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발매 정보 | 정규 제품 | 스타터 덱 | 최강 배틀 덱 | 기본 팩 | |||||
비정규 제품 | 메가로드 팩 | 오버러시 팩 | 레전드 각성 팩 트리플 빌드 팩 | 스트럭처 덱 | |||||||
일회성 제품 | 캐릭터 팩 | 맥시멈 초절강화 팩 엑스트라 초월강화 팩 | 골드 러시 팩 VS 팩 | 익스프레스 팩 | 하이그레이드 컬렉션 | |||||||
비매품 | 배틀 팩 | 시크릿 에이스 팩 | 스페셜 빅토리 팩 | 기타 카드 | |||||||
규칙 및 용어 | 턴 구성 | 리미트 레귤레이션 소환 | 맥시멈 소환 | 퓨전 소환 | 리추얼 소환 | |||||||
카드 분류 | 레전드 카드 | 테마 일람 | 속성 | 종족 일반 몬스터 | 맥시멈 몬스터 | 퓨전 몬스터 | }}}}}}}}} |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별 신규 소환법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OCG 기반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tablebgcolor=#ffffff,#191919> DM | GX | 5D's |
어드밴스 소환 의식 소환 융합 소환 | 싱크로 소환 | ||
ZEXAL | ARC-V | VRAINS | |
엑시즈 소환 | 펜듈럼 소환 | 링크 소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러시 듀얼 기반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SEVENS | 고 러시!! | |
어드밴스 소환 맥시멈 소환 퓨전 소환 | 리추얼 소환 |
1. 개요
|
리추얼 소환 / リチュアル召喚 / Ritual Summon
유희왕 러시 듀얼의 소환법.
2. 특징
퓨전 소환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틀이 OCG 및 유희왕 원작의 의식 소환에서 비롯된 소환법. 정확히는 덱에 의식 몬스터를 넣지 않는 원작 유희왕의 초창기 의식 소환 방식과 더욱 비슷하다.[1]리추얼 소환을 하기 위해서는 패/필드에 리추얼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는 리추얼 마법 카드[2]와 패/필드에 소재가 될 몬스터를 준비해야 한다. 리추얼 몬스터는 퓨전 몬스터처럼 엑스트라 덱에 넣는다.[3] 준비가 갖춰졌다면 리추얼 마법 카드를 발동하고 소재 몬스터들의 레벨의 합계가 리추얼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묘지로 보낸다. 이때, 여분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는 없다.[4][5] 그 후 엑스트라 덱에서 리추얼 마법 카드에 기재된 리추얼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때 묘지로 보내진 몬스터들은 리추얼 소환의 소재로 판정한다. "퓨전 소환할 때에 소재로 한 몬스터"처럼 "리추얼 소환했을 때에 소재로 한 몬스터"라고 적는 식. 원래 OCG에는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소재가 존재하던 반면 의식 소재는 "○○ 몬스터를 사용하여 의식 소환한 몬스터" 또는 "의식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어 묘지로 보내지는 몬스터" 정도로만 두루뭉실하게 적혔을 뿐, 릴리스되는 의식 몬스터를 의식 소환의 '소재'로 직접 판정하지는 않았다.
애니메이션에서 카드를 운용하는 모습과 카드의 텍스트가 공개되고 실장 발표까지 되었지만 오랜기간 공식적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고, 시간이 지나 25년 3월 21일에 스트럭처 덱 흑마술의 의식, 그리고 최초의 리추얼 몬스터인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가 최초로 정식 공개되었다.[6]
3. 원작
3.1. 유희왕 고 러시!!
|
의식에 의한 "크나큰 성장"을 거쳐 유디아스가 손에 넣은 새로운 소환법! "리추얼 마법"을 발동하고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초 고레벨의 에이스 몬스터를 불러낸다!
유희왕 고 러시!! 워드 해설 【리추얼 소환】 中
유희왕 고 러시!! 워드 해설 【리추얼 소환】 中
콰이두르 벨갸가 유디아스 벨갸와의 듀얼에서 리추얼 소환을 선언해 이터널 갤럭티카 오블리비언을 단숨에 쓰러트리며 유디아스를 패배시켰다.
|
128화부터 새롭게 바뀐 오프닝에서 트랜잠 라이나크의 배경에 의문의 초승달과 도깨비불들이 등장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는데, 리추얼 소환 연출 시에 이 초승달이 메워지는 연출로 나타나며 일종의 떡밥이었음이 드러났다.[8]
이후 밝혀진 콰이두르에 설명에 의하면 리추얼 소환이란 평행세계의 힘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선 다른 평행세계의 존재와 그 속에서 벌어지는 무수한 비극과 고통, 희생들을 바탕으로 승리를 거머쥐려는 강인한 정신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오티스가 된 유히가 시간의 힘을 구사할 것을 예측했기에 이에 대항하기 위해 평행세계의 힘을 연구하였고, 이를 트랜잠 디스카르마 라이나크&디스카르마 리추얼이라는 형태로 완성하여 벨갸인 중에서 유일하게 성장이 가능한 유디아스에게 맡긴 것. 초승달 문양 또한 평행세계와 이어지는 시공의 문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최후반에서 시공의 문이 이 초승달 형태로 왜곡되어 고정된다.
또한 오테이우스도 돌 드론이 만들어낸 리추얼 마법 카드[9]에 의해 리추얼 몬스터 마제스티 오브 아우터버스를 사용하게 된다. 생성 과정은 심플했으나 이 또한 평행세계의 힘을 견뎌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똑같아서, 오테이우스는 수많은 평행세계의 오티스들이 자신과 하나되는 고통을 가까스로 버티고 나서야 리추얼을 다룰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몬스터가 최종 보스가 되면서, OCG 기반 작품까지 합쳐도 최초로 의식&리추얼 계열 몬스터가 최종 보스를 차지하게 되었다.
애니메이션에서 홍보되는 신규 소환법이긴 하나 최후반에 등장하여 첫 등장과 최종전을 빼면 오직 주인공 유디아스 벨갸만 사용하는 소환법이기 때문에 고 러시의 메인 소환법이라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주인공만이 가진 특별한 힘으로 작중에서 스포트라이트 자체는 있으나 리추얼 소환 상품은 유디아스를 내세우지 않은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가 먼저 등장하는 등, 애니메이션과 크게 연관이 없다. 방송 중의 판촉보다는 종영 후의 상품 전개를 예고하는 목적의 판촉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애매한 판촉의 원인은 종영 이후 대충 그 원인을 추측할 수 있게 되었다.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2025 샤르자 애니메이션 컨퍼런스에 따르면 고 러시는 원래는 2년째에서 완결을 내려 했으나 인기가 좋다는 이유로 3년까지 연장된 작품이었던 것. 이에 따라 원래라면 방영 시기와 판매 시기가 겹치지 않아 등장할 예정이 없었던 리추얼 소환이 뒤늦게 고 러시의 판촉 대상에 포함되었고, 그 결과 '최후반에 등장하여 주인공과 최종 보스만 사용한다'는 스토리가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4. 유희왕 듀얼링크스
맥시멈 소환, 퓨전 소환과 마찬가지로 시간대상 존재하지 않았기에 이후 출시될 것으로 추정.유희왕 SEVENS 월드 오픈 당시, 즉 러시 듀얼 서비스를 시작할 당시부터 클라이언트 데이터에 의식 소환의 러시 듀얼 버전으로 보이는 카드 틀이 발견되었다. 유희왕 고 러시!! 월드가 한창 본편 3기가 방영되던 도중에 출시[10]되었으므로 아직까지는 더미 데이터지만, 듀얼링크스에서 러시 듀얼을 서비스할 때부터 추가를 염두에 둔 소환법으로 추측된다.
5. 관련 카드 일람
6. 리추얼 몬스터 일람
- 레벨 7
- 레벨 8
- 레벨 11
7. 기타
[1] 다만 유희왕 원작의 의식 소환은 필드 위의 몬스터 카드가 진화하는 방식이었다. 다시말해 원작에서는 의식 제물 몬스터(소재)와 의식 대상 몬스터가 따로였다는 것. 의식 대상이 의식 소재를 먹고, 의식 몬스터로 진화하는 느낌. 굳이 현실 카드 룰로 구현하자면 소재는 묘지로 보내고, 의식 대상은 의식 몬스터 아래에 겹쳐서 두는 느낌에 가까울 듯하다. 실제 OCG와 러시듀얼에서는 전부 그냥 묘지로 보내는 것으로 구현했다.[2] 의식 소환과 달리 퓨전 소환처럼 카오스-흑마술의 의식 등 일부 예외를 빼면 필드의 몬스터만 소재로 쓸 수 있다.[3] OCG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OCG에서는 패에 의식 몬스터와 의식 마법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4] 예를 들면, 레벨 11의 트랜잠 디스카르마 라이나크를 리추얼 소환할 때, 필드의 갤럭티카 오블리비언(레벨 7)과 트랜잠 라이나크(레벨 4)의 합계로 11이 채워졌다면 필드의 다른 몬스터를 소재로 할 수 없다.[5] 이는 OCG에서도 해당되는 사항이지만 이점을 러시 듀얼에서는 리추얼 마법에 직접 기재한다.[6] 고 러시 135화가 24년 11월 24일에 방영되었으므로 첫 등장 이후 총 117일만에 정식 공개되었다.[7] 이 뒤에 디스카르마 라이나크의 소환 영창이 나오지만 중얼거리는 형태로 뮤트 처리되었다. 자세히 들어보면 디스카르마 라이나크의 소환 영창 중 "고통 증오 그리고 절망" 이라는 문장이 어느정도 들린다.[8] 이후 140화부터는 트랜잠 디스카르마 라이나크가 등장하는 장면이 추가된다.[9] 돌 드론은 비활성화 상태일 때는 행동을 못 하는 대신 러시 듀얼 전체의 밸런스에 적합한 카드를 생성해내는 기능이 설정되어 있었는데, 유디아스 일행이 전국 시대에 나타나자 그 밸런스에 리추얼 소환도 포함되면서 이를 생성하게 된 것이다.[10] 대신 '월드 출시마다 추가되는 신규 요소'로는 퓨전 소환이 세븐즈 월드에 추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