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2:35:07

리뷰왕 장봉기

리뷰왕 장봉기 (2024)
Mr. Review
파일:리뷰왕장봉기포스터.png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000000,#e0e0e0>
장르 코미디
감독 신기헌
원작 오승진
주연 김종구, 김가영
제작사 21스튜디오, 스튜디오SAG
방영 기간 2024년 3월 29일 전편 공개
방영 회차 7부작
스트리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TVING 로고.svg
[[Wavve|
Wavve
]]
파일:세계 지도.svg: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기획의도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포스터6. 티저7. 에피소드8. OST9. 여담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베스트셀러 작가를 꿈꿨지만 60년 평생을 무명소설가로 살아온 아파트 경비원 장봉기, 그가 무심코 작성한 배달 앱 리뷰로 인해 제1의 전성기를 맞이하며 진정한 리뷰왕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린 코미디 드라마

21스튜디오가 제작한 코미디 웹드라마. 2024년 3월 29일 공개되었다.

 

2. 기획의도


호갱이 되기 싫은 대한민국 사람들, 우리는 선택을 할 때 리뷰를 참고해 후회스러운 실수를 저지르지 않길 바란다.

 

배달 음식을 고를 때 리뷰수 500개인 별점 5.0인 가게와 리뷰 수 2개인 별점 3.0인 가게가 있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전자를 선택하려 할 것이다.

 

그런 세태 때문에 [리뷰]라는 것은 강력한 무기로 변해 누군가를 웃게 하기도 누군가를 울리기도 한다.

 

이 작품은 누군가를 울리는 리뷰보다는 많은 이들을 웃게 하는 리뷰에 대한 이야기다.

[무명소설가]가 전처를 위해 슨 [리뷰]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관성적으로 밀려온 인생이 송두리째 변하는 과정을 통해, 원했던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는 인생이라도 좋은 인생임을 이야기하고 싶다.

 

사실 리뷰는 현실적인 소재지만, 반대로 [리뷰왕]이라는 소재는 [판타지]에 가깝다.

 

이 이야기가 비록 [판타지]처럼 느껴지더라도...

하루를 고단하게 견뎌온 사람들이 집으로 돌아와 편안하게 저녁을 먹으며

이 작품을 보고 즐겁게 깔깔거렸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내일 역시 희망찰 거라고, 힘내라고

그들의 어깨를 토닥거려주는 이야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3. 시놉시스


60년 평생 무명소설가로 살아온 장봉기.

유명 베스트 셀러 소설가가 되기를 줄곧 꿈꿔왔다.

20년간 집필한 서부극 소설<황야의 유법자>를 필살기로 선보이며,

화려하게 데뷔하고자 했지만 모든 출판사에서 거절당하고,

메스트셀로로 잘 나가는 후배 작가, 진필에게서도 무시를 받자 큰 슬픔에 빠진다.

봉기는 슬픔을 달래기 위해 시킨 짜장면과 탕수육에 "익명"으로 리뷰를 휘갈기고,

별점 테러를 당해 망할 위기에 처했던중국집이 리뷰 덕분에 살아난다.



봉기는 자신이 쓴 리뷰에 '좋아요'가 312개가 달리자, 희열에 찬다

여러 가게들을 다니며 리뷰 서비스를 받고 리뷰를 쓰면서 자신의 영향력을 즐긴다.



배달 기사이자 음식에 진심인 단비는 자신의 최애 중국집이 살아난 것에 기뻐한다.

중국집 사장은 권위있는 잡지 <맛집기행>으로부터 금전 협박을 받은 사실을 토로하고,

단비는 분노를 금치 못한다.

단비는 자신의 최애로 뽑은 다른 가게들도 별점 테러를 당한 사실을 알게되지만,

어떻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단비는 장봉기를 찾아가 도움을 요청하고,

봉기는 자신의 글로 사람들을 도울 수 있다는 사실에 희열에 찬다.



봉기는 단비와 함께 힘든 상황에 처한 힘 없는 사람들을 도우며

진정한 '리뷰왕'으로 거듭난다.

4. 등장인물


 * 장봉기 (김종구)

 

 * 강단비 (가요이)

 

 * 오진필 (김용태)

 

 * 명석 (송철호)

 

 * 우식 (한세진)

 

 * 장빛나 (서수민(배우))

 

 * 기여운 (오민애)

 

 * 아마르 (아누팜 트리파티)

 

5. 포스터

<nopad> 파일:리뷰왕장봉기포스터.png
 

6. 티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양식에 대한 내용은 템플릿: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예고편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에피소드


문서를 따로 분리하지 않고자 할 경우 템플릿:웹드라마/에피소드 가이드 문서에 있는 양식을 따르시고 해당 문단에 봍여넣기를 해주세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웹드라마 제목/에피소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상을 삽입하지 않고 링크로 대체하고자 할 경우 아래 양식을 따르시기 바랍니다.
<rowcolor=#000000,#dddddd> 에피소드 제목 업로드 일 링크
EP.1 제목

부제:

썸네일 제목:  
20○○년 ○○월 ○○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EP.2 제목

부제:

썸네일 제목:  
20○○년 ○○월 ○○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EP.3 제목

부제:

썸네일 제목:  
20○○년 ○○월 ○○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EP.4 제목

부제:

썸네일 제목:  
20○○년 ○○월 ○○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EP.5 제목

부제:

썸네일 제목:  
20○○년 ○○월 ○○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8. OST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양식에 대한 내용은 템플릿: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음악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여담


 *

 

10. 관련 문서


 *

 

11.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