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17 13:08:40

마산여자고등학교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창원시 CI_White.svg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남전자고등학교 마산가포고등학교 마산고등학교 마산삼진고등학교
마산여자고등학교 마산용마고등학교 마산제일여자고등학교 마산중앙고등학교
성지여자고등학교 태봉고등학교 합포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colbgcolor=#006633><colcolor=white> 마산여자고등학교
馬山女子高等學校
Masan Girls' High School
파일:마산여고 상징.png
개교 1915년 3월 21일
교장 김희복
교감 도영희
유형 일반고등학교
성별 여자고등학교
운영형태 공립
교목 주목
교화 비비추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고운로 157 (완월동)
관할청 경상남도교육청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연혁
3. 동문4. 여담

1. 개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완월동에 있는 여자고등학교.

2. 역사

2.1. 연혁

  • 1915년 3월 21일: 마산실과고등여학교 설치 인가(수업연한 2년)
  • 1921년 4월 1일: 마산공립고등여학교 인가(수업연한 4년)
  • 1946년 9월 1일: 마산공립여자중학교로 교명 변경(수업연한 6년)
  • 1951년 8월 31일: 마산여자고등학교 설치 인가(수업연한 3년)
  • 1993년 1월 9일: 본관 건물 개축 이전
  • 2005년 11월 9일: 마산여고 역사관 개관
  • 2015년 3월 28일: 100주년 기념식 및 기념관 개관
  • 2015년 12월 11일: 2015 성인권 교육교재개발을 위한 정책 연구학교 운영
  • 2016년 3월 2일: 성인권 교육 정책 연구학교 운영(여성가족부)
  • 2019년 2월 1일: 제96회 졸업식(261명) 졸업생 총원 29,166명
  • 2019년 3월 1일: 제26대 강영호 교장 부임
  • 2019년 3월 4일: 제99회 입학식(188명) 거행
  • 2020년 12월 11일: 고교학점제 학교 환경조성 도입학교 선정(경상남도 교육청)
  • 2022년 3월 1일: 제28대 홍정희 교장 부임

3. 동문

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4. 여담

  • 마산여고에는 일제강점기에 식재된 벚꽃길이 있는데, 고운로(구 산복도로) 확장 당시 몽땅 없어질 뻔 했으나 당시 영부인이던 손명순 여사가 존치 의견을 내놓아서 살아남았다는 뒷이야기가 있다.

[1]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시 헌법재판소장 직무대리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