.2.5. 마법기사

마법기사 레이어스에서 왔다. 시도우 히카루, 류자키 우미, 호우오우지 후가 나왔다.

3.3. 근거리 격투형

근거리 격투형은 Z평타가 1발밖에 되지 않는데다 유도력마저 처참해 사실상 봉인기[8]라는 뼈아픈 단점이 있다. 남는게 근접 공격뿐인데 카운터가드 당하면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근거리 격투형만의 장점은 무시무시한 콤보 데미지로, 평타 한방만 맞추는 데 성공하면 못해도 1줄을 기본으로 빼버리며 캐릭터에 따라 1.5줄까지도 빼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게임은 원거리 공격은 성능이 너무나도 구려서 견제기로밖에 사용되지 않고 모든 콤보의 시동이 A평타인 것을 감안하면 리스크만큼 리턴이 큰 타입이라고 볼 수 있다.

체감되지 않는 사항이지만 이동속도가 가장 빠른 대신, 전반적인 마력 소모도 크다.

3.3.1. 키노모토 사쿠라

카드캡터 사쿠라키노모토 사쿠라다.

사용하는 무기는 별의 지팡이.

사격기술이 매우 안좋다. 근접전위주로 나가는게 기본. 적과 똑같이 변신해서 여러가지 트리키한 상황을 만들수도 있고 폭발형 추격기도 있고..
  • 물리 통상기 : 7콤보. 마력 개방시 10콤보. 수직으로 자르는 모션이 많아서 고저차에 의해 빗나가는 일은 적다. 격투형답게 매우 빠르다. 사용카드는 소드(..) 앞으로 전진하면서 베는데 전진거리가 좀 있는편이라 맞추기가 쉽다. 리치도 생각보다 긴편.
  • 사격 통상기 : 1콤보. 마력 개방시 3콤보. 없는셈 치자. 사용카드는 애로우.

파이트!

16히트. 위력 60. 쿨타임 6초

일종의 돌진잡기 기술. 상대의 저스트 가드에 막히므로 사각을 노리는게 좋다. 발동이 빠른편이니 웬만해선 못막겠지만 대놓고 쓰진 말자.

부탁해요 카드씨 힘을 빌려주세요. 파이어리!

1히트. 위력 75. 차지 3초. 쿨타임 3초.

유도성능이 높은 기술. 마력스톡 대응기술이라 영창하고 스톡에 저장하고 쓰는것도 가능. 사정거리는 그렇게 길진 않다.

미러!

쿨타임 5초. 지속 15초

상대로 변신한다. 상대의 기술을 모두 사용할수 있으며 기가 있다면 마력 버스트 기술도 사용가능.

사쿠라의 이름으로 명한다. 상상이여 현실의 물건이 되어라. 크리에이트!

위력 90. 영창시간 7초. 배리어 내구 120

펭귄 미끄럼틀을 마구 소환한다. 랜덤이기때문에 데미지는 제대로 들어가지 않는다. 장점이라면 상대가 어디 있어도 사정거리가 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2 : 사쿠라의 이름아래

윈디! 괜찮아. 모두가 있는 곳으로 가자.. 낡은 모습을 벗어버리고 다시 태어나라. 새로운 주인, 사쿠라의 이름아래!

위력 300

윈디를 날린다음 카드로 봉인한다. 윈디는 꽤 긴거리 까지 날아간다.

가드 대사 : 실드

차지 물리 통상기 대사 : 윈디

마력 개방시 대사 : 절대로 괜찮을꺼야.

기상시 대사 : 절대로 포기하지 않을꺼야.

피격시 대사 : 호에~! 이거 들은 사쿠라 팬들은 모에사

3.3.2. 호시소라 키라라

파일:external/i86.photobucket.com/cha01_1.jpg

비상 시스템의 자체제작 게임인 19금 야겜 마법소녀 키라라와 사라라에서 출전. 이 작품 때문에 마법소녀 키라라와 사라라는 권리가 꼬여서(매지컬 배틀 아레나의 권리를 영역ZERO에 넘겨주면서 동시에 키라라와 사라라의 권리도 함께...)제작이 중단되어 버렸다(...).

사용하는 무기는 듀나미스케일 듀오.
  • 물리 통상기 : 7콤보. 마력개방시 10콤보. 사쿠라와는 다르게 주먹질이라 리치가 짧은편. 물론 전진거리가 있긴 하지만.. 수직범위가 좁아서 고저차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속도는 빠른편.
  • 사격 통상기 : 1콤보. 마력개방시 3콤보. 후딜레이가 상당해서 쓰지 않는걸 추천.
  • 마력기술 1 : 성광의 궤적(메테오 오빗트)

간다! 메테오 오빗트!

12 히트. 위력 60. 쿨타임 6

신검 프텔류크스를 들고 상대방에게 돌진하여 빠르게 베어냅니다. 돌진계 기술이니 만큼 저스트 가드로 막히니까 주의. 모습이 사라지는 동안에 무적판정. 사쿠라의 파이트보다 발동이 느린편.
  • 마력기술 2 : 열광의 충격(메테오 임팩트)(차지가능)

하앗! 노바 임팩트! (더블!)

1-2히트. 위력 45-90. 차지 3초. 쿨타임 3초

목표에게 폭발하는 적색의 탄환을 쏜다. 유도기능이 있고 맞추면 다운이 되며 편하게 쓸수 있어서 매우 좋다. 차지하는 시간이 길어서 굳이 차지 안해도 굉장히 활용도가 높다.
  • 마력기술 3 : 열광반전충(차지가능)

(진)열광! 반전충!

1히트. 위력 52.5 . 차지 4초. 쿨타임 4.5초 . 지속시간 1.5초

반격기. 차지를 안하면 정면에서의 물리,사격 통상기를 반격가능. 차지시 마력 버스트 기술을 제외한 모든 기술을 전방위에서 반격가능. 반격이 발동하면 무조건 히트하는게 강점. 부스트 대시 공격이나 차지 공격류는 발동이 느리니 노려서 쓰면 매우 좋다. 다만 차지시간이 길어서 어떻게 몰아붙일지가 활용의 쟁점.
  • 마력 버스트 기술 1 : 성광의 충격 (메테오 임팩트)

이것으로 전부 끝내겠어! 메테오 임팩트!

위력 105. 영창시간 4초. 배리어 내구 70.

화력은 낮지만 다운시나 가드시 데미지 감쇄를 무시한다. 사정거리는 특수기술을 제외하고 최장거리. 게다가 상쇄기능이 끝장나는편. 다만 유도기능이 없고 배리어 내구도가 낮아서 조심. 효과 범위는 넓으니 중거리 정도 거리유지하고 쓰는게 베스트.
  • 마력 버스트 기술 2 : 영원의 정(링크) 진 창월열광 반전충

가자! 키라쨩. OK 사라쨩. 링크! 루나 플레어! 진 창월열광 반전충!

위력 300

목표에게 사라라가 사격을 날리고 그게 맞으면 개시. 작품에는 없는 오리지널 기술.

3.3.3. 루루 제라드

파일:external/i226.photobucket.com/ruru.jpg

오리지날 캐릭터다.

사용하는 무기는 에스칼 드릴.
  • 마력기술 1:드릴 스톰 콤비네이션
상대를 향해 돌진 후, 연속으로 날리기 공격을 행한다.
  • 마력기술 2:드릴 미사일 풀 파이어 ※GB※모으기 가능
드릴 미사일을 복수로 동시에 발사한다. 모으는 것으로 탄수가 증가.
  • 마력기술 3:드리코프타 ※모으기 가능
정면에서의 통상 공격을 가드한 뒤, 상대를 머리 위로 들어올려 드릴로 돌리는 카운터기술. 모으는 것으로 공격이 추가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1:드릴 플레어 폭탄 ※GB
주위에 거대한 드릴을 몰아 원주장에 폭발시킨다.
  • 마력 버스트 기술 2:스파이럴 분쇄기
머리에 거대한 드릴을 장착, 그대로 돌진한다.

3.3.4. 비타

파일:external/x0a.xanga.com/b170078784.jpg

리리컬 팩에서 추가된 캐릭터다.
근거리 격투형 캐릭터.

사용하는 무기는 그라프 아이젠.
  • 마력기술 1 : 라케-텐 해머
상대를 향해 돌진 후, 상대를 때려 날려버린다. 가까이에서 시전시 최대 2타.
  • 마력기술 2 : 슈발베 프리겐 ※모으기 가능
쇠 공 4개를 상대에게 때려 날린다. (풀 차지 시에는 8개.)
  • 마력기술 3 : 아이젠 게호일
근접 공격. 소음 파장으로 상대에게 대미지를 주고, 상대의 타겟 표시를 지우며, 상대 화면을 잠시 하얗게 만든다 그리고 일정 시간 동안 경직시킨다.
  • 마력 버스트 기술 1 : 기간트 슈라크 ※GB
망치(그라프 아이젠)를 기간트 폼 모드로 전개, 상대를 최대 2번 근접 타격 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2 : 분노의 라케-텐 해머 (나노하 A.S 1화에서 나노하 VS 비타에서 나온 장면)
상대에게 쇠 공을 때려 넣은 후 상대에게 마력탄을 맞아 모자가 떨어지는 상황극이 벌어지고, 상대에게 달려가 라케-텐 해머로 배리어를 관통 후, 라케-텐 해머로 상대를 때려 날려버린다.

※차지 마력탄은 사용 불가능한 캐릭터.

3.4. 원거리 특수형

원거리 특수형은 원거리 포격형의 스킬셋을 공유하지는 않지만, 평타 횟수나 충전 기믹, 이동속도, 마력 소모량 등 일부 원거리 포격형의 기믹을 공유한다.

3.4.1. 쿠쿠리

마법진 구루구루쿠쿠리다.

사용하는 무기는 마법진의 지팡이.
딸기를 본뜬 포대를 소환해, 딸기형의 「딸기 폭탄」을 연사 한다.
쁘띠 혹성을 소환, 부근의 적을 빨아들이다가 부딪히면 폭발한다.
긴 울음 소리의 고양이를 소환, 부근의 상대의 MP게이지와 마력기술 게이지를 리셋, 거기에 덧붙여 마력 게이지를 감소시킨다. 가끔씩 북북노인(괴상한 춤추는 노인탱커)이 나타나기도 하는 데 효과는 긴 울음 소리의 고양이와 같고 또한 상대의 체력까지 떨어 뜨리나, 자신의 캐릭터도 체력이 깎이고 행동불가 상태가 된다.
  • 마력 버스트 기술 1:뱀뱀 ※GB
뱀뱀을 소환, 주위에 번개의 폭풍우를 쏟아지게 한다. (일정한 거리에서 타격시 상대방을 한 번에 K.O. 시킴)
  • 마력 버스트 기술 2:연모하는 하트
상대의 머리 위에 구상 마법진을 그려, 봉인한다.

※차지 마력탄은 사용 불가능한 캐릭터.

3.4.2. 야가미 하야테

파일:external/x6e.xanga.com/b170078770.jpg
리리컬 팩에서 추가된 캐릭터다.

원거리 특수형 캐릭터.

사용하는 무기는 슈베르트 크로이츠 / 야천의 서.
4개의 얼음 큐브를 상대에게 날린다.폭발 범위 넓음. 타격시 빙결 효과.
S Z 키를 누르고 영창이 시작된 시점에서 Z키를 떼고 S만을 누르고 있다가 게이지가 다찬 후에 S를 누른 상태에서 Z를 눌러 주면 따로 한 칸씩 포격을 쓸수있다( 총 5번. 중간에 S키를 떼면 남은 포격을 전부 날린다.). 보통 포격시 5개의 포격을 동시에 날린다. 폭발 범위 넓음.
검은 구체를 소환, 적 머리 위에서 은월의 창을 날린다. 타격시 석화 효과.
거대한 어둠을 만들어 폭파시킨다. 폭발 범위가 매우 크다.
  • 마력 버스트 기술 2 : 트리플 브레이커(나노하 A.S 마지막 화에 나온 장면)
나노하의 스타라이트 브레이커, 페이트의 플라즈마 잔버 브레이커, 하야테의 라그나뢰크 브레이커- 3개의 포격을 상대에게 날려 폭파시킨다.

※날려버려 기술, 추적 부스터 대쉬는 불가능한 캐릭터.

3.5. 근거리 특수형

근거리 특수형은 원거리 포격형의 스킬셋을 공유하지는 않지만, 평타 횟수나 대미지, 이동속도, 마력 소모량 등 일부 근거리 격투형의 기믹을 공유한다.

3.5.1. 북북노인

마법진 구루구루북북노인이다.

3.6. 무거리 섬멸형

금색의 마왕만을 위한 특별 분류이다.

3.6.1. 금색의 마왕


[1] 최신작인 NEXT에서는 아멜리아 윌 테슬라 세이룬도 등장한다. 사용 필살기는 라 틸트평화주의자 크러시. 리나는 기가 슬레이브(EVOLUTION-R 버전)가 추가됐으며 나노하는 극장판 A's 시공 기준. 참고로 어느 시리즈에서는 타나카 푸니에도 등장하고 있다.[2] 예를 들어 운동장 맵에서 리나 인버스로 SCA를 발동하면 부스트 가드가 없는 시절에는 회피법은 한 가지였다. 발동을 자기 방향으로 오지 않게끔 최대한 구석으로 몰고, 직후 폭발을 대쉬해서 벗어나는 것이다. 그런데 프리타겟을 하면 시전자가 타겟을 바라보며 발사하지 않고 그냥 맵 한가운데에다 폭발을 시켜버릴테니 이 방법이 먹히지 않는다.[3] 예시로 나노하StS는 XC+SCZ가 확콤이라, CC+XC+SCZ를 써버리면 저항 못하고 당하는 경우가 많다.[4] 배리어의 HP는 캐릭터 별로 다르다.[5] 예를 들어 야가미 하야테의 경우 배리어를 S+Z(흐레스 벨그) 5히트의 직격 대미지로 뚫어버리고 5히트의 폭발 대미지로 본체를 녹여버린다.[6] 마력탄 판정이 아닌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나노하StS는 무거리 바인딩을 시전.[7] C를 누르는 대쉬가 아닌 통상 이동을 하면서 Z 발사가 가능한데, 일반적으로 선후딜이 줄어든다.[8] 피 1 남은 적 상대로 굴욕기로 쓰는 경우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