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고뉴 공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보손 왕조 | |||
정의공 리샤르 | 라울 | 흑색공 위그 1세 | 질베르 | |
<rowcolor=#fff> 로베르 왕조 | 카페 왕조 | |||
오토 | 앙리 1세 | 오토 빌헬름 | 현명공 로베르 1세 | |
<rowcolor=#fff> 카페 왕조 | 카페-부르고뉴 왕조 | |||
앙리 2세 | 노인공 로베르 2세 | 위그 2세 | 적색공 외드 1세 | |
<rowcolor=#fff> 카페-부르고뉴 왕조 | ||||
위그 3세 | 외드 2세 | 위그 4세 | 외드 3세 | |
<rowcolor=#fff> 카페-부르고뉴 왕조 | ||||
위그 5세 | 로베르 3세 | 위그 6세 | 외드 4세 | |
<rowcolor=#fff> 카페-부르고뉴 왕조 |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필리프 1세 | 호담공 필리프 2세 | 용맹공 장 | 선량공 필리프 3세 | |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용담공 샤를 1세 | 부귀공 마리 1세 | 미남공 필리프 4세 | 샤를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막시밀리앙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5세 | 이자벨 | 필리프 6세 | 바보공 샤를 3세 | |
알베르 | ||||
<rowcolor=#fff> 부르봉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루이 1세 | 루이 2세 | 샤를 4세 | 마리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조제프 | 레오폴드 | 프랑수아 | }}}}}}}}} |
<colbgcolor=#FFE0B2><colcolor=#000> 부르고뉴 여공작 마리 드 부르고뉴 Marie de Bourgogne | |
| |
이름 | 마리 드 부르고뉴 (Marie de Bourgogne) |
출생 | 1457년 2월 13일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브라반트 공국 브뤼셀 | |
사망 | 1482년 3월 27일 (향년 25세) |
부르고뉴령 네덜란드 플란데런 백국 위넨데일 성 | |
재위 | 부르고뉴 공국의 여공작 |
1477년 1월 5일 ~ 1482년 3월 27일 | |
배우자 | 막시밀리안 1세 (1477년 결혼) |
자녀 | 펠리페 1세, 마르가레테 |
아버지 | 부르고뉴 공작 샤를 1세[1] |
어머니 | 부르봉의 이자벨[2] |
종교 | 가톨릭 |
1. 개요
부르고뉴 공국의 여공작. 저지대 국가와 프랑슈콩테의 여성 통치자이다.아버지 용담공 샤를이 통치하던 부르고뉴 공국은 부르고뉴 전쟁으로 프랑스 왕국에게 넘어갔으나 명목상으로 부르고뉴 공국의 여공작을 칭했다.[3] 별명은 '부귀공' 또는 '부유공'으로 번역되는 'la Riche'이다. 이외에도 당대 유럽에서 손꼽히게 부유한 부르고뉴 공국의 유일한 상속녀였기에 '황금의 신부'라는 별명으로도 불렸다.
2. 생애
부르고뉴 공작 용담공 샤를의 무남독녀로서 부르고뉴의 유일한 추정상속인이었다. 1477년에 아버지 샤를이 부르고뉴 전쟁 도중에 전사하자 약관의 나이로 아버지의 영토를 상속받았다. 이 당시 부르고뉴 공국, 특히 플란데런을 위시로 한 저지대 국가 일대는 유럽 내에서도 손꼽히게 풍요로운 곳이라 각국의 유력자들은 서로 마리와 결혼해 저지대 국가를 얻기를 원했다.특히 프랑스 왕국 발루아 왕조 본가의 루이 11세는 남성 계승자가 없기 때문에 살리카법을 앞세워 왕자령을 회수한다는 명분으로[4] 부르고뉴를 침공했다. 루이 11세는 저지대 국가의 시민들을 선동하여 당시 7살밖에 안 된 자신의 아들 샤를 8세와의 결혼을 거부한 마리를 겐트 성에 가둬버렸다. 당시 20대였던 마리는 당연히 이 혼담을 거절했고[5], 분노한 루이 11세는 마리를 영원히 성에 가둬 굶겨죽이려 했다. 프랑스의 위협이 목전에 다가왔고 공국 내에서 도와줄 이는 아무도 없게 되자, 보호자가 필요했던 마리는 아버지의 유언대로 아버지 용담공 샤를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겸 오스트리아 대공 프리드리히 3세 간에 자녀의 혼담이 나왔었던 오스트리아 대공에게 도움을 요청했다.[6]
루이 11세는 예전부터 수많은 자원으로 가득한 부유한 알짜배기 땅인 플란데런을 포함한 저지대 국가와 부르고뉴 공국을 탐내고 있었다. 결국 마리는 아버지의 유언을 따라 신성 로마 제국 황제 겸 오스트리아 대공 프리드리히 3세의 아들 막시밀리안 1세에게 심복을 보내 구원을 요청했고, 막시밀리안은 즉시 사비를 털어[7] 용병을 모아 겐트로 가서 마리를 구출한 뒤 그녀와 결혼했다.[8] 이후 막시밀리안은 프랑스의 침공을 막아줬고, 부르고뉴 본토만 프랑스에게 넘기는 것으로 정리했다.(아라스 조약, 상리스 조약)
마리는 남편 막시밀리안과의 사이에서 필리프와 마르가레테를 낳았지만, 1482년에 3번째 아이를 임신한 채 즐겨하던 사냥을 하다가 낙마 사고를 당해 향년 25세로 사망했다. 마리의 영지인 저지대 국가는 4살짜리 아들 필리프 4세가 물려받아 막시밀리안이 섭정으로 통치했고, 궁극적으로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다.
마리의 아들 필리프는 스페인 왕국의 전신이 되는 카스티야 연합 왕국과 아라곤 왕국의 상속녀 후아나 1세와 결혼하여 카스티야 국왕 펠리페 1세가 되었고, 후아나 1세와 펠리페 1세의 장남 카를 5세는 친조부모의 신성 로마 제국 제위와 오스트리아 대공국 및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부모의 스페인을 모두 물려받게 되어 유럽 역사상 가장 많은 왕관과 영토, 작위를 가진 군주로 역사에 그 이름을 남기게 된다. 그리고 카를 5세는 외조부모로부터 이어받은 스페인 왕위와 이탈리아 영토를 아들 펠리페 2세에게 물려주고, 오스트리아 대공국을 넘겨준 남동생 페르디난트 1세 차기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지명[9]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은 스페인의 압스부르고 왕조[10]와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조로 나뉘었다.
그 결과 마리는 25세의 어린 나이에 낙마 사고로 요절했지만 후손들은 오늘날까지 가계를 이어오고 있다. 이후의 오스트리아계 합스부르크 왕조와 스페인계 합스부르크 왕조는 모두 마리 드 부르고뉴의 직계 후손이다. 마리의 친손자들로 그 유명한 카를 5세와 페르디난트 1세는 말할 필요도 없고 막시밀리안 2세, 루돌프 2세, 마티아스, 페르디난트 2세, 페르디난트 3세, 레오폴트 1세, 요제프 1세, 카를 6세, 마리아 엘리자베트, 마리아 테레지아, 프란츠 1세, 마리아 안나 여대공, 요제프 2세, 레오폴트 2세, 마리아 아말리아 여대공, 마리아 카롤리나 여대공, 마리아 안토니아 여대공, 프란츠 2세, 카를 루트비히, 마리 루이즈, 페르디난트 1세, 마리아 레오폴디네, 프란츠 카를 대공, 프란츠 요제프 1세, 오스트리아 역사상 마지막 군주 카를 1세, 오스트리아 역사상 마지막 황태자 오토 폰 합스부르크는 모두 마리의 피를 이어받은 직계 후손들이다. 현재까지도 마리의 혈통은 단절되지 않고 합스부르크 종가의 현 당주인 카를 폰 합스부르크, 그 아들이자 차기 당주 겸 카레이서인 페르디난트 즈보니미르 폰 합스부르크와 다른 분가의 후예들을 통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남편인 막시밀리안 1세는 아름답고 부유하며 잘 배운 여성이었던 마리를 매우 사랑했고, 그녀의 사후에도 평생 마리를 그리워하며 살아갔다. 마리가 젊은 나이에 사망한 후 그녀의 시신이 고향인 벨기에에 매장되자, 훗날 오스트리아에 묻힐 자신의 시신에서 심장을 꺼내 마리 곁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길 정도. 물론 마리의 사후 두 번 더 재혼하긴 했지만[11] 후계자가 될 아들이 펠리페 1세 한 명 뿐인 상황에서도 마리 이외에 다른 여성과의 사이에서 후사를 보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 펠리페 1세가 젊은 나이에 장티푸스로 세상을 떠났던 걸 생각하면 펠리페 1세가 죽기 전에 손자들인 카를 5세와 페르디난트 1세를 남기지 않았다면 후사가 끊겼을 가능성도 있었다.
어찌된 일인지 막시밀리안 1세 본인은 죽을 때까지 마리 한 사람을 바라본 애처가에 순정남이었지만 아들이자 후계자 펠리페 1세는 정반대로 지독한 바람둥이에 난봉꾼이었다. 후아나 1세와 결혼하여 카스티야 연합 왕국의 공동 통치자 자리에 오르고 2남 4녀를 둔 후에도 쉴 새 없는 가스라이팅과 여자들과 바람을 피우는 불륜 행각으로 조강지처인 후아나가 정신병과 집착에 빠지게 괴롭게 만들고 장인인 아라곤 국왕 페란도 2세에 의해 토르데시야스 성에 유폐당해도 신경 안 쓰는 등, 아버지와 달리 한 여자의 남편으로서는 그야말로 인격이 개판이었던 쓰레기였다.
오히려 아들이 아닌 손자들이 친할아버지의 애처가적인 면모를 많이 물려받았다. 펠리페 1세의 장남으로 마리의 친손자인 카를 5세는 정부를 여럿이 두긴 했지만 순정남 기질을 할아버지에게 물려받았는지, 포르투갈의 이자벨과 결혼한 뒤에는 그녀만을 사랑하고 이자벨의 사후 본인도 죽을 때까지 재혼하지 않고 아내를 애도하며 산 애처가였다.[12] 펠리페 1세의 차남이자 마리의 또다른 손자인 페르디난트 1세는 아예 보헤미아와 헝가리의 언너와 결혼한 뒤로 정부조차 두지 않고 자기 형처럼 언너의 사후 죽을 때까지 재혼하지 않았다.
마리의 결혼으로 저지대 국가가 합스부르크 가문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프랑스는 벨기에의 북해 해안가 및 그 주변 지역 정도에 해당되는 플란데런 영토를 상실했다. 물론 프랑스가 공식적으로도 상실한 것을 인정한 것은 1525년 파비아 전투의 패배에 따른 1526년 마드리드 조약의 결과였으므로, 마리의 결혼부터 마드리드 조약까지의 한동안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실효지배 상태이되 법적으로는(de jure) 여전히 프랑스의 일부였던 애매한 상태였다. 프랑스는 신성 로마 제국이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멸망과 뒤이은 대공위시대를 기점으로 분열되어 가는 것을 잘 활용하고, 때로는 30년 전쟁 당시 리슐리외-마자랭의 외교정책처럼 분열을 조장하기도 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의 서부 영역을 잠식해 동진했는데[13] 유일하게 중세에 비해서 영토가 줄어든 부분이 바로 이 플란데런이다.[14] 프랑스의 영역 확대 과정에서 1480년 이전 지도와 이후 지도를 비교해 보면 중세 내내 북쪽으로 뾰족했던 프랑스의 영역 플란데런이 온데간데 없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아르투아 일대는 루이 14세 때 점령하고 그 이후 조약으로 영유를 인정받아 탈환했지만, 그 너머의 플란데런은 루이 14세 때 일시 공격 및 점령은 했었으나 차후 조약에서 거기까지는 프랑스가 영유를 강요할 힘이 없어 결국 반환했고, 프랑스 제1공화국 - 프랑스 제1제국 때도 일시 점령했으나 결국 나폴레옹의 몰락으로 반환하여, 결국 벨기에(당시에는 네덜란드) 영토로 확정되어 오늘날에 이른다.
3. 가족
3.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마리 드 부르고뉴 (Marie of Burgundy) | <colbgcolor=#fff3e4,#331c00> 부르고뉴 공작 샤를 1세 (Charles I, Duke of Burgundy) | <colbgcolor=#ffffe4,#323300>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 (Philippe III, Duke of Burgundy) | |
부르고뉴 공작 장 1세 (Jean I, Duke of Burgundy) | |||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 (Margarete of Bavaria) | |||
포르투갈의 이자벨 (Isabel of Portugal) | |||
주앙 1세 (João I) | |||
랭커스터의 필리파 (Philippa of Lancaster) | |||
부르봉의 이자벨 (Isabel of Bourbon) | |||
부르봉 공작 샤를 1세 (Charles I, Duke of Bourbon) | |||
부르봉 공작 장 1세 (Jean I, Duke of Bourbon) | |||
오베르뉴 여공작 마리[15] (Marie, Duchess of Auvergne) | |||
부르고뉴의 아녜스 (Agnès of Burgundy) | |||
부르고뉴 공작 장 1세 (Jean I, Duke of Burgundy) | |||
바이에른의 마르가레테 (Margarete of Bavaria) |
3.2.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자녀 |
1남 | 펠리페 1세 (Felipe I, King of Castile) | 1478년 7월 22일 | 1506년 9월 25일 | 후아나 1세 슬하 2남 4녀[16] |
1녀 | 사보이아 공작부인 마르게리타 (Margarete, Duchess of Savoy) | 1480년 1월 10일 | 1530년 12월 1일 | 아스투리아스 공 후안[17] |
사보이아 공작 필리베르토 2세 |
4. 기타
- 상단의 초상화에서 마리가 쓴 고깔 모양의 모자는 에냉(Hennin)이라고 불린다. 그녀가 즐겨 쓰던 모자로 특히 부르고뉴와 프랑스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
- 동화 라푼젤의 모델이라는 설이 있다. 마리가 막시밀리안에게 청혼하며 편지에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 보낸 것이 상상력을 불러일으켜 이야기의 모태가 되었다는 의견이다. 고립된 상황의 미녀라는 점에서 동일한 면모를 보인다.
- 벨기에에서는 그녀에게 헌정하는 의미로 만들어진 '뒤셰스 드 부르고뉴(Duchesse de Bourgogne, 부르고뉴 여공작)'라는 이름의 맥주가 있다.
5. 대중매체에서
2017년 오스트리아-독일 합작 방송으로 방영된 막시밀리안&마리(Maximilian – Das Spiel von Macht und Liebe)[18]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배우는 크리스타 테레(Christa Théret 1991년생).6. 둘러보기
룩셈부르크 공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룩셈부르크 왕조 | |||
바츨라프 1세 | 태만공 바츨라프 2세 | 요프스트 | 엘리자베트 1세 | |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앙투안 | ||||
<rowcolor=#fff> 룩셈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엘리자베트 1세 | 엘리자베트 1세 | 엘리자베트 1세 | 라디슬라오 | |
<rowcolor=#fff> 비텔스바흐 왕조 | ||||
장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포디에브래드 왕조 |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안나 | 엘리자베트 2세 | 조르주 | 선량공 필리프 1세 | |
<rowcolor=#fff> 베틴 왕조 | 야기에우워 왕조 | |||
기욤 2세 | 카지미에시 | |||
<rowcolor=#fff>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용담공 샤를 2세 | 부귀공 마리 1세 | 미남공 필리프 2세 | 샤를 3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막시밀리앙 1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3세 | 이자벨 | 필리프 4세 | 바보공 샤를 4세 | |
알베르 | ||||
<rowcolor=#fff> 부르봉 왕조 | 비텔스바흐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5세 | 막시밀리앙 2세 | 샤를 5세 | 마리 2세 | |
<rowcolor=#fff>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조제프 | 레오폴드 | 프랑수아 | }}} }}}}}} |
브라반트 공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브라반트 공국 | |||
루뱅 왕조 | ||||
앙리 1세 | 앙리 2세 | 앙리 3세 | 앙리 4세 | |
루뱅 왕조 | ||||
장 1세 | 장 2세 | 장 3세 | 잔 | |
룩셈부르크 왕조 | ||||
벤세슬라스 | ||||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
앙투안 | 장 4세 | 필리프 1세 | 선량공 필리프 2세 | |
발루아-부르고뉴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용담공 샤를 1세 | 부귀공 마리 1세 | 미남공 필리프 3세 | 샤를 2세 | |
합스부르크 왕조 | ||||
막시밀리앙 | ||||
합스부르크 왕조 | ||||
필리프 4세 | 이자벨 | 필리프 5세 | 바보공 샤를 3세 | |
알베르 | ||||
부르봉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필리프 6세 | 샤를 4세 | 마리 2세 | 조제프 |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레오폴드 | 프랑수아 | |||
벨기에 왕국 |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벨기에 왕조 | |||
레오폴드 2세 | 레오폴드 | 레오폴드 3세 | 레오폴드 3세 | |
<rowcolor=#ffcc00> 벨기에 왕조 | ||||
보두앵 | 필리프 | 엘리자베트 | }}} 브라반트 공작 · 벨기에인의 왕 }}}}}} |
[1] 흔히 용담공 샤를로 잘 알려져 있다.[2] 부르봉 공작 샤를 1세의 딸.[3] 마리의 고손녀 이사벨 클라라 에우헤니아 역시 남편 생전 주권자로서 저지대 국가와 프랑슈콩테를 통치했으며 명목상 부르고뉴 여공작을 칭했기에 유일한 여성 통치자는 아니다. 마리아 테레지아도 저지대 국가의 여성 주권자였으나 현지에서 직접 통치하지는 않았고 시동생 로렌의 샤를 알렉상드르 공자를 총독으로 보내 다스렸다. 주권자가 아니라 총독으로 통치한 인물까지 포함하면 마리의 딸 마르가레테, 마리의 손녀 마리아 등도 여성 통치자에 해당한다. 이사벨과 마리아 테레지아는 네덜란드 독립 전쟁으로 인해 네덜란드 공화국이 독립해 나간 저지대 국가를 다스렸으나 마리와 마르가레테, 마리아는 독립 전쟁이 벌어지기 이전 온전했던 저지대 국가를 다스렸다.[4] 부르고뉴 공국은 이 당시에는 사실상의 독립국이었지만 몇 대 전에만 해도 왕의 동생의 자격으로 프랑스 왕실 본가로부터 왕자령(appanage)으로서 분봉받은 영토가 그 뿌리였다. 그리고 루이 11세가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결국 프랑스의 국익을 위해서는 좋았지만 그 수단이 주로 왕의 권위를 내세워 난 왕이라서 되지만 넌 신하라서 안 되는 내로남불스러운 정략에 있던 관계로 능력 및 실적에 비해서는 인기가 없지만, 왕자령은 루이 11세가 억지 명분을 급조한 게 아니라 분봉받은 왕자의 가문이 단절되면('가문 단절'이라는 것이 애매해서, 직계 적손에 여성만 남은 경우 그 상속녀 본인까지는 가문의 마지막 후계자로서 인정해주는 경우가 있는 반면, 인정 안 해주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루이 11세는 눈엣가시인 부르고뉴국에게 후자의 입장을 취했다.) 왕령지로 회수되는 것이 프랑스 국법상의 원칙이었다. 문제는 발루아 왕실 본가와 부르고뉴 공가가 몇십년 전부터 서로 간에 죽고 죽인 원한이 쌓여 백년전쟁에서 발루아부르고뉴가가 잉글랜드군과 동맹을 맺어 샤를 6세 - 샤를 7세 부자를 괴롭히고, 프랑스에게서 독립선언을 했던 등등, 말이 친척이지 남만도 못한 친척이여서, 샤를과 마리 부녀는 절대로 부르고뉴국을 프랑스 왕실 본가에 바칠 생각이 없었다.[5] 결혼하면 여자 쪽이 후대의 마리아 테레지아처럼 확실히 강하지 않은 이상은 대부분의 경우 여자 쪽의 영토 및 작위가 남자 쪽으로 넘어갔다.[6] 의외의 사실은 마리의 할아버지 선량공 필리프 시절만 하더라도 알자스를 두고 부르고뉴 공국과 오스트리아 공국이 대립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부르고뉴 공국에게 더 큰 위협이 되었던 것은 프랑스였기에 마리의 아버지 용담공 샤를은 마리에게 자신이 죽으면 오스트리아에 도움을 요청하라는 유언을 남겼다.[7] 참고로 이 당시 프리드리히 3세와 막시밀리안 1세 부자는 지지리도 가난했기 때문에 대 야코프 푸거가 많은 도움을 주었다.[8] 마리를 구출한 다음 날 막시밀리안은 마리의 이니셜 M모양의 다이아몬드 반지를 선물하며 청혼했다고 한다. 이 반지를 후대의 결혼 반지의 유래로 보는 견해도 있다.[9] 1531년 황제선거에서 이미 독일왕으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카를 5세의 지명과 관계 없이 자연스럽게 페르디난트 1세가 차기 황제로 즉위할 예정이었다. 신성 로마 제국은 7인의 선제후가 황제선거에서 군주를 선출하는 선거군주제였고, 이 결과는 황제도 무를 수 없었다.[10] 압스부르고는 합스부르크의 스페인식 표기이다.[11] 물론 두 번째 아내인 안 드 브르타뉴와의 결혼은 신부 얼굴도 못 보고 샤를 8세에게 납치혼을 당해 혼인이 무효화되어 실질적인 부부는 아니었고 세 번째 아내인 비앙카 마리아 스포르차도 거의 별거에 가까운 생활을 했다.[12] 물론, 퇴위하고 수도원으로 들어갔을 때 바바라 블룸베르크라는 정부를 들여 아이를 갖기도 하였다.[13] 중세 초중기의 서프랑크 및 카페 왕조 시기의 영토를 찾아보면, 거의 정육각형(L'Hexagone)에 가깝게 확대된 근현대 프랑스의 영토에 비해서 서쪽으로 많이 찌그러져 있다.[14] 영어 위키백과 County of Flanders 중, 'The territories of the old county are now the only part of the late medieval French kingdom outside of modern-day France, Catalonia having been renounced in 1258.'[15] 베리 공작 장의 4녀.[16] 포르투갈과 프랑스의 왕비 엘레오노르, 카를 5세,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비 엘리사베트, 페르디난트 1세,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비 마리어, 포르투갈의 왕비 카타리나 등[17] 이사벨 1세와 페란도 2세의 아들이다.[18] 이 드라마의 특이사항이라면 신성 로마 제국 측의 배우들은 독일어로, 프랑스 왕국과 저지대 국가 배우들은 프랑스어로 연기한다. 헝가리-크로아티아는 사정상 독일어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