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영웅전설 섬의 궤적
2.1. 평가 및 운용
3. 영웅전설 섬의 궤적 II3.1. 평가 및 운용
4. 영웅전설 섬의 궤적 III4.1. 평가 및 운용
5. 영웅전설 섬의 궤적Ⅳ5.1. 평가 및 운용
6. 영웅전설 시작의 궤적6.1. 평가 및 운용
7. 영웅전설 계의 궤적7.1. 평가 및 운용
1. 개요
궤적 시리즈에 등장하는 린 슈바르처의 작품별 성능에 대해 정리한 문서.2. 영웅전설 섬의 궤적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폭주시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오브먼트 라인 | 5 - 2 - 1 | 공격 속성 | 斬 | 突 | 射 | 剛 |
슬롯 속성제한 | O - O - 時 - O - 火 - O - 時 - O | S | - | - | - |
- 크래프트 일람
- 단풍 베기(紅葉切り): 초기습득, CP 소비 20. 위력C. 원S(지정 지점). 구동해제. 지연+15. 붕괴발생률+10%.
스쳐 지나가면서 적을 한칼에 베어버린다. 전작 캐릭터 랜디 올랜도의 초기 크래프트 파워 스매시와 유사한 범위가 소원인 지연기술. 지연 성능은 그쪽은 대상지정이지만 이쪽은 지점지정인 만큼 상위호환이라 볼 수 있다.(단 효율 자체는 제로의 궤적의 파워 스매시 쪽이 더 좋다.) 덤으로 아츠구동 캔슬효과까지 있다. 후반에는 대미지와 범위 면에서 질풍에 밀리긴 하지만 그래도 부가 효과가 괜찮아서 초반부터 후반까지 계속 쓰이는 효자 기술. 단점이라면 기술 사용시 적의 뒤편으로 이동해버리면서 다굴을 맞을 수 있다는 점과 아군이랑 멀리 떨어져 버린다는 점. 버프를 돌리고 있을 때는 주의하자. 여담으로 팔엽일도류 제4형에 해당하는 기술이다. - 격려(激励): 레벨5 습득, CP 소모 30, 보조, 원LL(자신 중심), 3턴간 STR+25%. CP+10.
가슴을 타오르게 하는 성원으로 동료를 분발시킨다. 전작의 로이드 배닝스나 에스텔 브라이트의 기합같은 궤적 시리즈 주인공의 상징인 범위 공격력 버프. 원래부터 좋은 기술이지만 CP+10이 있어서 기존작 보다도 더욱 효율이 좋아졌다. 본인도 회복 범위에 포함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CP소모가 20. - 호영참(弧影斬): 레벨15 습득, CP 소비 30. 위력B. 직선S(지정 지점). 지연+30. 붕괴유효.
활 모양의 참격을 일직선에 쏜다. 썰렁하게 소닉붐(?) 하나를 날리는 심심한 모션이지만, 성능은 아주 우수한 크래프트. 기존작으로 말하면 지연효과(대) 인 스킬인데 기술의 딜레이가 평타와 동일하다. 이는 린 자체가 행동 속도가 높은 편이라는 점과 맞물려 노멀기준으로 지연효과를 100% 받는 적, SPD 다운이 걸렸다면 지연효과를 50% 밖에 받지 않는 적이라고 해도 이 기술만 계속 사용하면 보스라고 해도 턴 자체를 아예 넘겨주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 지연 효과가 있는 다른 캐릭터가 가세하면 지연 완전 내성을 갖고있지 않는 한[1] 계속 아군의 턴이 가능한 수준. - 질풍(疾風) : 레벨 35에 습득, CP 소비 35, 위력A. 원L(대상 지정). 봉기(50%). 붕괴발생률+20%.
신속의 스피드로 적 집단을 베어 넘긴다. 아리오스 매클레인이 사용하는 질풍의 하위호환이지만, 충분히 대미지딜링이 뛰어난 좋은 기술. 모션도 호쾌하고 해당 레벨대에 거의 없는 광범위 고대미지 크래프트라 일반전투 및 보스가 소환하는 졸개를 일소할 때 특히 좋지만 지점지정이 아닌게 아쉽다. 여담으로 베는 적의 수와 위치에 따라 모션이 변하는 유일한 크래프트. 여담으로 팔엽일도류 제2형에 해당하는 기술이다. - 업염격(業炎撃): 레벨 55에 습득, CP 소비 35. 위력S+. 원S(지점 지정). 화상(50%) 기절(50%). 붕괴발생률+30%.
업화를 두른 혼신의 케사기리(袈裟斬り).[2] 범위는 질풍에 비해 좁지만 본작에서 유용한 상태이상으로 꼽히는 화상과 기절이 적절하게 붙어있고 대미지도 좋아서 보스용 결전병기로 활약한다. 딜레이는 약간 큰 편. 1인 대상에게 대충 사용하면 어째서인지 상대의 뒤로 가서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위치를 조절해서 쓰는 것이 좋다. 여담으로 팔엽일도류 제3형에 해당하는 기술이다.
- S크래프트 일람
- 불꽃의 태도(焔ノ太刀): 위력SS, 원M(대상 지정), 화상(100%).
불꽃을 도신에 둘러, 열화의 기세로 베어넘긴다. 기본 대미지도 좋고 화상의 추가 대미지까지 고려하면 사실상 라우라에 맞먹는 뎀딜이 가능하다. 다만 호영참, 격려등 린은 기본 크래프트들 중에 효과가 좋은 게 많아서 CP 200을 채우고 쓰기가 그리 쉬운 편은 아니다. 전작의 리샤르와 비슷하다고도 볼 수 있지만, 본작의 사기 서포터 알리사와 조합하면 손쉽게 CP를 보충받을 수 있긴 하다.불꽃이여, 나의 검에 깃들어라! 하아아아아! 참!(평상시 대사)멸한다…! 우오오오오! 참!(폭주시 대사) - 푸른 불꽃의 태도(蒼焔ノ太刀): 위력SSS, 원L(대상 지정), 화상(100%). 푸른 불꽃을 칼에 둘러, 열화의 기세로 베어넘긴다. 종장에서 불꽃의 태도가 파워업한 형태. 안 그래도 좋은 위력이 더욱 올라갔다.푸른 불꽃이여, 나의 검에 깃들어라! 하아아아아! 참!
- 링크 어빌리티 일람
- Lv 1. 링크 어택(リンクアタッグ) - 링크 어택 사용이 가능해진다. 모든 캐릭터가 보유한 기초 링크 어빌리티.
- Lv 2. 마무리 일격(止めの一撃) - 추격 후 HP가 적은 적에게 마무리 일격을 가한다. 자신이 링크 발동자일 때 확률적으로 발생한다. 혼신의 일격이 없을 때는 발동률이 낮은 편. 역시 전 캐릭터가 보유하고 있다.
- Lv 3. 감싸다(かばう) - 일정확률로 파트너를 감싼다. 대미지 반감. 링크가 이어진 캐릭터가 맞을 때 중간정도의 확률로 발생한다. 원래 맞을 캐릭터는 전혀 대미지를 입지 않게 된다. 범위 공격에 휘말리는 경우 감싼 공격만 맞게 된다. 회피도 적용됨.
- Lv 4. 혼신의 일격(渾身の一撃) - 마무리 일격의 위력이 증가하고 발생률이 올라간다. 마무리 일격이 그럭저럭 자주 보이게 된다.
- Lv 5. 러시Ⅱ(ラッシュⅡ) - 러시의 위력이 올라간다.
2.1. 평가 및 운용
기존작의 주인공인 에스텔 브라이트나 로이드 배닝스가 아츠와 크래프트, 또 각 크래프트의 기능이 균형잡힌 캐릭터, 케빈 그라함은 가장 방어적인 주인공이라고 한다면, 린의 경우는 확실한 물리공격형으로 캐릭터가 잡혀서인지 역대 주인공 중 가장 좋은 크래프트 효율을 보인다. 아군 물리 딜링 능력 최강인 라우라 S 알제이드의 화려한 대미지에 밀려 수수해 보이는 면이 있긴 하지만 주인공 일행 중에서도 크래프트 효율이 상당히 뛰어난 편에 속하기에 쓰기가 매우 편하다. 딜레이, 아츠구동 캔슬, 범위 버프등 종류도 다양하고 효율도 좋다. 다만 영, 벽궤의 로이드의 버닝 하트 같은 초 사기 자가버프는3. 영웅전설 섬의 궤적 II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신기합일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144레벨 기준 스테이터스 | ||||||||||
HP | EP | STR | DEF | ATS | ADF | SPD | DEX | AGL | MOV | |
171005 | 660 | 898 | 385 | 1670 | 1105 | 85 | 47 | 37 | 7 |
- 크래프트 일람(평상시)
- 단풍베기(紅葉切り)→진·단풍 베기(真·紅葉切り) :초기 습득→레벨 46때 강화. CP 소모 20. 위력 C→C+. 원S(지정 지점). 구동해제. 지연 +10→+15. 붕괴발생율+10%.
단풍베기는 전작에 비해 지연효과가 10으로 줄어들었는데 초반부터(보통 서장말미, 늦어도 1부 초반이면 46은 찍는다) 진-단풍베기로 강화되어 위력이 C→C+가 되었고 지연효과가 전작과 같은 15가 되므로 CP수급이 부족한 초반부의 좋은 밥줄스킬이다. - 격려(激励) : CP 소모 30, 보조, 원LL(자신 중심), 3턴간 STR+25%. CP+10.
- 호영참(弧影斬)→진·호영참(真·弧影斬) : 초기 습득→레벨 68때 강화. CP 소모 30. 위력 B→B+. 직선S→M(지점지정). 지연 +20→25.
전작의 밥줄기술이라 그런지 호영참 역시 너프되긴 했지만, 진 호영참으로 강화되면 범위가 오히려 M으로 강화돼서 지연이 먹히는 적에겐 여전히 쓸만한 대항책. - 질풍→질풍·개(疾風·改) : 초기 습득→레벨 81때 강화. CP 소모 45. 위력 A→A+. 원L(지점지정). 봉기(30%→60%). 붕괴발생률+20%.
CP소모가 45라는 건 조금 부담되지만(특히 마스터 쿼츠 포스의 CP획득량이 너프되면서 CP 수급이 조금 불리해졌다) 대상지정에서 아리오스 매클레인의 질풍처럼 지점지정으로 변했기에 쓰기 편리하다. 업염격이 용염격으로 변화하기 전까지 주력 잡몹처리 기술. - 업염격(業炎撃)→용염격(龍炎撃) : 초기 습득→레벨 95때 변화. CP 소모 45. 위력 S→S+. 원S(지정 지점). 화상·기절(각각 30%→50%). 붕괴발생률+30%.
전작에서 후반부에 습득해서 절륜한 성능을 자랑했던데 반해 본작에선 처음부터 들고나오는지라 위력이 S로, 화상과 기절확률은 30%로 너프되었지만 중반부에 용염격으로 강화되면서 범위가 중원이 되어 쓰기가 매우 편해진다. 역시 CP소모가 45로 늘어난것은 약간 부담. - 신기합일(神気合一) : 2부부터 사용가능, CP 소모 100. 각성 상태(모든 상태이상, 능력 저하 무효), STR, DEF, SPD 50% 상승, 다음턴 즉시 행동, 3턴 지속.
사용시 각성모드로 들어가며, 일러스트와 음성에 변화가 생긴다. 제어가 가능해져서 그런지 1에 비해 부드러운 편. 사용가능한 크래프트에 변화가 생기며, S 크래프트들의 위력 역시 올라간다. 섬의 궤적 최후반부에 린이 경공을 사용했지만, 신기합일이 경공의 상위호환이라 그런지 경공은 나오지 않았다. - 기신소환(騎神召喚) : 2부 클라라 합류후 사용가능. EP 500 소모[3]해서 전투 당 1번 소환 가능.
궤적 시리즈 최초로 EP를 소모하는 크래프트이며 그리고, 오랜만에 등장하는 두번째 탑승형 크래프트이다.[4] 잿빛 기신 발리마르를 소환한다. 사용가능한 것은 한 전투당 한 번뿐. 소환하면 그대로 기신전 시스템으로 돌입한다.[5] 소환된 발리마르는 공격과 발리마르 전용 크래프트를 사용할 수 있고, 일정 턴수가 지나거나 HP가 다하면 전장에서 이탈하고(자신이 스스로 '이탈' 커맨드로 이탈시키는 것도 가능), 기존 배틀 시스템으로 돌아간다. 참고로 기신 소환시 기신의 CP는 소환 시점에서 린의 CP를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단, 경공, 잔월과 같은 기신전 전용 크래프트는 등장하지 않는다. 기신전 전용의 파트너 시스템도 없다. 그리고 3턴이 지나면 바로 이탈한다.긴급 회피용으로도 쓸만할지도?기신의 능력치가 상당히 강력하기 때문에 3턴안에 죽을일은 사실상 없지만 사실 신기합일이 워낙 강력하기도 하고 스토리 진행중에 보스에게는 못쓰는 경우가 많아서 사실긴급회피용으로도쓸 일이 별로 없다. 서브퀘스트에서 잡아야 하는 수배마수에게는 쓸 수는 있지만 회복이 있는 수배마수에게는 대미지를 많이 넣을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1.01 패치에선 천충검도 필드소환시 사용할 수 있도록 패치돼서 적절히 딜을 넣을 수 있다.
- 크래프트 일람(신기합일 사용시) 격려 삭제, 기술이 진(真)대신 멸(滅)로 변화 및 효과, 위력, 일부 크래프트 소모 CP 상승.
- 멸·단풍 베기(滅·紅葉切り) : CP 소모 20, 위력 A, 원S(지점지정), 구동해제, 지연 +25, 붕괴발생율+20%.
위력과 지연이 모두 붙어있는 괜찮은 스킬이지만 신기합일 기술들이 워낙 강해서 CP가 30도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쓸 일이 없다. - 멸·호영참(滅·弧影斬) : CP 소모 30, 위력 S, 직선M(지점지정), 지연 +25, 즉사 50%, 붕괴발생율+10%.
호영참의 강화판으로 지연이 통하는 적에게는 매우 효율적이나 이질풍의 깡딜이 너무 강해서 빛을 보기 힘든 기술. 사실 지연만 보고 쓸거면 딱히 신기합일을 할 필요가 없다. - 이질풍(裏疾風)[6] : CP 소모 50. 위력 S+, 직선 L(지점지정), 봉기(100%), 붕괴발생율+30%, 2회 공격.
벽의 궤적 아리오스 매클레인 전에서 플레이어들을 살떨리게 하던 그 기술. 기존의 질풍처럼 범위 내 대상을 전부 벤 뒤, 지정한 지점으로 이동해 참격을 날린다. 아쉽게도 아리오스처럼 완전방어까지 뚫지는 못한다. 1회차에서 린이 도저히 포스 이외의 마스터쿼츠를 볼 겨를이 없는 이유. 성능은 그야말로 사기로 섬의 궤적2의 난이도를 낮추는 일등공신. 위력 S+로 2회타격이기 때문에 신기합일의 스테이터스 상승과 더불어서 대미지가 상상을 초월하고 2회 타격 각각에 CP회복이 적용되기 때문에 CP수급량도 어마어마하다. 마스터 쿼츠 포스 + CP획득량을 60% 올려주는 아이템을 끼면 CP회복량이 소모량을 넘어서는 건 기본이고 신기합일에 필요한 CP수급까지 가능할 정도.[7] 새로 나온 시스템인 오버라이즈의 사기적인 CP수급량+알리사의 꾸준한 CP수급을 받으면 단체로 나오던 혼자 나오던 어떤 보스도 무한 신기합일을 유지하며 혼자 때려잡을 수 있다. 게다가 첫타에 사망 또는 빈사가 되면 두번째 타격때 오버킬 판정이 나므로 경험치 불려먹기에도 아주 좋다. 단 상대가 아다마스 가드 등을 걸어 물리방어 상태이거나 첫 공격을 회피하면 두번째 공격도 안들어가며, 패도 쿼츠의 효과도 2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사용시의 대사로 봐서는 팔엽일도류의 비기에 해당하는듯. - 멸·업염격(滅·業炎撃)→멸·용염격(滅·龍炎撃) : CP 소모 60, 위력 SS→SS+, 원 M(지점지정), 화상·기절 (각각 60%→100%), 붕괴발생률+50%.
웬만한 S크래프트 저리가라할 성능. 신기합일의 능력치 상승 덕분에 거의 대부분의 7반 멤버의 s크래프트보다 강력하다. 참고로 멸·용염격의 대미지는 평상시에 CP 200으로 사용한 푸른 화염의 태도정도. 멸·업염격의 경우 이질풍보다 대미지가 약간 떨어지지만 멸·용염격은 이질풍보다 대미지가 높다. 하지만 두번 타격하는 이질풍보다 CP 수급이 불리하며, 좁은 범위등의 상대적인 단점 때문에 실질적으로 이질풍을 사용할 일이 더 많다. 사실상 대미지면에선 S크래프트를 제외하면 최강의 크래프트.
- S크래프트 일람
- 푸른 화염의 태도(蒼焔ノ太刀)[8] : 위력 SS+, 원LL(대상지정), 화상 100%/ 신기합일 상태: 위력 SSS+, 원LL(대상지정), 화상 200%
- 종언의 태도 - 효(終の太刀·曉) : 스토리 자동 습득,[9] 위력 SSS+, 전체 범위, 화상 200% (즉, 화상 내성 50까지는 화상이 100% 걸린다는 뜻)./ 신기합일 상태: 위력 4S+[10], 전체 범위, 화상 600%.
아리오스 매클레인의 S크래프트인 종언의 태도 흑황을 생각나게 하는 기술. 크래프트 설명에 팔엽일도류 오의라 적혀있다. 신기합일 쓰고 날리면 크래프트 자체의 위력 상승에 더해서 능력치 증가까지 더해져 실로 무시무시한 대미지를 뽑아낼 수 있다. 무라쿠모, 빙왕의 원환 등으로 극 크리티컬 세팅을 해두고 패도, 폭포, 오버 라이즈2 등, 딜을 최대한 올릴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써보면 70만이 넘는 대미지가 뜬다.무명[11]을 베어내는 섬화의 일도! 종언의 태도, 효!!
3.1. 평가 및 운용
초반에는 그냥 적당히 강한 수준일 뿐이지만 신기합일을 쓰게 되면 다른 물리 공격 캐릭터와 비교를 거부할 정도로 막강해진다. 1회차 나이트메어 난이도에서도 신기합일을 배우고 나면 체감 난이도가 확 떨어질 정도.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무라쿠모, 타우르스, 패도, 폭포, 혁명 같은 강력한 쿼츠를 린에게 몰아주게 되고 린 혼자서 보스 체력 대부분을 깎는 일이 흔하게 된다.기본적으로 기신전 이벤트는 기갑병과 같은 거대병기와 전투할 때 발생하지만, 이외에 '기신 소환' 크래프트가 추가되어, 통상 전투에도 기신을 소환하여 싸울 수 있게 되었다.
4. 영웅전설 섬의 궤적 III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신기합일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오브먼트 라인 | 4 - 2 - 1 | 공격 속성 | 斬 | 突 | 射 | 剛 |
슬롯 속성제한 | O - 時 - O - 火 - O - 時 - O | SS | - | - | - |
- 크래프트 일람(일반)
- 비공참(緋空斬) : 초기 습득. CP 소모 20. 위력 D 브레이크 C 붕괴유효. 직선M(지점지정). 구동해제 100% 화상 30%
유일한 직선범위 기술이며 단풍베기가 갖고 있던 기동해제 효과를 가져왔다. - 호월일섬(弧月一閃) : 초기 습득. CP 소모 40. 위력 B 브레이크 A 붕괴발생율+25% 원M(지점지정).
린의 초~중반을 책임지는 평타 부과효과는 없으나 높은 브레이크 대미지와 붕괴율, 괜찮은 범위까지 합쳐져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는 주력 크래프트. 다만, 나선격을 배우면 버려지게 된다. - 질풍(疾風) : 1장 4/16 아인헬 소요새 Lv1 공략 중. CP 소모 80. 위력 A 브레이크 B 붕괴발생율+5% 원L(지점지정). 연기+10
가장 넓은 범위를 가졌지만 CP 소모가 상승하여 2에서처럼 자주 사용하기는 어려워졌다. - 신기합일(神気合一) : 2장에서는 특정 이벤트에서만 사용 가능. 3장부터 정식 사용 가능. CP 소모 100. 3턴간 각성(모든 상태이상, 능력 저하 무효), STR, DEF, SPD 大 상승, 사용 다음 턴 바로 행동 가능.[12][13]
- 나선격(螺旋撃) : 레벨 40 습득. CP 소모 60. 위력 S+. 브레이크 S. 붕괴발생율+5% 원S(지점지정) 필살율+20%
전작의 업염격/용염격과 비슷한 기술로 범위는 좁지만 위력과 브레이크, 필살율 모두 우수한 기술. 린의 후반 주력기.
- 크래프트 일람(신기합일 시) 질풍을 제외한 기술들 이름에 멸(滅)이 추가. 위력/효과 변경 및 추가
- 멸·비공참(滅·緋空斬) : CP 소모 20. 위력 C+. 브레이크 C+. 붕괴유효. 직선M(지점지정) 구동해제 100% 화상 60%.
화상 발생율이 상승. 다만 신기합일 상태에서 구동해제를 보고 이걸 사용하기에는 아깝다. - 멸·호월일섬(滅·弧月一閃) : CP 소모 40. 위력 A. 브레이크 A+. 붕괴발생률+40%. 원M(지점지정)
위력/브레이크/붕괴발생률 모두 상승. 다만 신기합일 상태에서는 이것의 상위호환에 가까운 멸나선격이 있는지라 CP가 모자라지 않는다면 이걸 사용할 일이 없다. - 이질풍(裏疾風) : CP 소모 90. 위력 S. 브레이크 B+. 붕괴발생률+5%. 원L(지점지정) 연기+10 봉기 50%, 2회 공격[14]
원래 신기합일 상태에서만 이질풍을 사용할 수 있지만 딱 한번 신기합일 없이도 이걸 사용한 적이 있는데, 그 때가 바로 엘리제를 건드린 남자를 박살낼 때. 멀쩡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자동차에다가 이걸 시전해 개발살내버렸다(...).이 무슨 무시무시한 시스콤이니[15] - 멸·나선격(滅·螺旋撃) : CP 소모 60. 위력 SS. 브레이크 S+. 붕괴발생률+10%. 원S(지점지정) 필살율+50% 기절 50%[16]
- S크래프트 일람
- 칠의 태도 낙엽(七ノ太刀·落葉) : 위력 SSS. 브레이크 D. 붕괴무효. 원LL(지점지정). 5턴간 스피드 하락(대) 게임 상에서 처음 사용할 수 있는 S크래프트이기도 하다.명경지수, 나의 태도는 정(静). 보였다! 우오오오오오, 참! 칠의 태도, 낙엽(재의 태도, 멸엽)!!
- 재의 태도 멸엽(灰ノ太刀·滅葉) : 위력 SSS+. 브레이크 D. 붕괴무효. 원LL(지점지정). 5턴간 스피드 하락(대) 신기합일 상태에서의 S크래프트. 위력이 조금 강화되었다.
- 칠의 태도 각엽(七ノ太刀·刻葉) : 4장 진행 시 변경. 위력 SSS+. 브레이크 D 붕괴무효. 전체. 5턴간 스피드 하락(대). 낙엽이 각엽으로 변경되면서 위력이 상승하고 범위가 전체로 확대되었다.심두멸각, 나의 태도는 무. 보였다! 우오오오오오, 참! 칠의 태도, 각엽(재의 태도, 절엽)!!
- 재의 태도 절엽(灰ノ太刀·絶葉) : 위력 4S. 브레이크 D. 붕괴무효. 전체. 5턴간 스피드 하락(대). 각엽으로 변경된 후 신기합일 상태에서 사용시 이쪽도 멸엽에서 절엽으로 변경. 절엽의 위력 4S는 아군 중에서 구7반의 가이우스의 S크래프트와 게스트로 참전하는 오렐리아의 S크래프트 밖에 없다.
- 브레이브 오더 일람
1명당 하나씩인 브레이브 오더를 혼자서 4개나 가지고 있으며, 배틀에 참가하지 않아도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 돌격진 《열화》(突撃陣《烈火》) : 초기 습득. BP 소모 1. 공격(6카운트/대미지 20% 상승) CP+10. 대미지 상승과 CP 증가가 붙은 기본적인 공격 오더.
- 방어진 《철심》(防御陣《鉄心》) : 초기 습득. BP 소모 1. 방어(8카운트/피 대미지 0.5배) HP EP 10% 회복. BP를 1만 소모하면서 대미지를 절반만 받게 해주고 카운트도 길어서 강자들의 공격을 버텨야할 때 유용한 오더.
- 절창진 《신락》(絶唱陣《神楽》) : 1장 실습 첫째날 중 자동 습득. BP 소모 2. 마법(6카운트/구동시간 0)[17]
- 섬광진 《황룡》(閃光陣《黄龍》) : 종장 퀘스트에서 오렐리아에게 승리하면 습득. BP 소모 5. 필살(10카운트/필살률 50%) 2턴간 심안.[18]
기신전용 기술은 발리마르 참고.
4.1. 평가 및 운용
학생에서 교관이 된 것일 뿐 여전히 주인공으로서 활약하는지라 일부 상황(오르키스타워, 해상요새, 아인헬 소요새 공략, 암흑룡의 침소)을 제외하면 항상 들어가있고, 강자와의 단독 대결도 많아서 안 키울 수가 없는 캐릭터이며 팔엽일도류 중전에 이른 실력이 증명하듯 여전히 강력하다. 2에서 추가된 신기합일은 폭주 때문에 바로 사용할 수 없고 제어가 가능해진 스토리 중반부 이후에 사용이 가능해진다. 다만 신기합일 시 사용할 수 있는 이질풍은 수정이 가해졌다.전작에서와 마찬가지로 크리티컬에 보정치가 가해지는 마스터쿼츠 궁니르와 상성이 좋다. 악세사리와 쿼츠를 조금만 맞춰주면 멸·나선격이 거의 100%의 확률로 크리티컬이 터지면서 위력이 어마어마하게 뻥튀기되기 때문에 유난히 많은 단독 대결 이벤트에서도 엄청 도움이 된다. 여기에 카구츠지를 서브로 두면 잡몹전에서도 신기합일→이질풍을 부담없이 쓸 수 있어서[19] 전천후로 막강한 성능을 뽐낸다.
브레이브 오더는 혼자서 4개로 스토리 중에 추가되는 3개는 BP가 1~2밖에 들지 않아 부담이 적으며 각기 테마가 또렷해서 자주 사용하게 되는 오더들. 마지막 하나는 종장에서 오렐리아에게 도전해서 승리해야 입수할 수 있다.
5. 영웅전설 섬의 궤적Ⅳ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귀기해방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 크래프트 일람(신기합일)
- 비공참(緋空斬)→진·비공참(真·緋空斬) : 레벨 105에서 강화, CP 소모 20, 위력 D→D+, 브레이크 D, 붕괴 유효, 직선S+→M+(지점지정), 구동해제 100%, 화상 20%→30% / 브레이크가 하락한 대신 범위가 약간 상승하였다. 구동해제만 놓고 보면 낮은 CP로 광역을 커버하기에 훌륭한 기술이지만 위력과 브레이크가 상당히 낮아 기대할 수는 없다.
- 호월일섬(弧月一閃)→무월일도(無月一刀) : 레벨 115에서 강화, CP 소모 40, 위력 C+→B, 브레이크 B, 붕괴발생률+25%→30%, 원M(지점지정), 4턴간 DEF 하락(소, 무월일도 강화시) / 브레이크가 하락한 대신 붕괴발생률이 상승했으며 강화 시에는 추가 효과도 붙는다. 전작과 비교했을 때 유일하게 좋아지게 된 크래프트.
- 질풍(疾風)→이질풍(裏疾風) : 레벨 125에서 강화, CP 소모 80, 위력 B+→D+, 브레이크 C→C+, 붕괴발생률+5%, 원L(지점지정), 지연+2, 2회 공격(이질풍 강화 시) / 이질풍이 되면 2회 공격이 되지만 도리어 위력이 하락하게 된다.
- 나선격(螺旋撃)→진·나선격(真·螺旋撃) : 레벨 135에서 강화, CP 소모 60, 위력 A+→S, 브레이크 A→A+, 붕괴발생률+10%, 원S(지점지정), 필살 20%→25% / 강화되어도 전작에서의 위력과 브레이크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붕괴발생률과 필살율이 상승했다.
- 귀기해방(鬼気解放) : 8월 19일 이벤트 후 습득, CP 소모 100, 보조, 자기자신, 3턴간 각성(모든 상태이상, 능력저하 무효), 3턴간 STR·DEF·SPD 상승(대), 사용 후 다음 턴 행동 가능, 4턴째 폭주로 인한 조작 불가[20][21]
- 발리마르 소환(ヴァリマール召喚)→발리마르 소환Ⅱ(ヴァリマール召喚Ⅱ) : 8월 20일 습득→레벨 130에서 강화, EP 소모 400, 위력 SS→SSS, 브레이크 S→S+, 붕괴 무효, 전체, 대인전 사용 불가 / 전투 중 한 번만 발리마르를 소환하여 공격하는 기술. 2에 있던 '기신소환'과 달리 발리마르가 알아서 공격한 후 돌아가는 형태라 위력과 브레이크가 표시되어있다.
- 크래프트 일람(귀기해방) 기술 강화 시 귀기해방 상태에서 사용하는 기술도 강화된다.
- 멸·비공참(滅·緋空斬)→극·비공참(極·緋空斬) : CP 소모 20, 위력 C→C+, 브레이크 D, 붕괴 유효, 직선M+(지점지정), 기동해제 100%, 화상 40%→60% / 비공참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가 하락한 대신 범위가 약간 상승하였다.
- 멸·호월일섬(滅·弧月一閃)→극·무월일도(極·無月一刀) : CP 소모 40, 위력 B+→A, 브레이크 B+, 붕괴발생률+30%→35%, 원M(지점지정), 4턴간 DEF 하락(중) / 무월일도에서의 추가 효과가 동일한걸 빼면 강화하더라도 전작에 미치지 못한다.
- 귀질풍(鬼疾風)→극·귀질풍(極·鬼疾風) : CP 소모 80, 위력 C→C+, 브레이크 C+→B, 붕괴발생률+10%, 원L(지점지정), 연기+4, 봉기20%→30%, 2회 공격[22]
- 멸·나선격(滅·螺旋撃)→극·나선격(極·螺旋撃) : CP 소모 60, 위력 S+→SS, 브레이크 A+→S, 붕괴발생률+15%, 원S(지점지정), 필살 30%→40%, 기절 20%→30% / 붕괴발생률 상승을 제외하면 강화되어도 전작에 미치지 못하며 위력과 범위만 동일하다.
- S크래프트 일람
- 재의 태도·절엽(灰ノ太刀·絶葉) : 위력 SSS, 브레이크 D, 붕괴 무효, 전체, 4턴간 SPD 하락(대) / 3에서의 최종 S크래프트가 4에서는 일반 S크래프트로 변경되고 위력이 3S로 하락되었다.
- 종언의 태도·흑엽(終ノ太刀·黒葉) : 위력 4S, 브레이크 D, 붕괴 무효, 전체, 4턴간 SPD 하락(대) / 귀기 해방시 사용 가능. 2에서 등장했던 종언의 태도가 4에서 다시 등장.
- 오의·무인검(奧義·無仞劍) : 위력 4S, 브레이크 D 붕괴 무효, 전체, 포지티브 상태 해제 / 전일담 이벤트를 통해 습득하는 최종 S크래프트.만물유전, 無는 有이며, 有또한 無이니. [ruby(나선격, ruby=1의형)] [ruby(질풍, ruby=2의형)] [ruby(업염격, ruby=3의형)] [ruby(단풍베기, ruby=4의형)] [ruby(잔월, ruby=5의형)] [ruby(비공참, ruby=6의형)] [ruby(무상패참, ruby=7의형)] 팔엽일도, 무인검!![A]
- 브레이브 오더 일람
전작에서의 브레이브 오더 4개를 처음부터 가지고 나오며, 전작과 마찬가지로 유일하게 2개 이상의 브레이브 오더를 가지고 있다. - 돌격진 《열화》(突撃陣《烈火》) - BP 소모 1, 공격(4카운트 / 대미지+20%), CP+8
→ 돌격진 《열화》 개(突撃陣《烈火》 改) - BP 소모 1, 공격(6카운트 / 대지+20%), CP+10
→ 맹공진 《홍련》(猛攻陣《紅蓮》) - BP 소모 1, 공격(6카운트 / 대미지+25%), CP+12
최종 강화되면 전작과 동일한 카운트에 대미지와 CP가 약간 늘어난 정도가 된다. BP에 비해 추가 대미지가 제법 높은 편. - 방어진 《철심》(防御陣《鉄心》) : BP 소모 2, 방어(6카운트 / 받는 대미지 0.6배), HP와 EP 10% 회복
→방어진 《철심》 개(防御陣《鉄心》 改) : BP 소모 2, 방어(8카운트 / 받는 대미지 0.6배), HP와 EP 12% 회복
→견뢰진 《현무》(堅牢陣《玄武》) - BP 소모 2, 방어(8카운트 / 받는 대미지 0.4배), HP와 EP 15% 회복
BP 소모가 늘어났지만 카운트는 최종 강화되어야 전작과 동일해지고, 피 대미지는 약간 덜 받는 정도이다. 그래도 네번째로 낮은 피 대미지를 가진 방어형 브레이브 오더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어형 브레이브 오더이다. - 절창진 《신락》(絶唱陣《神楽》) - BP 소모 3, 마법(6카운트 / 구동시간 0), 2턴간 ATS 상승(소)
→절창진 《신락》 개(絶唱陣《神楽》 改) - BP 소모 3, 마법(6카운트 / 구동시간 0), 3턴간 ATS 상승(중)
→마구진 《명월》(魔究陣《冥月》) - BP 소모 3, 마법(6카운트 / 구동시간 0), 4턴간 ATS 상승(대)
BP 소모가 늘어나고 카운트는 최종 강화되어도 그대로이기는 하지만, 구동시간 0의 효과는 그대로이고, ATS 상승 효과가 강화될수록 더 좋아지는지라 아츠 사용자의 밥줄이 되는 것은 물론이고, 마법공격을 사용하는 캐릭터들에게도 필요한 오더가 되었다. - 섬광진 《황룡》(閃光陣《黄龍》) - BP 소모 5, 필살(8카운트 / 필살율 40%), 2턴간 심안
→섬광진 《황룡》 개(閃光陣《黄龍》改) : BP 소모 5, 필살(10카운트 / 필살율 40%), 2턴간 심안
→극광진 《신룡》(極光陣《神龍》) : BP 소모 5, 필살(10카운트 / 필살율 60%), 2턴간 심안
심안과 필살률을 모두 올려주는 효과는 그대로이며 최종 강화되면 전작보다 필살률이 약간 높아지는 정도이다. BP 최대치가 5에서 7로 늘어나게 되면서 사용 부담이 조금은 줄어들게 된 것은 간접적인 상향이라 할 수 있다.
5.1. 평가 및 운용
3 엔딩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신과 함께 붙잡힌 상태이기 때문에 7반 일행이 린을 구하러 검은 공방으로 쳐들어 간 단장을 마쳐야만 합류한다. 또한 상시 신기합일 상태로 등장하는 대신 각성 효과는 '귀기해방'이라는 별도의 크래프트를 써야만 가능하다. 귀기해방 시에는 신기합일에서 제기되었던 패널티가 이제서야 존재하는데 자세한 건 후술. 비슷한 구도의 2처럼 일부 기술은 레벨이 오르면 기술명이 바뀌면서 강화된다.신체능력을 비약적으로 상승시켜주는 신기합일이 상시 발동되는 상태고 게임 내 전개에서 드디어 팔엽일도류의 오전에 이르게 되면서 검성에 무슨 수식어를 붙일지 논의할 수준이 된 것과 상반되게 모든 크래프트, 특히 이질풍 계열 크래프트의 위력이 대폭 하락되었다. 특히 2에서 난이도 하락의 중심에 있었던 이질풍의 위력이 D+ 밖에 되지 않아서 2와 3에서의 위력 S를 보면 격세지감 수준이다. 이질풍의 사기성을 '소모 CP 상승'(섬의 궤적3 / 50→90)과 '위력 하락'(섬의 궤적4 / S→D+)으로 정리하면서 '2회 공격' 밖에 메리트가 안 남게 되었다.
게다가 귀기해방은 엄연히 게임 성능면에선 신기합일의 하위호환이라 너프가 확실히 체감된다.
그래도 팔엽일도류의 진수를 보여주는 최종 S크래프트는 5S라는 최고 위력을 자랑한다. 5S는 인류 최강급 검사로 인증받은 오렐리아, 그 오렐리아의 스승인 빅터, 그리고 하늘의 궤적 FC와 SC의 주인공인 에스텔만 가지고 있다. 이것도 귀기해방이라는 스킬이 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무인검이 4S로 너프된 감이 있지만, 대신 이로운 효과를 모두 제거하는 관통속성을 가지고 있어 실질적으로 5S+급에 해당한다.
노말 이하 난이도에선 여전히 귀질풍으로 쉽게 진행이 가능하지만, 하드 이상 난이도로 주력으로 굴리고 싶다면 CP 수급 세팅을 하고 크로우가 들고 오는 궁니르를 메인으로 둔 뒤 귀기해방→나선격을 주력기로 사용하면 된다. 공격력을 몰아놓았다면 3~4만, 패도를 꼈다면 7만의 대미지는 우습게 뽑아내며 브레이크도 잘 들어간다. 린을 사용할 때는 상태이상 회복 크래프트를 가진 캐릭터(뮤제, 엠마, 엘리엇, 티타)를 함께 배치하여 폭주 상태를 최대한 빨리 해제시켜야 한다. 또는 아츠 중 레큐리아를 넣거나 어차피 남아도는 큐리아 포션을 이용하여 해제시켜도 되기에 딱히 저 캐릭터들이 강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거기에 폭주 상태의 린은 모든 스탯이 올라간 상태라서 조작만 불가능할 뿐이지 죽는 일도 거의 없고, 귀기해방 상태의 린 자체의 SPD가 상당히 빨라 평타를 계속 치다보면 어느새 풀려있는 경우도 많다. 뫼비우스를 낀 캐릭터가 있을 경우 큐리아 포션으로 디버프 광역 해제도 가능하다. 일반(신기합일) 상태에서 질풍이 강화된 이질풍도 2회 공격이 되기는 하므로 일반 상태에서의 운용을 중시하면서 귀기해방 사용 타이밍을 조절하는 것도 방법이 아니면 린을 포함해서 전멸시켜버리고 에린의 펜던트를 통해 린이 부활할 때 린에게 끼워둔 그랄 세라스를 사용한다면 귀기해방이 풀리며 모든 파티원을 부활시킬 수 있다.
만약 귀기해방의 페널티 조절이 어렵다 싶으면 귀기해방후 라우라의 오더를 사용해 5S S크래프트를 날리는 한방 운영도 가능하다. 어찌됐든 린의 스탯은 우수한데다 그 스탯을 뒷받쳐주는 스탯업과 5S의 위력은 여전히 최강이기 때문이다.
또, 전일담에서 인연이벤트로 흭득할 수 있는 액세서리수가 역대 시리즈 최다이며 이 전용 장비들의 성능도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원하는대로 강력한 세팅을 맞춰주기 쉽다.
정리하자면, 이질풍 계열 크래프트가 너프가 되었기는 했지만 세팅이 맞춰지면 전작과 비슷한 성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귀기해방으로 인한 페널티 때문에 전작들처럼 보스전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없기때문에 귀기가 해제되기 전에 배틀을 끝내버리던지, 아니면 라우라의 오더 아발론 하츠(주는 대미지 +60%)를 활용하여 5S 위력의 S크래프트 절기 무인검을 활용하여 한 방에 끝내버리는 게 좋다.
여담으로 엘리엇/엠마 악세서리에 판도라+티타니아+마왕주+천제주를 끼고 린을 아츠캐로 굴리는 방법도 있는데 이 경우 크로노 버스트+세인트 포스+(크로노 버스트+알비온 버프 or 로스트 아츠)x2 반복으로 무한 턴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마쿼 엘더에 마키아스/엘리제 악세서리(or 둘 중 하나에 천제주)를 껴주면 소모 EP보다 EP회복량이 더 많아 2턴마다 크로노버스트를 무한정 사용 가능하다.(즉 크버+공격 무한반복이 가능)
그러나 아츠캐로 운용하는 방법은 가이우스의 절대지연 그 이상으로 게임의 재미를 심각하게 저하시키므로 편하게 스토리만 보고 싶은 게 아니면 자제하도록 하자.
6. 영웅전설 시작의 궤적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신기합일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특정 상황시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명아신기합일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무상신기합일 S크래프트 시전 컷인 |
초기 마스터쿼츠 : 카구츠치
오브먼트 라인 | 4 - 2 - 1 | 공격 속성 | 斬 | 突 | 射 | 剛 |
슬롯 속성제한 | O - 時 - O - 火 - O - 時 - O | SS | - | - | - |
- 크래프트 일람
- 진·비공참(真·緋空斬)→열·비공참(烈·緋空斬) : 레벨 103 강화, CP 소모 20, 위력 D+→C, 브레이크 D, 무너짐 D, 직선M→M+(지점지정), 구동해제 100%, 화상 30%→40%
- 무월일도(無月一刀)→열·무월일도(烈·無月一刀) : 레벨 112 강화, CP 소모 40, 위력 B→B+, 브레이크 B, 무너짐 A, 원M(지점지정), 4턴간 DEF 하락(소)
- 이질풍(裏疾風)→열·이질풍(烈·裏疾風) : 레벨 122 강화, CP 소모 80, 위력 D+→C, 브레이크 C+, 무너짐 D+, 원L(지점지정), 지연+2, 2회 공격. 재밌게도 2형 개전자 아리오스보다도 위력이 더 강하다. 다만 아리오스의 이질풍은 위력이 약한 대신 CP 소모가 적고 범위가 넓으며 버프 해제 기능이 있어서 사용법이 다르므로 직접적인 비교 대상은 아니다.
- 진·나선격(真·螺旋撃)→열·나선격(烈·螺旋撃) : 레벨 203 강화, CP 소모 60, 위력 S→S+, 브레이크 A+, 무너짐 C, 원S(지점지정), 필살 25→30%
- 신기합일(神気合一) : CP 소모 100, 보조, 자기 자신, 3턴간 각성(모든 상태이상, 능력 저하 무효), 3턴간 STR·DEF·SPD 상승(대). 설정상 저주가 소멸하고 키워온 힘의 인자만으로 쓰는 신기합일이기 때문에 기존의 신기합일과는 이펙트가 다르다. 신기합일 상태에서의 린은 맑으면서도 선명한 불꽃에 휘감긴다.
- 명아신기합일(冥我神気合一) : 종장 이벤트 강화, 버프가 4턴으로 늘어나고 ADF 상승(대) 추가, 크래프트가 변화하지만 4턴 후 1턴 행동불능 추가. 저주 기반의 신기합일에 가까운 이펙트로 표현된다. 린 본인도 달리 신기합일의 새로운 경지라고 언급했다.
- 무상신기합일(無想神気合一) : 본편 클리어 후 강화, 4턴 버프 이후의 행동불능 삭제. 전작 섬의 궤적 4 마지막에 린이 자신에게서 이슈멜가를 분리할 때 쓴 그 기술. 현 시점에서 린의 신기합일의 최종 단계. 이펙트도 일반 신기합일과 달리 불꽃과 벼락에 휩싸인다.
- 크래프트 일람(신기합일/무상신기합일) / 기술 강화시 신기합일 시 기술도 강화된다.
- 열·비공참(烈·緋空斬)→극·비공참(極·緋空斬) : CP 소모 20, 위력 C→C+, 브레이크 D, 무너짐 D, 직선M+(지점지정), 구동해제 100%, 화상 40%→80%
- 열·무월일도(烈·無月一刀)→극·무월일도(極·無月一刀) : CP 소모 40, 위력 B+→A, 브레이크 B→B+, 무너짐 A→A+, 원M(지점지정), 4턴간 DEF 하락(소)→(대)
- 열·이질풍(烈·裏疾風)→극·이질풍(極·裏疾風) : CP 소모 80, 위력 C→C+, 브레이크 C+→B, 무너짐 D+→C, 원L(지점지정), 지연+2→+4, 2회 공격, 강화 시 봉기 40% 추가
- 열·나선격(烈·螺旋撃)→극·나선격(極·螺旋撃) : CP 소모 60, 위력 S+→SS, 브레이크 A+→S, 무너짐 C→C+, 원S(지점지정), 필살 30→40%, 강화 시 기절 40% 추가
- 크래프트 일람(명아신기합일) / 기술 강화와 상관없이 명아신기합일 시 아래의 기술로 변경된다
- 멸·비공참(滅·緋空斬) : CP 소모 20, 위력 C+, 브레이크 D, 무너짐 D, 직선M+(지점 지정), 구동 해제 100%, 화상 60%
- 멸·호월일섬(滅·弧月一閃) : CP 소모 40, 위력 A+, 브레이크 B+, 무너짐 A+, 원M(지점 지정), 4턴간 DEF 하락(중)
- 멸·귀질풍(滅·鬼疾風) : CP 소모 80, 위력 C+, 브레이크 B, 무너짐 C, 원L(지점 지정), 지연+4, 봉기 35%, 2회 공격
- 멸·나선격(滅·螺旋撃) : CP 소모 60, 위력 SS, 브레이크 S, 무너짐 C+, 원S(지점 지정), 필살 35%, 기절 35%
- S크래프트 일람
- 칠의 태도·각엽(七ノ太刀·刻葉) : 레벨 105 습득, 위력 4S, 브레이크 C, 무너짐 무효, 전체, 4턴간 SPD 하락(대)
- 섬의 태도·각엽(閃ノ太刀·刻葉) : 위력 4S+, 브레이크 B, 무너짐 무효, 전체, 5턴간 SPD 하락(대) / 신기합일 시 사용 가능
- 재의 태도·흑엽(灰ノ太刀·黒葉) : 위력 4S+, 브레이크 B, 무너짐 무효, 전체, 6턴간 SPD 하락(대) / 명아신기합일 시 사용 가능
- 종언의 태도·천엽(終ノ太刀·天葉) : 위력 4S+, 브레이크 B, 무너짐 무효, 전체, 7턴간 SPD 하락(대) / 무상신기합일 시 사용 가능
- 오의·무인검(奧義·無仞劍) : 위력 SSS+, 브레이크 D, 무너짐 무효, 전체, 포지티브 상태 해제 / 전작의 최종기가 이번에는 가장 약한 S크래프트로 너프됐다.
- 진·무인검(真·無仞劍) : 위력 4S+, 브레이크 C, 무너짐 무효, 전체, 포지티브 상태 해제 / 신기합일 시 사용 가능하나 추후 시련의 문 돌파 후 상시 사용 가능
- 멸·무인검(滅·無仞劍) : 위력 5S, 브레이크 B, 무너짐 무효, 전체, 포지티브 상태 해제 / 강화 상관없이 명아신기합일시 사용가능
- 절기·무인검(絶技·無仞劍) : 위력 5S+, 브레이크 B, 무너짐 무효, 전체, 포지티브 상태 해제 / 시련의 문 돌파 후 신기합일 시 사용 가능
- 브레이브 오더 일람
- 열공진 《염군》(烈攻陣《焔群》) - BP 소모 1, 공격(4카운트 / 대미지+25%), CP+15
- 견뢰진 《현무》(堅牢陣《玄武》) : BP 소모 2, 방어(8카운트 / 받는 대미지 0.5배), HP와 EP 15% 회복
6.1. 평가 및 운용
공동 주인공 로이드나 C와 비교해서 훨씬 공격적인 성능의 주인공.기본 능력치 자체는 신기합일을 사용할 것을 전제로 했기 때문인지 설정상의 실력에 비하면 좀 어중간하게 잡혀있다.[25] 그 대신 신기합일이 종료 후 상태이상이라는 운용상 약점이 사라졌고[26], 좀처럼 걸기 어려운 대버프를 한번에 서너 가지 스테이터스에 걸 수 있으므로 굉장한 고성능을 자랑한다.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엄청나게 늘어난 와중에도 '각성'을 보유한 극소수의 자버프라는 점도 포인트다.[27]
그리고 전반적인 크래프트의 성능이 모든 캐릭터들 중에서 손에 꼽힌다. 마스터쿼츠와 쿼츠들을 공격, 속도, CP회복에 세팅해주고 다니면 신기합일 후 이질풍으로 잡몹 학살하는 섬궤2, 3 당시의 플레이 재현이 가능하다. 스토리 진행 중 몽환회랑을 돌면서 다른 파티원들을 이끌어주는데 린 이상 가는 성능의 캐릭터는 없다. 전작 종장에서 습득한 S크래프트 무인검을 초반부터 가지고 있어 상대의 모든 버프를 초반부터 지우고 다닐 수 있다는 곳도 엄청난 메리트.
린에게 자주 착용하는 마스터쿼츠였던 궁니르의 CP회복이 공격아츠 크리티컬 확률상승으로 변경되면서 궁니르를 메인에 놓아 CP와 딜 증가를 둘다 노리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고로 극후반 최종세팅이 아닌 이상에야 마스터 쿼츠를 카구츠치 or 솔레유 or 보탄으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아진 편이다.
다만 고난이도로 갈 수록 되도록 상대방에게 턴을 내주지 않는 전술이 중요시되는데 린은 이 부분에서의 기여도가 낮기 때문에, 자기 턴을 무한히 돌릴 수 있는 로이드나 스윈, 라피스, 가이우스 등에 비해 우선도가 낮아진다. 나선격의 높은 필살률을 살려서 크리티컬 확률을 높이는 세팅을 해 BP 수급 요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있지만 이건 리샤, 피, 요슈아 등의 스텔스 요원들이 훨씬 잘 할 수 있고, 단순 대미지만 봐서는 아츠가 워낙 강한 게임인지라 역시 한끝 아쉬운 대목. 사실 이건 엄밀히 말해서 린만이 아니라 비슷하게 딜러로서의 역할에 특화된 물리 기반 캐릭터들이 가지는 시스템상의 공통적인 한계이기도 하다.
참고로 레벨업에 따른 크래프트 승급도 있으면서 크래프트를 강화시키는 자기버프기 신기합일도 3종류나 있어 크래프트 종류가 어처구니없이 늘어난다. 다만 신규 모션은 일체 없고 신기합일 종류에 따른 이펙트 차이만 있는 편.
명아신기합일/무상신기합일 시 S크래프트 컷인이 전작에서 나온 친아버지의 컷인과 비슷한 구도로 바뀐다.
7. 영웅전설 계의 궤적
- 크래프트
- 비엽검
- 육연질풍-무츠라하야테-
- 화문의 태도
- 무상신기합일
- 크래프트(신기)
- 열 비엽검
- 열 육연질풍
- 화문의 태도 아사기
- S크래프트
- 재의 태도 유전광인
- S크래프트(신기)
- 재의 태도 유전광인
7.1. 평가 및 운용
필드배틀 평타모션은 공격 버튼 1번에 1격, 2번에 2 → 3격, 3번에 4 → 5 → 6격을 크고 화려하게 휘두르는 데다 회피 후 공격 시 원거리 공격기인 비엽검을 날리는 등 언뜻 운용 방식이 매우 효율적이고 폭넓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공격 방식으로 인해 공격 버튼을 연타 할 수록 플레이어의 통제권이 상실되는 시간이 늘어나며, 그 공격이 엉뚱한 방향을 향할 수록 불필요한 곳에 칼질을 해 대는 격이 된다. 물론 도중에 회피 버튼을 누르면 무조건 우선시 되어 도중에 공격을 캔슬할 수 있지만, 동료들의 싸움으로 인해 터지는 빛들에 더해 린 본인이 휘두르는 커다란 붉은 검기가 화면을 가려버려 다른 캐릭터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황 확인 및 판단이 조금 어렵다. 이런 단점까지 종합해서 보면 공격 모션이 그렇게까지 좋다고는 보기 어려우므로, 공격할 대상을 처음부터 명확히 해 두고 저스트 회피와 차지 어택 위주로 풀어가는 것이 유용하다.커맨드 배틀 성능은 주력 물리 딜러로 적 보스가 온갖 버프를 주렁주렁 달고나오는 본작에서 올 캔슬 S크래프트인 재의 태도의 활용도가 높다. 반이나 애런 같은 후면 특효 딜러가 거대보스전에서 보스의 뒤를 잡을 수 없어서 이론에 비해 실질 대미지가 안나오는데 반해 후면 특효기인 육련질풍, 측면 특효기인 화문의 태도가 모두 고위력기라 골라 쓰기 좋다. 신기합일 시 S크래프트는 이름은 재의 태도로 같지만 위력이 X+로 올라가는 점도 장점이다. 잡몹(중에서도 강적 판정을 가진) 상대로는 처음부터 각성 상태로 필드 배틀을 벌이다 스턴 상태가 되면 커맨드 전투로 돌입, 샤드 부스트를 발동해 EX 체인을 On 한 상태로 공격 → 이어서 S.C.L.M 연결 된 동료와의 EX 체인으로 CP와 부스트 게이지 소모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고대미지를 뽑아내는 방식이 용이하다.
다만 전체적으로 CP 소모율이 높아서 장기전에서는 CP 관리가 힘들다. 쿼츠가 어느 정도 모이면 웨폰 라인의 버스트게인이나 실드 라인의 A라이즈가드, 엑스트라 라인의 파워차저 등의 CP회복 샤드 스킬을 맞춰주는 것이 권장된다.
필드 배틀에서 각성을 쓸 수 있는 몇 안되는 캐릭터 중 한명으로, 린은 신기합일 상태가 되며 화력이 엄청나게 강해진다. 각성의 공통점으로 발동한 상태에서 커맨드 배틀로 들어가면 첫 턴을 CP 소모 없이 신기합일 상태로 시작하는데, 필드 배틀에서 신기합일을 켜자마자 커맨드 배틀에 돌입하면 사실상 공짜로 신기합일을 사용할 수 있다. 고작 한 턴 뿐이지만 린과 시즈나의 경우 신기합일 시 단순히 능력치 버프만 걸리는 게 아니라 크래프트의 전반적인 성능 자체가 상향되기 때문에, 다른 각성 보유자들에 비해서도 상당히 효용성이 높다.
[1] 이번작부터 내성에 비율이 생기면서 지연에 완전내성을 가진 경우는 이벤트전 내지는 캐릭터로 최후에 싸우는 기갑병정도 밖에는 없다.[2] 상대의 몸통을 대각선으로 내려 베는 것을 뜻하지만, 게임 내에선 그냥 수직으로 벤다.[3] 원래 제작당시에는 EP를 소모하는 것이 아닌 CP 200(!)을 소모했었다. 하지만 계속 사용할 수 없고, 턴제한 문제 때문에 EP소모기로 바뀌었다. 그런데 EP 소모로 바뀌어서 오히려 이득이 된 것이, 제로 아츠 턴에서 사용할 경우 EP 소모 없이 소환된다![4] 첫번째 탑승형 크래프트는 천공의 궤적 TC의 티타 러셀의 오벌기어. 다만 이쪽은 턴 제한이나 따로 전용시스템으로 배틀을 하는 것이 아니다.[5] 파티 멤버가 전부 사라지고 발리마르로 대체된다. 파이널 판타지10에서 소환수 소환과 비슷한 시스템이다.[6] 한자는 '속 리'자이지만 두음법칙상 이로 읽는다.[7] 격파를 안해도 5체정도 때리면 CP 수급은 본전이고 격파시에는 총 CP회복량이 100을 넘어간다. 특히 게임 시스템상 이질풍 1타에 격파되었을 경우 격파 CP회복이 두번 적용되기 때문에 패도쿼츠를 낀 경우 5체 격파시 CP 수급이 200가까이 가능할 정도. 거기다가 포스의 자동 CP회복까지 더해지면...[8] 전작과 번역이 다르다. 추가로 vita, ps3버전의 번역명은 창염의 태도 ps4 kai 버전은 푸른 화염의 태도다.[9] 본작에서 스토리상 자동으로 S크래프트를 습득하는 3명의 캐릭터중 하나이긴 한데, 나머지 2명과는 달리 습득하는 상황이 굉장히 밋밋하다. 종장에서 커레이져스로 사관학원생들이 떠나는 시점에서 얻게 되어있는데, 사라의 노던 익시드는 그녀가 자신의 과거 문제를 스스로 결판내기 위해 북의 엽병들을 상대로 단신으로 싸우는 시점에서 습득되고, 엠마의 조디악 레인은 항상 동경해왔고 열등감까지 품고 있던 비타 크로틸드에게 그녀 자신이 나아갈 길을 명확히 내세우며 글리아노스와 싸우는 상황에서 습득하는 것을 생각하면 그냥 구색 맞추기로 습득되는 게 아닌가 싶을 정도. 그 대신 신기합일의 습득 이벤트는 굉장히 신경을 썼다. 알리사 루트를 탈 경우 사실 동정탈출 기념으로 습득한다 카더라[10] 섬궤2의 S크래프트 중 최대치다. 같은 4S+ 위력으로는 크로우의 데들리 크로스와 비타의 심연의 푸른노래가 있긴하지만 이 둘은 쿼츠의 혜택을 거의 받지 못하므로 사실상 작중 최강 S크래프트. 이를 넘어서는 수치는 로스트 아츠 계열의 5S뿐.[11] 여기서 무명이란, 이름이 없다라는 뜻이 아니라 빛이 없다는 無明을 말한다. 즉 어둠을 베어 세상을 밝히는 일도라고 생각하면 될듯.[12] 전작에서 린을 사기 캐릭터로 만든 그 크래프트. 스토리 상에서는 폭주에 의해서 사용을 하지 못하다가 2장에서 처음 플레이어블로 사용 가능하며, 엠마에게서 펜던트를 받은 3장부터는 정식 크래프트로 사용이 가능. 3턴의 제한은 여전하며, 일부 대결에서는 신기합일이 계속 유지된 상태에서 싸울 수 있다. 주의할 점은 오더가 발동된 상태에서 신기합일을 사용하면 카운트를 하나 잡아먹는다는 것. 되도록이면 신기합일을 사용한 후에 오더를 발동하는 것이 좋다.[13] 재미있는 건 전작에서는 2회차 이후 플레이 시 데이터 승계를 했더라도 이벤트로 습득해야하는 크래프트 중 하나였지만, 3에서는 데이터 승계 시 크래프트 계승을 선택하면 서장부터 신기합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폭주 때문에 신기합일을 못 쓴다는 초반 상황과 묘하게 괴리감이 생긴다.[14] 전작의 난이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전설의 그 기술. 범위가 직선에서 원으로 변경되고 CP 소모가 50에서 90으로 상승했으며 붕괴발생률이나 봉기발생율도 하락하는 등 수정이 가해졌다. 때문에 CP 200 혹은 그 가까이 되어야 신기합일 후 바로 이질풍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스터 쿼츠를 카구츠치를 꼈을 경우 CP 수급을 최대한 세팅한 상태라도 잡몹의 수가 어느 정도 되지 않으면 CP 수급이 힘들어졌지만 후반부에 얻을 수 있는 마스터 쿼츠 궁니르를 메인으로 껴주고 서브 마스터 쿼츠를 카구츠치로 껴주면 몹 3마리만 잡아도 CP가 200으로 차서 소모 CP가 늘어 났어도 2이상의 사기력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쿼츠 패도의 1격 판정과 실패 파정 역시 2와 동일하다.[15] 이해를 못한 사람을 위해 덧붙이자면 이질풍은 신체 능력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어야 사용할 수 있어서, 일반 상태가 아닌 신기합일 상태로 신체 능력이 상승해 있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런데 그걸 신기합일 상태가 아닌 평소 상태에서 사용해버렸으니...엘리제를 건드리면 주옥되는 거에요. 아주 주옥되는 거에요[16] 나선격과 마찬가지로 범위는 좁지만 위력은 단독으로 2S를 뽑아내며 브레이크 대미지도 우수. 전작에서 비슷한 느낌이었던 멸 용염격이 이질풍에 밀렸던 것과 다르게 3에서는 이질풍의 소모 CP 상승으로 인해 상황에 따라서 멸나선격(단독/좁은 범위)과 이질풍(잡몹 처리/넓은 범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담으로 나선격은 팔엽일도류 제1형에 해당하는 기술이다.[17] 아츠 구동시간을 0로 만들기 때문에 아츠를 사용할 경우 유용한 오더. 구동 후 경직시간을 줄여주는 쿼츠와의 조합이 사기적인데, 예를 들어 마스터쿼츠 티타니아와 은언령을 장착하고 신락을 발동한 뒤 환속성 아츠를 사용하면 2 정도의 경직시간 뒤에 바로 턴이 돌아온다. 적을 브레이크시켜서 턴을 좀 벌었을 경우 이 방법으로 아츠만 연사해서 끝장낼 수도 있다[18] 종장에서 신기합일 상태로 오렐리아에게 승리하는 퀘스트를 클리어해야 입수할 수 있는 오더. BP 소모가 크지만 그만큼 카운트도 길며 명중률과 회피율을 올려주는 심안과 필살률을 함께 적용시켜주는 희귀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19] 궁니르+카구츠지 조합이면 한 마리당 CP 36이 수급된다. 여기에 1격 째에 쓰러뜨렸을 경우, 2격째에도 CP가 중복되어 들어오기 때문에 3~4마리만 잡아도 200으로 원상 복귀하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20] 4에서 린을 다룰 때 가장 주의해야 할 크래프트. 상시 신기합일 상태인 걸 감안하면 '신기합일 상태의 신기합일'이라 봐도 무방하며 효과도 동일하다. 다만 이쪽은 4턴째 이후 폭주로 인한 조작 불가라는 치명적인 패널티가 있다. 이 폭주 상태에선 STR 상승(대) 및 모든 상태이상/능력저하 무효가 되지만 링크가 끊기면서 자동으로 일반 공격을 한다.[21] 폭주는 턴 종료 후 30% 확률로 해제되는데, 모든 상태이상 무효화 액세서리를 장비하더라도 폭주 상태를 막을 수 없다. 때문에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해선 전상태이상 해제 효과가 붙은 아이템 및 아츠(큐리아 등)나 크래프트(뮤제의 사피르 레인, 엘리엇의 홀리송, 엠마의 셀레네스 브레스, 티타의 바이탈 캐논)를 직접 사용해주어야 한다. 그동안 신기합일에 대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패널티가 마지막에서야 추가되었는지라 2와 3에서의 신기합일과 느낌이 다르기는 할 것이다. 브레이브 오더는 귀기해방 사용 후 사용해야 턴 낭비가 안되는 건 3와 동일하지만 조작불능 턴까지 계산할 필요가 있다.[22] 이질풍을 따로 배우기는 하지만, 귀기해방이 전작의 신기합일인걸 감안하면 2와 3의 이질풍이 대체된 기술이라 봐도 무방. 위력 대폭 하락은 기본에 연기 및 봉기발생률 하락 등 전반적으로 너프되었다. 이전 시리즈에 비해 위력이 확실히 체감될 정도로 약해졌지만 2회 공격과 린의 우수한 스텟 덕분에 여전히 잡몹전에선 훌륭한 청소기와 cp 수급용으로 쓸 수 있다.[A] 팔엽일도류 문서에서도 설명하고 있듯 이 유파는 나선(螺旋)부터 무수(無手)까지 8개의 형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마지막 제 8형 무수(無手)는 검을 손에 쥐지 않을 경우 구사하는 격투술이기에, 형은 총 8개지만 검을 사용하는 오의로서는 7번의 참격만 가한다.[24] 환속성 아츠 알비온 볼프, 태양속성 로스트아츠 프로미넌스 로어와 더불어 아군이 사용할 수 있는 강화해제기 셋 중 하나다.[25] 속도는 전체에서 6위권에 들어서 나쁘지 않지만(사라, 샤론, 스윈과 공동 순위) 체력과 공격력, 방어력이 전체 플레이어블 중에서 15~20위권 정도.[26] 명아신기합일의 1턴 행동불능 제외[27] 정확하게 말하자면 자버프로 각성 자체는 린만 보유하고 있다. 다만 맥번의 마인화가 사실상 각성 효과라서 유일한 것은 아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린 슈바르처|린 슈바르처]]}}}{{{#!if external != "o"
[[린 슈바르처]]}}}}}}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린 슈바르처?uuid=b8592ec6-1d92-4d7e-92e8-6c39017abb13|r151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린 슈바르처?uuid=b8592ec6-1d92-4d7e-92e8-6c39017abb13#s-3|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린 슈바르처?from=151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린 슈바르처|린 슈바르처]]}}}{{{#!if external != "o"
[[린 슈바르처]]}}}}}}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린 슈바르처?uuid=b8592ec6-1d92-4d7e-92e8-6c39017abb13|r151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린 슈바르처?uuid=b8592ec6-1d92-4d7e-92e8-6c39017abb13#s-3|3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린 슈바르처?from=151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