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cc800>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5 시즌 투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 카터 스튜어트 · 10 우와사와 나오유키 · 11 츠모리 유키 · 13 하마구치 하루히로 · 14 마타요시 카츠키 · 16 히가시하마 나오 · 17 아리하라 코헤이 · 18 다케다 쇼타 · 20 무라카미 타이토 · 26 오츠 료스케 · 27 이와이 슌스케 · 28 안토쿠 슌 · 34 무라타 켄이치 · 35 리반 모이넬로 · 39 오가타 슈토 · 40 스기야마 카즈키 · 41 마에다 유고 · 42 이토 유스케 · 47 오제키 토모히사 · 48 후지이 코야 · 49 마츠모토 하루 · 50 반도 유고 · 51 마에다 준 · 53 오야마 료 · 54 로베르토 오수나 · 56 타우라 후미마루 · 58 키무라 타이세이 · 59 하세가와 타케히로 · 60 오노 카즈오 · 63 다윈즌 에르난데스 · 64 가미차타니 다이가 · 66 마츠모토 유키 · 68 키무라 히카루 · 69 이와사키 슌스케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51번 | ||||
우에바야시 세이지 (2014~2023) | → | 마에다 준 (2024~) | → | 현역 |
<colbgcolor=#fcc800><colcolor=#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51 | |
마에다 준 [ruby(前田, ruby=まえだ)] [ruby(純, ruby=じゅん)] | Jun Maeda | |
출생 | 2000년 6월 4일 ([age(2000-06-04)]세) |
오키나와현 오키나와시 | |
국적 |
|
학력 | 오키나와 현립 중부 상업 고등학교 - 일본문리대학 |
신체 | 189cm | 88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22년 육성선수 드래프트 10순위 (소프트뱅크) |
소속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3~) |
등장곡 | かりゆし58 - 〈まっとーばー〉 Teechi - 〈伝えたいこと〉 |
연봉 | 2025 / ¥7,500,000 |
|
1. 개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소속 좌완 투수.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
고등학교 졸업 후 일본문리대학에 진학했다. 대학교 2학년까지 느린 구속 때문에 1경기도 출전하지 못했지만 투수 코치와 장신의 키를 살린 투구폼으로 투구폼 교정을 하면서 3학년 봄에는 명단에 포함되었다. 4학년 봄에 대학교 첫 등판을 가졌으며 그 해 가을에는 리그 베스트 나인에 포함되었다.
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등번호는 167번을 배정받았다.
2.2.1. 2023 시즌
3,4군 경기에 주로 등판했으며 시즌 최종 성적은 27경기에 등판해서 113이닝 11승 4패 1세이브 ERA 3.03을 기록했다. 2군에서는 1경기에 등판해서 4⅓이닝 0승 1패 2피안 3볼넷 6K ERA 4.15 WHIP 1.15의 성적을 기록했다.2.2.2. 2024 시즌
지난 시즌 3,4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에 2군에서 시즌을 맞이했다. 5월 6일 쿠후 하야테와의 경기에서 2군 첫 완투승이자 완봉승을 기록했다. 5월 2군에서 2경기 선발 등판해서 2승 0패 ERA 0.00을 기록하면서 5월 팜 MVP를 수상했다.7월에 열린 NPB의 2군 올스타전인 프레시 올스타전 멤버로 선발되었으나 해당 경기에서 1이닝 4실점을 기록하며 부진했다.
7월 23일까지 2군에서 12경기 7승 1패 ERA 1.46이라는 매우 뛰어난 성적을 기록하면서 7월 24일에 정식 선수로 전환되었고 등번호는 51번을 배정받았다.
2군에서 최종 성적은 19경기 106⅓이닝 10승 4패 84피안타(3피홈런) 30볼넷 74K ERA 1.95 WHIP 1.07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평균자책점은 웨스턴 리그 전체 2위를 기록했으며 승리는 주니치 드래곤즈 소속의 마츠키히라 유타와 공동 1위를 기록했다.
소프트뱅크가 퍼시픽 리그 우승을 확정 짓고 난 후에 1군에 콜업되었다.
9월 29일 닛폰햄과의 경기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며 데뷔전을 치뤘다. 데뷔전에서 6이닝 3피안타 무사사구 5K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QS를 기록했고 팀이 승리를 거두면서 데뷔전에서 데뷔 첫 승을 거두었다. 또한 이 승리로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하위 라운더 승리 투수 기록을 보유하게 되었다.
시즌 종료 후 NPB AWARDS에서는 웨스턴 리그의 우수 선수상을 수상했으며 일본의 스포츠 신문 회사인 스포츠닛폰이 선정한 신인상을 수상했다.
2.2.3. 2025 시즌
시즌 시작 전부터 1군 선발 투수 후보로 주목을 받았으며 오픈전에서 3경기 15이닝 0승 1패 9피안타 4사사구 9K ERA 0.60 WHIP 0.80이라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면서 개막 선발 로테이션에 합류하는데 성공했다.4월 2일 닛폰햄과의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4⅓이 4피안타 1볼넷 1K 1실점을 기록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4월 10일 오릭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5이닝 5피안타(1피홈런) 1볼넷 1K 1실점을 기록하면서 ND를 기록했다.
4월 17일 라쿠텐과의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6이닝 4피안타 2볼넷 5K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시즌 첫 QS를 달성함과 동시에 승리 투수 요건을 달성했다. 그러나 9회 초에 로베르토 오수나가 블론을 저지르면서 시즌 첫 승 달성에는 실패했다.
3. 플레이 스타일
최고 145km/h, 평균 140km/h대 초반의 포심 패스트볼을 구사하는 좌완 기교파 투수이다. 공의 구속 자체는 빠르지 않지만 큰 키에서 찍어 누르는 높은 타점과 투구폼의 디셉션이 좋아 타자들이 느끼는 체감 구속이 좋으며 공의 구위 또한 좋은 편이라 장타를 많이 허용하지 않는다.변화구로는 평균 110km/h대 초중반의 커브볼과 평균 120km/h대 초중반의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커브볼은 낙차폭이 매우 크다는 장점이 있고 체인지업은 한 번 멈췄다가 오는 듯한 움직임을 띄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4. 연도별 성적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승 | 패 | 세 | 홀 | 이닝 | ERA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WHIP |
2023 | 소프트뱅크 | 1군 기록 없음 | ||||||||||||
2024 | 1 | 1 | 0 | 0 | 0 | 6 | 0.00 | 3 | 0 | 0 | 0 | 5 | 0.50 | |
NPB 통산 (1시즌) | 1 | 1 | 0 | 0 | 0 | 6 | 0.00 | 3 | 0 | 0 | 0 | 5 | 0.50 |
5. 여담
-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케밥이라고 한다.
- 야구 이외에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는 농구라고 한다.
- 가장 좋아하는 만화는 원피스라고 한다.
- 휴식 시간에는 주로 음악을 듣는다고 한다.
- 브라이스 하퍼의 팬이며 그 이유는 브라이스 하퍼의 홈런이 호쾌하고 멋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타 구단에서 사이가 가장 좋은 선수는 한신 타이거스 소속 투수인 토미다 렌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