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3:48:38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선발전/LEC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FFF><tablebordercolor=#40423f>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지역별 선발전 일람
}}} ||
선발전
파일:2018_2020_lck_logo.png파일:LCK white.png
LCK
파일:lpl.png
LPL
파일:lec 심볼 민트.svg
LEC
파일:NA_LCS_Logo.png
LCS
파일:LMS_2018_Logo.webp파일:LMS White.png
LMS

1. 개요2. 진행 방식3. 대회 정보
3.1. 챔피언십 포인트3.2. 일정
4. LEC 대표 선발전
4.1. 1라운드 OG 2 : 3 SPY
4.1.1. 경기 내용
4.2. 최종전 S04 0 : 3 SPY
4.2.1. 경기 내용
4.3. 시드 결정전 FNC 3 : 0 SPY
4.3.1. 경기 내용
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에 참가할 LEC 팀 중 2시드, 3시드를 선발하는 경기들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2. 진행 방식



LEC는 3장의 시드권을 다음 방식에 따라 부여한다.
  • 1번 시드: 서머 우승 팀
  • 1번 시드를 제외한 남은 팀 가운데 챔피언십 포인트를 가장 많이 획득한 네 팀(동률일 경우 서머 성적에 따름)을 대상으로 선발전을 진행
    • 2번 시드: 선발전 최종전 승리 팀
    • 3번 시드: 선발전 최종전 패배 팀

서머 우승 팀이 1번 시드권을 획득하는 것은 LCK와 동일하나, 포인트 1위에게 2번 시드권을 바로 주고 2~5위까지 선발전을 실시해 1팀을 올리는 LCK와 달리 1위부터 4위까지 LCK식 선발전을 벌여 최종전 승자가 2번 시드권을, 패자는 3번 시드권을 받는다. 다시 말해 포인트 1위가 직행하는 것은 동일하나, 선발전 결과에 따라서 2번 시드권을 부여받을 수도, 3번 시드권을 부여받을 수도 있다. 포인트 합계 1위팀은 다른 메이저 지역과 다르게 자동 16강 진출이 안 되는데다 경기를 하나 더 해야 하는 건 아쉬울 수 있지만, 반대로 말하면 롤드컵 직전 시점에서 경기력이 좋은 팀들 순으로 시드를 정하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3. 대회 정보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선발전
패치 버전 9.16
글로벌 밴 파일:pantheon_portrait.png
판테온

3.1. 챔피언십 포인트

LEC Spring LEC Summer
우승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90점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1번 출전권 획득
준우승 파일:origin only logo.png OG 70점 파일:Fnatic_only_logo.png FNC 90점
3위 파일:Fnatic_only_logo.png FNC 50점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70점
4위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SPY 30점 파일:Rogue_notext.png RGE 40점
5위 파일:Vitality color.png VIT 10점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SPY 20점
6위 파일:SK gaming 심볼.svg SK 10점 파일:Vitality color.png VIT 20점
종합
포인트 순위 챔피언십 포인트 결과
1위 파일:Fnatic_only_logo.png FNC 140점 선발전 2번 출전권 획득
2위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S04 70점 최종전 탈락
3위 파일:origin only logo.png OG 70점 1라운드 탈락
4위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SPY 50점 3번 출전권 획득
5위 파일:Rogue_notext.png RGE 40점 선발전 진출 실패
6위 파일:Vitality color.png VIT 30점
7위 파일:SK gaming 심볼.svg SK 10점

3.2. 일정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40423f>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파일:lec 심볼 화이트.svg LEC 대표 선발전 대진표
}}} ||
{{{#!wiki style="margin: 95px -5px -12px -5px"<rowcolor=#fff>
1라운드 (9/13)
<colbgcolor=#f5f5f5,#282828>
OG
3위
파일:origin only logo.png 2
SPY
4위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3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fff>
최종전 (9/14)
<colbgcolor=#f5f5f5,#282828>
S04
2위
파일:FC 샬케 04 로고.svg 0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3 }}} {{{#!wiki style="margin: -12px -5px 95px -5px"<rowcolor=#fff>
<colbgcolor=#f5f5f5,#282828>
FNC
1위
파일:Fnatic_only_logo.png 3
파일:300px-Splycelogo_square.png 0 }}}
노란색 : 2019 월드 챔피언십 진출 (2시드) | 빨간색 : 2019 월드 챔피언십 진출 (3시드)

4. LEC 대표 선발전

4.1. 1라운드 OG 2 : 3 SPY

스프링 때는 라이너의 힘으로 결승을 갔으나, 서머 때 라이너들의 힘이 떨어지고 콜드가 똥은 안 싸는 선에서 플레이 하던 것이 똥도 싸고 주도적이지도 못하면서 성적이 떨어진 오리젠과 유럽 3시드 정도 입지로 상승한 듯했으나 로그한테 일격을 맞고 스프링 4위 서머 5위를 한 스플라이스의 대결.

Origen은 잘 나갈 적에는 알파리, 누크덕, 패트릭의 뛰어난 라인전 역량을 위시한 초반과 미시의 빠르지는 않지만 안정적인 오더와 합류전과 세 라이너들의 강력한 무력을 바탕으로 펼치는 중후반 교전으로 재미를 봤다. 실제로 스프링에는 라이너들의 폼이 최절정일 때 이같은 방법으로 G2도 잡아냈고, 스프링 플레이오프에서는 스프링 전세계 최고의 팀 G2에는 어림도 없었지만 프나틱과의 경기에서는 라이너들의 폼을 바탕으로 다 쓸어버렸다. 하지만 누크덕의 폼이 스프링보다 떨어지고, 정글과 서폿의 안정감이 적어지자 흔들리기 시작했는데 이 때 스프링에는 2라운드에 라이너들의 폼이 떡상하면서 8승 1패로 순항했으나 서머 때는 라이너들이 반등하지 못하고 콜드가 키레이같은 C급 정글이 상대일 때를 빼고 아무것도 못하면서 패트릭이 던지기 시작하고, 라이너들의 폼에 기댄 느린 템포의 운영이 박살나면서 DTD 끝에 선발전 1라운드에 머물고 말았다. 승리를 위해서는 패트릭의 폼 회복 및 콜드가 싸지 않는 선에서 중후반 운영을 도모하는 게 최우선일 정도로 폼이 별로이다.

Splyce는 오리젠보단 나은 상태긴 하지만 큰 경기만 다가오면 폼이 떨어지는 휴머노이드에, 노장 반열에 접어든 비지챠지의 무력함과 시즌 전부터 지적받았던 노스케런의 부진한 폼까지 지적받고 있는데, 이전까지 하체 위주로 밀어주던 팀이 상체 위주로 밀어주다 보니 코베가 이번 시즌 전면에서 캐리하는 빈도도 줄고 라인전부터 무력해지면서 여러 단점들이 복합적으로 폭발하며 로그에게 0:3으로 쓸렸다. 휴머노이드가 폼을 회복한다면 기대해볼 만하긴 하고 상대 전적도 스프링 서머 합쳐서 3:1로 우세하다.

4.1.1. 경기 내용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1라운드
(2019. 09. 14.)
Origen 2 3 Splyce
× × × × ×
탈락 결과 최종전 진출

스플라이스의 상처뿐인 승리였다. 잔자라를 투입한 오리젠은 손발이 전혀 맞지 않으면서 개인 플레이 위주로 운영을 선보였는데, 문제는 노스케런과 비지챠치의 폼이 망한 스플라이스도 똑같이 니가와식 운0을 선보였다. 결국 스플라이스가 가렌과 유미로 트롤급 숙련도를 보여준 4세트를 제외하고, 서로 애무를 거듭하다가 왕귀 조합 뽑은 쪽이 이기는 패턴 끝에 뉴크덕의 시그니처 픽 제드를 5세트에 꺼내든 오리젠이 자폭하였다.

4.2. 최종전 S04 0 : 3 SPY

LEC의 LCK 팀 FC Schalke 04 Esports와 LEC의 젠지 Splyce의 대결. 원래는 개인 기량이 더 뛰어난 스플라이스가 샬케를 압도했으나, 서포터와 탑의 폼이 폭망하면서 기껏 끌어올려둔 운영 실력이 완전히 증발한 스플라이스다. 탑 미드가 못하지만 운영은 잘하는 샬케가 탑 서폿이 못하면서 운영까지 못하는 스플라이스를 상대로 우위에 설 공산이 크며, 스플라이스의 희망은 뉴크덕과 자강두천하며 떨어질 대로 떨어진 폼을 보여준 휴머노이드가 살아나 미드 정글 위주로 게임을 터뜨리는 것뿐이다.

4.2.1. 경기 내용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최종전
(2019. 09. 15.)
FC Schalke 04
Esports
0 3 Splyce
× × × - - - -
탈락 결과 월드 챔피언십 진출

1세트는 업셋만 바라보는 스플라이스와 트릭의 키아나 역캐리. 선픽 정글 키아나라는 강수를 뒀지만 오도암네와 아베다게의 챔프폭을 감안했을 때 키아나가 어디로 갈지는 뻔했고, Xerxe의 녹턴에 계속 말리면서 초반은 망했다. 스플라이스가 여전히 현자 타임으로 샬케의 성장을 허용했지만, 잘 큰 녹턴과 카이사가 엇박자 진입으로 트리스타나부터 지워버리고 한타를 종결해버렸다. 간신히 도망쳐봐야 아칼리와 갱플랭크의 포탄 세례까지 딸피 트리스타나를 노리자 한타가 성립이 되지 않았다.

2세트는 휴머노이드의 아칼리 원맨쇼와 23분 양민학살. 아칼리가 사일러스에게 라인전을 이겼고 그대로 첫 바텀 텔레포트와 첫 드래곤 한타만으로 게임을 터뜨려버렸다. 안 그래도 초반 이득이 중요하던 샬케 조합은 그대로 상해버렸고 아칼리 하나에게 게임 끝날 때까지 농락당하며 넥서스가 터졌다.

3세트는 이득을 굴리지 못하는 샬케와 전날의 경험으로 니가와에는 도가 튼 스플라이스. 트릭이 열심히 노스케런을 끊어먹으며 이득을 굴리나 싶었으나, 또 카밀에게 라인전 지는 사일러스와 어느새 갱플에게 다 따라잡히다 갱까지 당한 나르 덕분에 스노우볼은 멈춘다. 그리 하여 업셋의 자야 엔딩을 만들기 위해 전령 포탑실드 골드 등 모든 것을 몰아준 샬케는 고르게 성장한 스플라이스 조합 특히 카이사 카밀의 자야 물기에 한타 한 방으로 쓸리고 그대로 넥서스를 밀린다.

전체적으로 스플라이스는 정규시즌 리즈 시절의 폼을 거의 복구한 모습이었고, 샬케는 강팀만 만나면 한없이 작아지는 그 모습 그대로였다. 1세트는 정글에서 승부가 결정났으며, 2세트 휴머노이드의 하드 캐리와 2, 3세트 아베다게의 형편없는 사일러스 플레이는 미드 차이로 요약이 가능했다. 이 와중에 탑도 비지챠치가 전날 알파리에게 시종일관 고전하고 꾸준히 객사하신 그 분이 맞나 싶게 조용히 우위를 점했다. 업셋과 이그나가 사자분신하고 3세트는 올라프 픽한 트릭도 약간 힘을 보탰지만 체급 차이가 참으로 심했다.

이그나와 트릭의 샬케가 탈락하면서 LEC는 메이저 리그 중 유일하게 한국인 롤드컵 진출자가 없는 리그가 되었다.

4.3. 시드 결정전 FNC 3 : 0 SPY

Splyce는 선발전 1라운드와 최종전에서 극과 극의 모습을 보여줬으나, 사실 본질적으로는 같다. 개인 기량으로 압도할 수 있는 팀을 상대로는 초반에 얻은 이득을 바탕으로 무난히 후반을 갈 수도 있고 투박하게 밀어붙여 중반에도 이득을 더 볼 여지가 있으나, 그렇지 못한 팀을 상대로는 오더 체계가 부실해 중반에 어설픈 모습이 크게 부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팀이 강팀인 이유는 초반뿐만 아니라 후반 한타 집중력에서도 극강의 모습을 보여서이다. 실제 프나틱에게 승리한 1라운드를 보면, 휴머노이드의 키아나 개인기량으로 초중반 크게 이득을 봐서 중반 손실을 감수한 뒤 한타 집중력에서 프나틱에 밀리지 않고 오히려 역전승의 흐름을 끊어냈다.

Fnatic은 힐리생이 느그생 모드라 가정하더라도 샬케와 달리 스플라이스에 밀릴 만한 포지션이 별로 없다. 그러나 브록사나 브위포 등까지 2연 풀세트 패배의 후유증으로 흔들리거나, 스플라이스가 플레이-인 스킵을 위해 아껴둔 카드를 하나 둘 꺼내든다면 변수는 존재한다. 자신들의 장점 그러니까 공격적 스노우볼링을 극대화해 스플라이스의 쇼타임이 오기 전에 역전의 여지를 없애버리는 양상이 프나틱이 원하는 양상일 것이다.

이미 롤드컵이 확정된 두 팀의 대결이라 하더라도 서로 긴장을 풀어서는 안 되는 경기인 것이, '1시드와 2시드의 차이'와 '2시드와 3시드의 차이'는 엄청나게 크다. 1/2시드는 그룹 스테이지 진출은 확정인 채로 Pool 1에 배치되냐 Pool 2에 배치되냐 차이만 있을 뿐이라면, 이 경기에서 패배하여 3시드로 롤드컵에 진출하면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뚫으면서 어쩌면 팀의 전략 중 일부를 노출해야만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완성된 팀이자 목표가 롤드컵 우승인 팀들에게 플레이-인 스테이지는 시간 낭비와 전력 노출 위험으로만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성장 중인 팀이자 우승보다는 토너먼트 진출을 목표로 하는 팀들에게 플레이-인 스테이지는 메타 적응과 팀합 재정비의 기회이기도 하다. 실제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거쳐온 메이저 지역 팀들은 애초에 체급이 안 됐던 18 G-Rex를 제외하면 전부 8강에 진출했으며, 4강에 진출한 경우도 3팀이나 있을 정도이다. 양팀 중 프나틱의 경우 당연히 롤드컵 우승이 목표인 팀이지만, 스플라이스의 머릿속은 팬들 입장에서 장담할 수가 없다.

4.3.1. 경기 내용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2015~2019).svg 시드 결정전
(2019. 09. 16.)
Fnatic 3 0 Splyce
- - × × × - -
2번 출전권 획득 결과 3번 출전권 획득

프나틱이 체급 차를 여실히 보여주며 3:0 완승을 거두었다. 1세트는 접전이었으나 2세트부터는 프나틱의 학살쇼. 브위포와 레클리스가 간혹 던진 것 외에는 전 라인이 스플라이스를 압도했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 LoL e스포츠 2019 시즌
국제 대회
파일:MSI_2019.png 파일:RR.png파일:RR_white.png 파일:Worlds 2019.png 파일:All-Star_2019_Full_Logo.webp
2019 MSI 2019 RR 2019 Worlds 2019 ASE
지역 대회
파일:lpl.png 파일:lec 심볼 민트.svg 파일:2018_2020_lck_logo.png파일:LCK white.png 파일:NA_LCS_Logo.png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선발전
파일:LMS_2018_Logo.webp파일:LMS White.png 파일:400px-VCS_logo_2018.png파일:VCS_white.png 파일:600px-LCL_Logo.png 파일:LLA_logo.png
스프링 서머 선발전 스프링 서머 스프링 서머 오프닝 클로징
파일:TCL_Small_Logo.png 파일:CBLOL_2017_Logo.webp 파일:LJL_Logo.png 파일:OPL_2018_Logo_Color.png
윈터 서머 스플릿 1 스플릿 2 스프링 서머 스플릿 1 스플릿 2
파일:LST only logo.png파일:sea tour white logo.png
스프링 서머